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상과 타협하는 것 보다 더욱 더 경계(境戒)해야 할 것은? - 법정스님
세상과 타협(妥協)하는 것보다 더욱 더 경계(境戒)해야 할 것은 자기 자신과 타협(妥協)하는 것이다.
누구나 스스로 자신에게 매서운 스승 노릇을 해야한다. 사람들이 어느 것에, 어딘가에 집착을 해서
집착을 하는 그것이 전부인 것처럼 그것에 안주(安住)하면 그 사람은 그같은 감옥에 갇히고 만다.
안주(安住)하는 그 감옥에 갇히면 그러면 마치 고여있는 물이 썩는 것처럼 그렇게 썩기 마련이다.
'버리고 떠난다'는 말은 곧 자기답게 사는 것을 의미한다. 낡은 탈로부터 벗어나야, 낡은 울타리로부터
벗어냐야, 낡은 고정된 생각, 고정관념(固定觀念)으로부터 벗어나야 인생을 새롭게 시작할 수 있다.
아무리 가난해도 마음이 있는 한 누구나 다 나눌 것은 있다. 근원(根源)의 마음을 나눌 때 물질(物質)은
자연스럽게 그림자처럼 따라온다. 그렇게 근원(根源)의 마음을 나눔으로써 내가 더 풍요로워질 수 있다.
세속적인 이해타산이나 계산법으로는 나눌수록 내 잔고가 줄어들 것 같지만 출세간적인 입장에서는
나누면 나눌수록 내가 더 풍요로워진다. 풍요속에서는 사람이 타락하기 쉽다. 그러나 맑은 가난은
사람들에게 마음의 평안을 가져다주고 올바른 정신을 지니게 한다.
행복(幸福)해지는 법은 필요한 것을 얼마나 많이 갖는가가 아니라 불필요한 것에서 얼마나 자유로울 수 있는가다.
"많이 갖고 있는 사람과 비교하면 모자라고, 적게 갖고 있는 사람과 비교하면 남는다." 라는 말이 있듯이
행복(幸福)해지는 단순하고 오묘한 방법은 나의 내면(內面) 에 있다.
하나가 필요할 때는 하나만 가져야지 둘을 갖게 되면 애초의 그 하나마저도 잃게 된다. 그리고 인간을 제약하는
소유물에 사로잡히면 소유의 비좁은 골방에 갇혀서 정신의 문이 열리지 않는다. 그렇기 때문에 작은 것과 적은
것에서 만족(滿足)할 줄 아는 법을 알아야 한다. 그것이 청빈(淸貧)의 덕(德)이다.
우주의 기운은 자력(磁力)과 같아서 사람들이 어두운 마음을 갖고 있으면 어두운 기운이 몰려온다고 한다. 그러나
밝은 마음을 지니고 긍정적이고 낙관적으로 살면 우주의 밝은 기운이 밀려와 우리의 삶을 밝게 비춘다고 한다.
'삶의 향기 메일' 카테고리의 다른 글
행복이 우리 맘에 깃들 때 (0) | 2021.05.15 |
---|---|
진정한 출가(出家)란? (0) | 2021.05.14 |
황금빛 수의를 입은 이 시간 (0) | 2021.05.12 |
너는 여기에 피었구나! (0) | 2021.05.12 |
'세상에서 가장 아름다운 얼굴' (0) | 2021.05.1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