사람은 왜 마음이 항상 같을 수 없을까요? - 서암 스님 -
사람의 마음은 찰라에 일어나고 찰라에 사라지기 때문에 순간 순간으로 변하기 마련입니다.
한 동안은 생각을 좋게 냈다가도 상대가 내 생각과 조금만 어긋나면 서로 갈라지는 등 항상
마음은 수시로 변합니다. 그렇게 수시로 변하는 마음이 바로 중생심, 즉 분별심이지요.
그러나 사람들이 수행을 잘 하면 변하지 않는 마음, 항상 하는 마음(항상심 恒常心)을 씁니다.
수행을 하지 않는 사람은 자기한테 이익이 오면 좋은 마음을 일으켜 쓰다가도 상대가 나에게
조금남 손해를 끼치면 금방 마음이 변해서 恒常心이 사라져 버립니다.
수행은 상대가 나에게 손해를 입힐 때나 나를 도와 줄때를 떠나서 항상 한결같은 마음으로
상대를 대할 수 있는 그런 마음을 단련하는 것입니다.
수행을 하는 마음이 없으면 항상 이해관계나 분별심 차별심이 생겨서 마음의 변화가 많습니다.
아침에 했던 생각 마음이 저녁에 변하고 저녁에 했던 생각 마음이 그 이튿날 또 변하고 자꾸
변합니다.
현대사회에서 많은 사람들이 친한 사람과 원수가 되고 하는 것도 그 변하는 마음 때문입니다.
수시로 변하는 마음을 쓰지 말고, 한결같은 그 마음, 항상심(恒常心)을 사용해 보십시오.
항상심을 쓰는 것이 생과 사를 초월하는 마음입니다.
사람이 수시로 변하는 마음인 온갖 번뇌 망상과 사랑분별을 떨치고 정진에 들면 생과 멸이 없는 마음,
한결같은 마음(항상심), 근본 마음을 마주하게 됩니다. 근본 마음을 놓쳐버리고 사는 중생들은 항상
그런 번뇌 망상 사량분별과 차별 속에서 시시각각으로 마음이 변합니다.
친한 사람이 원수로 변하고 원수가 또 친한 사람으로 변하는 이러한 사회가 중생들이 사는 세상입니다.
그래서 중생들이 사는 사회는 점점 더 혼탁해지고 갈등과 투쟁이 끊이지 않는 것입니다.
내가 볼 때 남이 하는 일은 좋아 보이는데 내가 하는 일은 불만족스러워 하는 사람들이 많습니다.
왜 그런가요? 중생 사회가 다 그렇지요. 내가 가진 떡보다 남이 가진 떡이 더 크게 보인다는 말이
있듯이 남이 하는 것은 다 좋아 보입니다.
그러나 부처님의 가르침을 알고 보면 모든 이웃과 내가 둘이 아닙니다. 이웃이 잘되는 것이 내가
잘되는 것이고, 이웃이 불행할 때 내 마음도 괴로운 것입니다.
이 세상 전체를 하나로 보게 되면 나와 너, 내 것 네 것하는 분리 분별 구분을 벗어나 내가 하는 일에
행복을 느끼고 그 일을 천직으로 생각하게 되어 이 세상과 나를 분리 분별 구분하는 그런 생각 마음이
일어나지 않습니다.
항상 자기 자리와 남의 자리를 갈라놓고 이 세상을 보기 때문에 그런 피상적인 인생관을 갖게 됩니다.
근본적인 자리에서 나와 남이라는 분리 분별 구분이 없는 진리에 눈이 떠 질 때 남이 하는 것도 좋아
보이고 또한 자기가 처하는 곳을 불편하게 여기는 생각이 사라집니다.
모든 것은 마음가짐에 달려있습니다. 이 세상을 분리 분별 구분해서 좋아하고 싫어하는 분별심을
안으로 돌이켜 보십시오. 어디서 미워하는 생각, 불만스런 생각, 그런 생각이 일어났는가? 그러한
생각들을 돌이켜보면 그런 생각이 사라집니다. 이와 같이 하는 것이 수행하는 방법입니다.
'자기계발과 마음공부' 카테고리의 다른 글
살아가는데는 특별한 의미가 없어요 (0) | 2017.07.09 |
---|---|
죽음, 그 이후 (0) | 2017.07.08 |
이 세상 그 어느 것도 결코 움직이지 않는다 (0) | 2017.07.07 |
새벽별 빛나는 것은 어둠 있기 때문 (0) | 2017.07.07 |
“여보게, 한 판 잘 놀고 가시게…” (0) | 2017.07.0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