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기계발과 마음공부

인연이 서로 걸리지 않으면 싹이 나는 때에 싹이 나지만 그 싹이 남은 싹이 남이 아니다

장백산-1 2019. 1. 2. 15:45

인연이 서로 걸리지 않으면 싹이 나는 때에 싹이 나지만 그 싹이 남은 싹이 남이 아니다


슬기(지혜)가 없는 사람들은 스스로에게 원수가 되어

서로 이리저리 돌아다니면서 서로가 나쁜 짓을 짓나니

그 나쁜 짓의 열매는 쓰디 쓰다.


(법구경).


현우경에는 '실수로 저지른 일의 갚음은 실수로 받는다'는 말씀이 나옵니다. 부처님이 사위성 기원정사에 계실 때 일이다. 한 노인은 일찍 아내를 잃고 어린 아들과 함께 가난하고 외롭게 살았다. 그는 세상이 덧없음을 깨닫고 출가하려고 부처님을 찿아가 그의 뜻을 말했다. 부처님은 그를 가엾이 여겨 출가를 허락하였다. 


아버지는 나이가 많아 비구가 되고 아들은 어리기 때문에 사미승이 되어 항상 함께 마을로 들어가 걸식하고 저물게 돌아왔다. 그날도 그들은 먼 마을에까지 가서 걸식을 하느라고 해가 저물었다. 아버지는 노쇠했기 때문에 걸음이 느렸다. 


아들은 숲속에서 사나운 짐승들이 울부짖는 소리를 듣고 잔뜩 겁이 났다. 급하게 아버지를 부축하여 밀고 가다가 그만 발을 헛딛어 아버지를 넘어뜨리고 말았다. 아버지는 그 길로 죽고 말았다. 그러니 아버지는 아들에 의해 죽은 셈이었다.

사미 혼자서 울면서 돌아오는 것을 보자 비구들은 그에게 물었다. "너는 아침에 스승(아버지)과 함께 걸식하러 나가더니 어째서 스승과 같이 오지 않고 홀로 돌아오느냐?"


사미는 사실대로 비구스님들에게 말했다. 스님들은 그 사미를 몹시 꾸짖었다. "너는 아주 못된 놈이다. 제 손으로 밀쳐 스승을 죽게 하다니." 그들은 곧 부처님께 이 일을 말씀드렸다. 부처님은 비구들에게 '그 사미의 스승(사미의 아버지)이 죽었지마는 그 죽음은 사미의 악의에서가 아니니라' 하시고, 그의 아들인 사미를 불러 물으셨다. "너는 네 아법지인 스승을 떠밀어 죽였느냐?" 사미는 울면서 대답했다. "그렇습니다. 하지만 악의에서 그런 것은 절대로 아닙니다."


부처님은 그의 말을 시인하시고 말씀하셨다. "사미여! 네 마음을 나는 알고 있다. 너한데는 조금도 악의가 없다. 지난 세상에서도 그와 같이 악의없이 죽인 일이 있었느니라. 과거 무량 아승지겁 전에 아버지와 아들이 함께 살고 있었다. 그 때 아버지는 병이 났었는데 누워서 잠을 자려고 하면 파리가 이마에 날아와 자꾸 귀찷게 하였다. 아버지는 아들을 시켜 파리를 쫓게 하고 잠을 좀 청하려고 하였다.


아들은 아버지의 머리맡에 앉아 파리를 쫓았지만 파리는 날아갔다가 다시 돌아와 붙곤 하였다. 아들은 귀찮게 구는 파리 때문에 화가 나서 번쩍 일어나 큰 몽둥이를 들고 파리를 내쫓았다. 그러다가 그만 잘못하여 아버지의 이마를 때리고 말았다. 아버지는 그 길로 죽었다. 그러나 그때는 나쁜 마음으로 일부러 아버지를 죽인 것은 아니었느니라. 비구들이여! 마땅히 알라. 그때 죽은 그 아버지는 오늘의 사미요, 그때 몽둥이로 아버지의 이마를 쳤던 아들은 오늘 길에서 넘어져 죽은 노비구이니라. 그때도 고의가 아닌 실수로 죽였기 때문에 오늘의 갚음도 실수로 된 것이다."


세상에서 일어나는 일은 우연(偶緣)이 없습니다. 우연인 듯한 일들도 그 인과(원과 결과)를 뒤짚어보면 그 결과의 일이 일어나게된 원인이 숨어 있습니다. 단지 어리석은 사람들은 미혹에 가리어 원인과 결과의 이치를 모를 뿐입니다.


실수로 한 일도 인과(원인과 결과)의 이치를 벗어날 수 없는데, 하물며 고의로 저지른 악한 일의 결과는 어떠할 것인가요? 참으로 무서운 것이 인과(因果, 원인과 원인에 따른 결과)입니다. 몸과 입과 마음(생각)을 잘 다스려야 합니다.


그래서 가야사다 존자는 노래합니다. "종자(씨앗 :원인)도 있고 마음의 밭(心田)도 있으면 인연 따라 싹이 나나니, 인연이 서로 걸리지 않으면 싹이 나는 때에 싹이 나지만 그 싹이 남은 싹이 남이 아니다."


- 설한당에서 장곡 합장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