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십이장경/정한스님/ 어진 사람을 해치면 그 죄는 스스로 받는다
어진 사람을 해치면 그 죄는 스스로 받는다
佛言하사대 惡人이 害賢者는 猶仰天而唾 唾不至天하고 還從己墮며 逆風場塵에 塵不至彼하고 還坌己身이니 賢不可毁라 禍必滅己리라 부처님은 말씀하셨다. “악한 사람이 어진 이를 해치는 것은 마치 하늘을 向해 침을 뱉음에, 침은 하늘로 올라가지 않고 自己 얼굴에 되돌아 떨어지고, 바람을 거슬러 먼지를 날리면 먼지는 날린 쪽으로 가지 않고 自己 몸에 되돌아와 묻는 것과 같다. 어진 사람을 害치지 말라. 禍가 반드시 그 自身을 滅하고 말리라. ”
*** 부처님께서는 惡한 사람을 境戒하여 어진 사람을 害치지 말라는 말씀을 두 가지 비유를 들어 밝히셨습니다. 만약 악한 이가 어진 사람을 해치려 해도 어진 사람은 해를 입지 않고 다만 스스로를 해치게 된다고 하셨습니다. 우리 주변에 보면 참으로 어질고 바르게 살아가는 사람들이 많습니다. 결코 남을 해롭게 하지 않고 주어진 대로 열심히 자신의 일에 최선을 다하는 삶을 살아가시는 분들, 우리는 이런 선한 분들을 보면 그 분들의 살아가는 모습을 본받아 나 또한 그와 같이 살아야 한다는 생각을 가져야 하는데, 그러한 마음이 쉽게 안 일어나고 어렵다고들 합니다. 그러면 무엇 때문에 그 마음이 어렵겠습니까. 다름 아닌 他人을 向한 시기하고 질투 하는 마음, 本來의 맑은 性稟을 가리는 分別心이 原因입니다. 착하고 어진 이웃이 있고, 바르고 誠實하게 살아가는 어진 벗이 있다는 것은 참으로 아름다운 일이지 결코 시샘하고 경쟁 할일이 아닙니다. 그런데 우리는 이웃이나 친구보다 내가 더 잘되고 봐야 한다는 그런 計算하는 마음이 앞서기 때문에 問題가 되는 것입니다. 나와 남을 差別 없이 볼 수 있다면 이 세상 살아가기가 참으로 便합니다. 이웃이 잘 되면 내 일처럼 축하하고 함께 기뻐해주고, 어렵고 힘든 일 있을 때 서로 힘이 되어주고 아픔을 같이 나눌 수 있다면 이 얼마나 아름다운 마음입니까. 이렇게 살아갈 때 우리의 이 마음자리는 조금도 물들지 않은 本來의 맑은 부처님 자리, 道人의 삶, 眞理 그 自體가 되는 것입니다. 우리는 살면서 어진 이를 많이 만나야 합니다. 어진 이웃을 만나고 어진 벗을 만나기 위해서는 내가 먼저 어진 벗이 되어주고 다정한 이웃이 되어줘야 합니다. 이웃에 좋은 일이 있으면 내 일 보다 더 기뻐하는 마음이 가식 없이 일어나야 합니다. 반대로 불행하고 아픈 일을 겪을 때도 역시 아픔을 함께 나누고 격려하는 마음을 가져야합니다. 이웃의 아픔을 내 가족의 아픔과 조금도 다름없이 生覺하는 참 마음을 가져야 합니다. 이 참 마음은 本來 그런 자리 입니다. 때 묻지 않은 맑고 淸淨한 眞如요, 佛性이고 宇宙고 그렇습니다. 우리 마음이 곧 宇宙고 宇宙法界가 그대로 마음이고 그렇습니다. 연꽃이 진흙 속에 있어도 더러움에 물들지 않듯이, 사람도 根本이 어질면 결코 惡에 물들지 않습니다. 이것이 참 마음이고 바른 성품입니다. 그러니 우리는 이 본래 맑은 마음자리의 主人이 되어야 합니다. 힘들고 어려운 이웃이 있다면 그들을 위해 내가 먼저 손 내밀어 힘이 되어주고, 고통 받는 이웃을 위해 말 한 마디라도 진정으로 따뜻하고 다정하게 對할 수 있는 자비로운 마음을 가질 때 우리의 삶은 한결 더 아름답고 넉넉하게 됩니다. 우리 불자님들도 언제 어느 자리에서든 他人에게 선하고 어진 이웃이 되셔야합니다. 어진 이를 돕는 것은 스스로를 利益 되게 하는 일이지만, 어진 이를 害치는 일은 그 害가 自身에게 되돌아온다는 사실을 가슴에 새기신다면, 어떤 因緣을 만나더라도 작은 行動이나 말 한마디라도 함부로 하지 않는 어질고 향기로운 참 불자님이 되실 것이라 생각됩니다. 이 사십이장경은, 살아가면서 우리가 놓치기 쉬운 가장 중요한 부분들을 일깨워주는 참으로 소중한 경전입니다. 불교는 어렵고 복잡한 공부가 아닙니다. 알고 보면 불교만큼 쉽고 재미있으며 또 무엇보다 科學的이고 哲學的인 工夫가 다시없습니다. 우리는 이렇게 좋은 공부, 생활에 꼭 필요한 공부를 할 수 있을 때 修行을 게을리 해서는 안 됩니다. 앞서 수차례 얘기 했지만 자신을 비워가는 공부,卽 부처님이 되는 공부는 다른 것이 아닙니다. 하루하루 자신에게 주어진 시간을 소중히 여기며, 착하고 진실 되게 최선을 다해 오늘을 열심히 살아가는 그것 말고는 없습니다. 나부터 잘 되고 보자는 식의 따지고 계산하는 그런 마음자리가 아니라, 나와 남을 둘로 보지 않는, 한결같은 자비로운 마음으로 베풀고 비워갈 때 우리의 性稟은 더 없이 맑고 밝은 本來의 淸淨한 자리, 하늘의 구름이 걷히면 太陽이 드러나듯 그렇게 가볍고 자유로운 삶이 됩니다. 지금 이 瞬間부터 우리 다 같이 大 自由人의 삶을 살수있도록 함께 노력 하십시다. 나무마하반야바라밀. -무불스님 향불회- |
'자기계발과 마음공부' 카테고리의 다른 글
[스크랩] 마음이 아름다우니 세상이 아름다워라 (0) | 2013.06.24 |
---|---|
착한 것은 道가 아니다 (0) | 2013.06.24 |
[스크랩] [正牧스님] 자연과 생명 일체가 쉬지 않는다 (0) | 2013.06.24 |
자기에 속지마라~~~!!! 무불스님 (0) | 2013.06.23 |
하나의 의미 - -우학스님 (0) | 2013.06.2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