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기계발과 마음공부

유심(唯心, 오직 마음뿐)

장백산-1 2019. 4. 8. 13:01

유심(唯心, 오직 마음뿐)

 

 

마음은 법계에도 두루하고 허공계에도 두루하여

 

드넓은 하늘도 마음의 당체를 결코 덮을 수 없고,

 

마음은 영원히 빛을 비추고 영원히 드러나있기에

 

쇠로 만들어진 산도 마음의 빛을 결코 감추지 못하며,

 

마음은 머물지도 않고 의지하지도 아니하기에

 

인간의 노력으로 마음의 본성을 결코 바꿀 수 없고,

 

마음은 순수하지도 않고 잡스럽지도 않아

 

이 세상 모든 것이 마음의 참됨을 결코 숨기지 못하네.

 

遍界遍空  穹蒼不能覆其體  常照常現  鐵圍不能匿其輝

변계변공  궁창불능복기체  상조상현  철위불능닉기휘)

 

無住無依  塵勞不能易其性  非純非雜  萬法不能隱其眞

무주무의  진로불능역기성  비순비잡  만법불능은기진)

 

- 「영명(永明) 선사 「유심결(唯心訣)」

 

영명(永明) 선사의 「유심결(唯心訣)」은 유심사상(唯心思想)을 명확하게 드러내는 글이다. 유심(唯心)은 불교에서 가장 많이 쓰는 말이며 여러 가지 불교 사상의 중심에 서 있다. 일체를 오직 마음 하나가 만들었다는 일체유심조(一切唯心造)나, 욕계· 색계· 무색계라는 삼계(三界, 우주삼라만상만물, 온 세상 모든 것)이 오직 마음일뿐이라는 삼계유심(三界唯心)이나, 이 세상 모든 것이 오직 마음일뿐이라는 만법유식(萬法唯識)이나, 석가모니가 아무리 많은 말을 했더라도 그 모든 말은 마음이 근본이 된다는 불어심위종(佛語心爲宗)과 같은 표현들은 모두가 불교의 가르침이 오직 마음 하나(唯心)에 있음을 나타내는 표현들이다.

 

불교의 수많은 경전 중에서 세계적으로 가장 많이 읽히는 경전은 『법구경/法句經』이다. “마음은 모든 것의 근본이 되며 마음이 주인이 되어 마음이 시키나니, 마음으로 악한 일을 생각하면 그 말과 행동이 곧 악하게 되어 허물과 고통이 뒤따르게 된다.”는 『법구경』의 첫 구절은 대단히 널리 알려져 있다. 법구경은 처음부터 유심사상(唯心思想)을 말하고 있는 것이다.

 

마음이 이 세상 모든 것의 근본이며, 일체 사물과 모든 일이 다 마음에 의해 이루어지고 있음은 모든 경전이 다 말하고 있다. 특히 영명 선사의 「유심결/(唯心訣」은 유심사상(唯心思想)이 고도로 발전한 글이라고 할 수 있다.

 

마음은 무한하게 넓기 때문에 드넓은 하늘도 마음의 당체(當體)를 결코 덮을 수 없다. 마음이 바다라면 허공은 바다에 일어났다 사라지는 물거품과 같다. 마음은 너무도 영원히 빛나기 때문에 쇠로 만들어진 산도 마음의 빛을 감추지 못한다. 사람들이 아무리 깊은 잠에 빠져 있다 하더라도 마음만은 잠들지 않고 쉴 새 없이 영원히 빛을 발하고 있다. 마음은 어디에도 의지하거나 머물지 않는다. 마음의 당체(當體)가 본래 그렇다. 그래서 6조 혜능 스님은 출가하기 전에 “마음은 본래로 머물러있는 바가 없으니 마땅히 마음을 어디에도 머물지 말고 작용하라.(응무소주 이생기심/應無所住 而生其心)”라는 『금강경』의 가르침을 듣고 마음의 눈이 환하게 밝아졌다고 한다.

 

마음의 위대함을 설명하기로 하면 바닷물을 먹으로 하여 설명한다 하더라도 다 할 수 없다. 「유심결(唯心訣」은 사람들의 분별 번뇌 망상과 탐 ·진 ·치  3독심(三毒心)도 마음의 본성(근본성품)을 결코 바꿀 수 없고, 팔만사천에 이르는 팔만대장경이라는 혼란스러운 가르침 또한 마음의 본성을 결코 바꿀 수 없다는 사실을 밝혔다.

 

출처 : 무비 스님이 가려뽑은 명구 100선 ④ [소를 때려야 하는가, 수레를 때려야 하는가] 

 

-산빛노을(원광)- http://cafe.daum.net/okryunam/RgHH/31

 

'자기계발과 마음공부' 카테고리의 다른 글

분별 번뇌 망상을 삭이는 방법  (0) 2019.04.09
수행(修行)이란  (0) 2019.04.09
허공 같은 본래성품(本性)  (0) 2019.04.08
백살을 산다한들  (0) 2019.04.07
행위(行爲) 즉, 업(業)  (0) 2019.04.0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