크게 긍정(肯定)하는 마음을 먹을 줄 알아야 한다. - 법상스님
고정화된 관념, 즉 고정관념(固定觀念)의 틀이 강해 질수록 사람들 내면(內面)의 괴로움도 커지기 마련이다.
삶의 본질은 이렇게 되어도 좋고 저렇게 되어도 좋은, 그저 그냥 지금 여기 있는 그대로의 여여(如如)한 모습이다.
양쪽으로 나눠놓고 어느 한 쪽을 고집하지 않는 것이 수행자다운 삶이다.
어느 한 쪽을 고집하면 고집한 만큼 그대로 되지 않았을 때 괴로움이 생긴다.
‘이렇게 할까 저렇게 할까’, ‘적어도 이 정도는 되어야 하는데’ 하고 생각하지만, 꼭 이렇게, 적어도 이 정도는 되어야 한다는 법은 세상 어디에도 없다. 삶은 텅~비어있을 뿐이기에 삶은 이렇게 되면 이렇게 되어서 좋고, 저렇게 되면 저렇게 되어서 좋을 뿐이다. 마음 속에 고집을 텅 비워버렸을 때, 꼭 이렇게 되어야 한다, 꼭 이 정도는 되어야 한다는 고정관념(固定觀念)의 틀을 깨버렸을 때 삶은 참으로 맑아지고 자유로워진다. 이 세상에 본래부터 고정된 것은 어디에도 없기 때문이다.
신랑감을 고르는데 키는 170이 넘어야 하고, 4년제 대학도 나와야 하고, 연봉이 얼마 정도는 되야 하고, 성격도 좋아야 하고, 인물도 잘생겨야 하고, 돈도 많아야 하고, 등등의 이런 조건을 내걸게 되면 많이 내걸수록, 또 조건들에 많이 고집할수록 괴로움만 커갈 뿐이다. 스스로 정해둔 잣대, 스스로의 고정관념(固定觀念)의 틀에 스스로 빠지게 된다.
생활 속에서 이런 저런 일을 추진할 때에도 마찬가지다. ‘반드시’ 이렇게 되어야 한다는 생각을 깊이 고정화 하면, 그 고정관념의 틀이 크면 클수록, 괴로움도 따라서 점점 커지게 마련이다. ‘반드시’라는 것은 없다. ‘절대’라는 것은 ‘절대로’ 없다. 그 어떤 것도 모든 가능성(可能性)은 활짝 열려 있다. 자신의 생각을 깊이 고정화 시키지 말라. 내 생각대로 되면 생각대로 그대로 되니 좋은 일이고, 생각대로 안 되면 ‘이 생각이 잘못된 생각일수도 있으니 잘 되려고 생각대로 안되는 것이구나’ 하고 마음을 크게 돌려먹을 수 있어야 한다. 즉, 크게 긍정(肯定)하는 마음을 먹을 줄 알아야 한다는 말이다.
이 말은 긍정(肯定)과 부정(否定) 둘로 나누어 놓고 그 중 긍정(肯定)을 선택하라는 말이 아니라, 긍정 부정을 초월하는 대긍정(大肯定)으로 받아들일 수 있어야 한다는 말이다. 이 세상에는 절대적인 부정도 없고, 절대적인 긍정도 없다. 다만 내 마음에서 마음이 그렇게 긍정(肯定)과 부정(否定) 둘로 나누어 만들 뿐인 것이다. 그러니 그렇게 나누는 그 마음만 버리면 이러면 이래서 좋고, 저러면 저래서 좋은 걸림없는 자유(自由)와 평화(平和)를 얻는다.
지금 이 사람 아니면 절대 안 된다거나, 지금 이 직장 아니면 절대 안 된다거나, 지금 이 대학 아니면 절대 안 된다는 생각은 정말이지 너무나도 큰 착각(錯覺)이고 어리석은 생각이다. 그 사람이 아니어도 된다. 그 직장이 아니면 이 직장이라도 좋고, 이 사람이 아니면 저 사람이라도 좋고, 이 대학이 아니면 저 대학이라도 좋다. 진리(眞理)는 양쪽 중 어느 한 쪽에 딱 고정되어 있지 않다. 진리(眞理)는 유연하고 항상 활짝 열려있는 자세를 취한다.
이 세상이라는 곳은 우리를 괴롭히기 위한 곳이 아니다. 진리(眞理)는 사람들을 시험에 들게 한다거나, 일부러 골탕을 먹이려고 나쁜 쪽으로 이끌고 가지 않는다. 진리(眞理)는 오직 큰 자비로써 우리들을 이끌 뿐이다. 오직 대긍정으로, 우리들를 참 진리로만 안내할 뿐이다. 다만 사람들 스스로 고정짓고, 고집하고, 욕심부리고, 집착하기 때문에 세상은 꼬이기 시작하는 것이다.
이 세상은 영원히 늘 진리(眞理)의 나툼만이 있을 뿐이다. 이것을 선택해도 진리(眞理)며, 저것을 선택해도 진리(眞理)다. 되면 되는 대로, 안되면 안 되는 대로, 그것이 모두 길이며 진리(眞理)다. 이러면 이래서 좋고 저러면 저래서 좋은 세상을 살 것인가, 아니면 이래도 괴롭고 저래도 괴로운 억지스런 세상을 살 것인가. 선택은 자신에게 달려있다
'법상스님의 날마다 해피엔딩' 카테고리의 다른 글
마음 (0) | 2021.07.18 |
---|---|
유무중도(有無中道) (0) | 2021.07.16 |
무한(無限)한 능력(能力)을 갖다 사용하는 법 (0) | 2021.07.15 |
마음은 어떻게 현실을 만들어내나? (0) | 2021.07.14 |
지금 이 순간 여기 이 자리를 온전히 책임져라. (0) | 2021.07.1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