삶의 향기 메일

상불경(常不輕)보살을 본받자

장백산-1 2017. 11. 17. 01:09

상불경(常不輕)보살을 본받자 / 광덕스님


어떠한 고난 속에서도 커다란 희망을 안고 어떤 모습과 부조리 속에서도 끝없는 긍정적 자세를 가지며

어떤 재난 앞에서도 밝은 마음의 등불을 밝혀야겠습니다.


상경불(常不輕)보살의 구도

아주 옛날, 몇백 번이나 천지개벽을 하기도 전인 저 먼 옛날, 그때에 부처님이 계셨으니 호를 성음토 

부처님이라고 하였습니다. 성음토부처님께서 지혜와 자비가 넘치고 성스러운 위신력이 자재하시어 

일체중생을 고루 제도하시니 그 당시 사람이나 천상 사람이나 모든 성중이 함께 기쁘게 받들어 섬겼

습니다.

 

성음토부처님이 멸도에 드신 후에 사뭇 오랜 세월이 지나니 세간에는 부처님 덕을 바르게 닦는 사람이 

드물었습니다. 그때에 한 보살이 있었는데, 상불경(常不輕)이라는 이름으로 불리었습니다. 당시의 부처님 

法을 배우는 사람들 대부분이 형상(形象)에 집착하고, 法에 집착하여 많은 分別을 하면서 수행한다고 

자처하였었는데, 그때에 상불경보살은 저들 대중 앞에 나아가서 대중을 공경스럽게 예배하고 또한 말

하기를 “저는 당신을 깊이 공경하오며 결코 경망스러운 마음을 갖지 않습니다. 왜냐하면 여러분은 모두가 

보살도를 행하시고 부처님이 되실 분입이기 때문입니다.” 라고 말 하였습니다. 


상불경보살은 부지런히 경전을 외우거나 베우는 것도 아니었습니다. 다만 만나는 사람마다 공경스럽게 

예배하며 또한 멀리 사람들이 보이면 찾아가 예배하며, 앞에서 말한 바와 같이 “여러분은 모두가 성불

하십니다”라고 말하였습니다.

 

그때 사람들 중에는 성질이 거친 사람도 있어서 이 상불경보살을 욕하고 나무랐습니다. “이 바보 비구야. 

네가 어디서 왔건대 건방지게 우리들이 성불할 거라고 말한단 말이냐. 우리들에게 그런 허망한 수기는 

소용없다”하였습니다. 이러기를 여러 해를 지나니 상불경 보살은 나무 막대기로 얻어맞고 돌팔매에 

얻어터졌습니다. 그래도 상불경 보살은 멀리 피해 달아나면서도 소리쳤습니다. “나는 여러분을 경망스

럽게 여기지 않습니다. 여러분을 공경합니다. 여러분은 성불하실 분이기 때문입니다.”라고 하였습니다.

 

모든 사람은 성불(成佛한다

위의 상불경보살 이야기는 《법화경》 상경불보살품 일부를 요약한 것입니다. 저는 이 가르침 속에 

석가모니부처님의 일대교설을 모두 깨닫고 실천하는 도리가 있다고 믿고 있습니다. 석가모니부처님의 

법을 깨달아 들어가는 도리가 있는 것이며, 석가모니부처님의 법을 실행하는 도리가 있는 것이며, 

일체세계에 삿되고 굽은 어지러운 현상을 모두 세척하고 석가모니부처님의 빛나는 공덕을 가득 담는 

큰 불사가 있다고 믿고 있습니다.

 

무엇보다 아무 조건 없이 모든 사람을 존경하고 예배하는 것입니다. 공경할 이유가 있어야만 공경을 받고, 

업신여김을 받아야 할 이유가 있기에 업신여김을 당하며, 숭배받을 이유가 있을 때 숭배를 받는다고 말하는 

것이 범부중생 세간의 논리입니다. 그러나 살불경보살의 말에는 하등의 그런 차별이 없는 것입니다.

 

이러한 평등하게 인간을 존중하는 것은 다름 아니라 모두가 부처님의 신성과 부처님의 권능과, 부처님의 

위덕을 지니고 있기 때문에 모두가 다 부처라는 데 있습니다.

