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음챙김 4

알아차림(마음챙김)과 직지인심(直指人心)

알아차림(마음챙김)과 직지인심(直指人心) 이상에서와 같이 정념, 사념처는 초기불교에서 부처님께서 설하신 수행법의 핵심이라고 할 수 있는 중요한 수행법이다. 정념, 사념처, 알아차림, 마음챙김이 곧 중도이고, 팔정도이며, 지관, 정혜의 수행이며 이것이 곧 연기와 무아를 깨닫는 방법이며, 참된 동체대비의 자비심을 계발하는 수행법임은 말할 것도 없다. 이처럼 중도, 팔정도, 정견, 정념, 사념처의 수행을 곧 알아차림(마음챙김)이라고 할 수도 있는데, 여기에서 주의해야 할 점이 있다. 사실 말이란 모두 방편이다. 앞에서도 설명했듯 말로 표현된 것은 전부 다 명색(名色)이기에, 있는 그대로를 온전히 이쓰는 그대로 드러낼 수 없다. 그러나 말을 사용하지 않으면 중생들이 알아들을 수 없다보니 어쩔 수 없이 말이라는 ..

번뇌 망상을 알아차리면 번뇌 망상은 사라진다

알아차리면 사라진다 망상이 일어남을 두려워하지 말고  ‘알아차림’이 더딜까를 두려워하라.망상이 일어나면 곧 알아차려라. 망상이 일어남을 알아차리면 망상은 없느니라. [수심결] 수많은 번뇌망상이 일어난다 하더라도 번뇌 망상으로인해 마음을 괴롭히지 말라. ‘왜 이렇게  번뇌 망상이 많을까’하고 답답해 하지 말라. 번뇌 망상을 없애려고 애쓰지 말라. 번뇌 망상이 일어남을 두려워하지 말고 번뇌 망상이 일어남을 ‘알아차림’이 더딜까를 두려워하라.  번뇌 망상이 일어나면 곧 알아차려라. ‘망상’ ‘망상’ 하고 있는 그대로 알아차리면 된다. 망상이 올라와서 어떻게 내 머릿속을 복잡하게 만들고 있는지 물샐틈 없이 있는 그대로 비추어 보기만 하라. 번뇌 망상을 알아차리는 순간 번뇌 망상은 아무리 찾으려고 해도 찾을 수가..

사띠(sati, 마음챙김, 알아차림, 念)’, 마음에 환한 불 켜는 힘

11. 사띠(sati), 명상의 키워드 사띠(sati, 마음챙김, 알아차림, 念)’, 마음에 환한 불 켜는 힘 사띠, 수행자에게 가장 중요해, 대상을 정확하게 알고 있는 마음 일상서 수시로 수행·정진해야 허망한 번뇌 차단하는 힘 기를 수 있어 명상수행을 하는 사람에게 가장 중요한 마음은 무엇일까? 어떤 마음이 명상을 하는 마음이며, 수행을 하는 마음일까? ‘수행을 하고 있는가? 수행을 하고 있지 않은가?’를 판단할 수 있는 한 가지 분명한 근거와 잣대는 무엇일까? 그 근거와 잣대은 바로 ‘사띠(sati, 마음챙김 알아차림, 念)’라고 필자는 생각한다. 수행자에게 사띠가 있으면 수행을 한다고 할 수 있지만, 아무리 반듯하게 앉아있어도 사띠가 없다면 그것은 수행한다고 말할 수 없다. 사실 수행자에게 사띠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