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늘은 생사(生死),
즉 태어남과 죽음에 대하여 이야기를 해보도록 하겠습니다
. 우리 인간들은 내가 왜 이 세상에 태어났는지,
또 이렇게 한 평생을 살다가 죽으면 어디로 가는지 모르는 경우가
대부분입니다. 불교를 믿고 일생동안 불교 신행 생활을 한 불자들이라
하더라도 그것을 모르는 경우가 90% 이상입니다.
불교는 어떤 종교일까요?
나를 바로 알고 바로 살자는 것이 불교입니다.오늘날 여러분의 인생은 전생에 내가 스스로 일으켰던 생각의
그림자이고 그 생각을 마음속으로 결정해서 행동으로 옮겨 실천한
업의 모습입니다.
그래서 내가 스스로 일으킨 생각은 이번 생의 씨앗이 됩니다.
내가 생각하고 실천한 옛 업연이 오늘의 내 인생입니다.
오늘날 내 인생의 창조주가 바로 ‘나’인 것입니다.
생명 있는 중생들을 유정(有情)이라고 합니다.유정중생, 정으로 만들어져 정이 있기 때문에 유정입니다.
그런데 이 육체를 낳아준 아버지, 어머니가 운명과 인생까지 낳아줄
수는 없습니다. 맘대로 안 되는 것이 ‘자식 농사’라고 하지요.
그건 어째서 그런가요?
자식의 육체는 내가 낳았어도 인생은 자기가 지어놓은 업에 따라
부귀영화와 희노애락이 달라지기 때문입니다.
오늘의 내 인생은 내가 만들어 온 것처럼,
자식의 인생 창조주도 바로 자식이기 때문입니다.
생사의 근본은 한 생각으로부터 시작됩니다.한 생각 일어나는 마음이 생사의 근본이요, 윤회의 원인입니다.
또 시비의 시작입니다. 어째서 그러할까요?
선(善)도, 악(惡)도, 지혜도, 법도 누가 만들어 놓거나 설정해 놓은 것이
아닙니다. 선악의 원인은 우리들이 일으키는 한 생각입니다.
착한 생각은 선의 원인이요, 악한 한 생각은 죄의 원인입니다.
그렇다면 내가 지어 놓은 업을 어떻게 돌려받을까요?선업, 즉 좋은 일은 좋은 결과를 낳을 수 있는 힘과 능력을 지닙니다
. 나쁜 결과를 불러 올 수는 없습니다.
또 악업, 악보 등 나쁜 일은 나쁜 결과를 불러올 수 있는 힘과 능력은
있지만은 좋은 결과를 불러올 수는 없는 것입니다.
우리가 일생 동안 하는 일이 한량이 없겠지만 뭉쳐놓고 요약해보면세 가지 뿐입니다. 선업, 악업, 무기업이 그것입니다.
선업은 선보(善報), 악업은 악보(惡報)를 받는데 무기업은 선악간의
과보가 뚜렷하지 않고 힘없는 업이기에 이것을 무기업이라고 합니다.
자신이 지은 업은 삼 단계를 거쳐 가면서 받습니다.
금생에 지어 금생에 업을 받기도 하고,
전생이나 그 앞 생에 지어놓은 업의 과보가 내생에 나타나 내생
운명을 좌우하기도 합니다. 금생에 지은 업이 저 후생까지 이어지기도
합니다.
문제는 이 생에 태어난 우리는 과보를 받으면서 또 업을 짓습니다.업을 지었기 때문에 과보를 받기 위해 내생이 필요하고 또 존재하는
것입니다. 또 다음 생에 가서 금생에 지은 업을 받으면서 또
짓기 때문에 내생이 필요하고 그런 과정을 시작 없는 그 옛날 옛적부터
계속해 반복하고 있습니다.
지금 이 자리에 있는 여러분은 받기 어려운 사람 몸을 받아불연을 맺었습니다. 불법을 만났으니 오늘 내 주위에 일어나고 있는
모든 일이 내가 짓고 내가 받는 것임을, 그 이치를 정확히 알아야 합니다. 내가 나를 구제하고 제도해야지 나 아닌 어느 누구도 나 대신 내 인생을 구제할 수 없다는 의미입니다.
그런 까닭에 우리는 부처님의 가르침을 배우고 믿고 실천해야 합니다.어떻게 해야 내 영혼을 구제하고 제도할 수 있을까요?
법문을 들어 배우고,
배운 것을 믿고 믿어 내 것으로 만들어야 그것을 행동으로 옮겨
실천할 수 있습니다. 내가 실천하는 것이 생사의 근본이 되고 윤회의
원인이 됩니다. 윤회 고(苦)를 벗어나려면 열심히 부처님의 가르침을
믿고 이 마음을 닦아 나의 본래 자성을 직관해 증득하고 깨달아야 합니다. 우리는 그저 물질적인 육체만을 알지 이 육체를 끌고 다니는 참 나,
나의 주인공은 모르고 있습니다.
왜 그런고 하면 바로 보지 못하기 때문입니다.
그러면 왜 못 보느냐, 한 생각 일어나면 번뇌고 한 생각 일어나면
망상인데 이것이 내 생각인 줄 알고 번뇌의 앞잡이가 되어 생활하다
보니 못 보는 것입니다.
우리의 본래면목, 이 마음자리는 눈으로는 안 보입니다.왜냐,
우리가 내 눈이라고 믿고 있는 눈도 지수화풍 사대(四大)로 이루어진
유형색신에 속해 있는 물질적인 육안이기 때문입니다.
이 마음은 허공과 같아 모양이 없고, 물질이 아니기 때문에 볼 수
없는 것입니다.
그래서 내가 내 마음을 바로 보려면 마음의 눈을 떠 마음으로서 마음을직관해야 합니다. 그것을 견성(見性)이라고 합니다.
스님들께서 공부하다가 도를 깨달은 것을 견성했다고 합니다.
견성을 하고 나니 나의 성품을 볼 수 있고 그런 연후에 나를 안다고
하는 것입니다. 아니까 바로 깨달아 중생을 제도할 수 있는 것입니다
. 하루 5분이라도 나의 마음 변화를,
내가 무엇에 집착하고 있는가를 살피는 습관을 가져야 합니다
. 명상을 하면서 말이지요.
불교는 남의 신(神)을 보는 것이 아니라 내가 내 마음을 바르게 관(觀)하고 내 성품을 관하는 것입니다.나의 성품 자리를 항상 지켜봅시다.
'자기계발과 마음공부' 카테고리의 다른 글
자기인생/ 서암스님 (0) | 2011.12.16 |
---|---|
동지팥죽을 먹는 의미 !!!!! (0) | 2011.12.16 |
공생공존(共生共存) (0) | 2011.12.15 |
[스크랩] 하느님 안에 하나라는 것 (0) | 2011.12.14 |
[스크랩] 나는 이미 그것이라고 말하라. (0) | 2011.12.1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