  

사람이 최고의 가치이고 사람이 신성하다 말 하면서도 무엇 때문에 인간이 신성하고 존엄한 가치가 있느

냐고 물으면 그 대답은 매우 모호하고, 대개는 동물적인 인간 긍정을 휴머니즘의 이름 밑에 미화하기가 

일쑤입니다.  그러나 여기 법화경의 상불경보살의 말씀에는 명백하게 모든 사람이 부처될 사람이라는 

사실에 대한 확언이 있습니다. 인간 신성 · 인간 존엄의 근거를 명시해 주고 있는 것입니다. 

우리는 살불경보살의 이 가르침에서 깊이 배우는 바가 있어야 하겠습니다.

 

상불경 보살에게 배우는 것

첫째, 석가모니부처님의 가르침을 실천하는 것입니다. 교학적 이해도 중요하지만 실천이 없는 지식은 

깨끗이 거부되고 있습니다. 여기 常不輕 보살은 경을 배우지도 않고 외우지도 않습니다. 오직 석가모니

부처님 가르침의 핵심이라 할 ‘오직 있는 經은 佛性뿐이며, 일체 중생은 그 실상이 불성의 나툼’이라 함을

행동으로 배우고 행한 것뿐이었습니다. 반대하는 사람들의 박해에도 굴하지 않았습니다.


둘째, 형상에 걸리지 않는 지혜입니다. 상불경 보살을 박해한 사람들이 누구였습니까? 그들은 상에 

집착한 자들이였으며, 법을 고집하여 계교·분별하는 자들이였습니다. 그러나 석가모니부처님은 모든 

형상은 실로 없는 것이라 하였습니다. 형상을 인연해 얻어진 일체법이란 空한 것이라고 하였습니다.

그런데도 형상에 집착하고, 분별심을 내어 인간을 차별하고, 혹은 성내고 업신여긴다면 그는 부처님 

참법을 어기는 자이며 참법을 실행하는 사람을 박해하는 자가 되는 것입니다. 사람들은 반야의 슬기를 

배워 형상에 걸리지 않고 실상의 도리를 믿는 지혜를 배워야겠습니다.


셋째, 인간의 절대가치의 긍정과 그 계발입니다. 모든 사람은 본래가 부처, 本來佛 입니다. 부처행을 

행하는 사람이었습니다. 상불경보살 그에게는 보살행을 통하여 부처님의 공덕을 끝없이 내어 쓸 권능이 

있는 것입니다. 인간에게는 부처님이 지니신 무한공덕이 고스란히 함께하고 있는 것입니다. 그의 위덕은 

우주를 천만 번 光明으로 채우고도 남습니다. 하물며 이 지상에 평화와 번영의 질서를 채우는 일이겠습니까.

우리는 인간이 가지는 고귀한 가치를 십분 긍정하고 그 위덕이 매몰되거나 무시되거나 하는 일이 없도록 

해야 합니다. 모든 국가적·사회적 제도가 오직 인간 신성과 가치와 능력과 위덕이 십분 계발되고 보장

되는 방향으로 운영되어야 합니다.


넷째, 긍정과 낙관적인 마음의 자세라 하겠습니다. 

모든 인간은 죄업에 따른 탄생으로 고된 운회를 반복하는 숙명적인 존재가 아니라, 바로 축복된 존재

이며 성불할 숙명을 아는 존재이며, 성불될 가치와 능력과 권위를 가진 존재라는 사실입니다. 어떠한 

고난 속에서도 커다란 희망을 안고 어떤 모순과 부조리 속에서도  인간세계에 대한 끝없는 긍정적인

마음의 자세를 가지며 어떤 재난 앞에서도 마음의 밝음과 커다란 낙관의 등불을 높이 밝혀야겠습니다.

 

이와 같은 가르침은 필경 이해나 말이나 관념적인 신앙에 있는 것이 아니고 오직 모든 사람을 공경하고

예배하고 찬탄하는 행위에 있음을 명심하여야겠습니다. 여기 상불경 보살품이나 《화엄경》보현행원품 

말씀과 같이 공경 예배를 끊이지 않는 데에 성불의 열매가 여물고 있다는 사실도 깊이 믿어야겠습니다.


1976.4.4 중앙종회 부의장, , 불광 발행인 재임시 법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