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묵은 나'와 '새로운 나' / 월호 스님
“일년 삼백육십오일이 오늘로써 끝나건만 /
열에 반은 참선하되 선을 알지 못하고(不知) /
도를 배우되 도를 알지 못하는구나.(不識) /
다만 이 부지불식(不知不識) 네 글자가 /
삼세제불의 골수이며, 팔만대장경의 근원이로다.” <선요>
양 무제를 만난 달마대사는 자신을 알지 못한다(不知)고 했다. 육조대사는 법달에게 자신은 문자를 모른다
(不識)고 했다. 그런데 이 부지불식(不知不識) 네 글자야말로 삼세제불의 골수이며 팔만대장경의 근원이라
고 하는 것이다. 어째서 그런 것일까.
소크라테스는 사람들에게 ‘너 자신을 알라’고 강조하였다. 그것도 한 두 번이지 노상 그런 말을 들은 사람들
은 마침내 화를 내며 소크라테스에게 되물었다. “그러는 당신은 자기 자신을 알고 있습니까?” “아니, 나도
모르지.” “그렇다면 우리와 다를바가 없지 않습니까?” “그렇지 않다네.”
“무엇이 우리와 다르단 말입니까?” “나는 나 자신을 모른다는 사실을 알고 있다네.
하지만 그대들은 그것조차 모르고 있단 말일세.”
내가 나 자신을 모르고 있음을 스스로 아는 것, 이것이 진정한 앎의 출발점이다. 이것은 ‘묵은 나’를 보내고
‘새로운 나’를 맞이하는 것이다. 이것이야말로 연말연시의 가장 좋은 덕목이다.
‘묵은 나’는 무엇인가. 스스로를 잘 안다고 여기는 생각이다. 그래서 몸과 마음이 ‘나’라고 생각하는 것이다.
‘새로운 나’는 무엇인가. 스스로를 모른다고 정확히 아는 것이다. 그래서 몸과 마음이 내가 아니라는 사실을
분명하게 아는 것이다.
출처: 불교신문
'자기계발과 마음공부' 카테고리의 다른 글
무엇이 마음인가? (0) | 2018.12.01 |
---|---|
서정주의 <푸르른 날> (0) | 2018.12.01 |
당나귀가 되어버린 사람들 (0) | 2018.12.01 |
대각(大覺) (0) | 2018.11.29 |
모든 것은 마음에서 이루어진다 (0) | 2018.11.2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