誓願이 수행의 기초 ... / 용타스님(행복마을 회주)
http://blog.daum.net/lgguil/7894
誓願이 수행의 기초 ... ... / 용타스님(행복마을 회주)
사람이 사는데 있어 누구나 幸福하게 살고자하는 바람은 모두가 같을 것입니다.
삶을 어떻게 살아야 하는가에 대한 부처님의 答도 바로 ‘幸福하게 산다’ 즉, ‘離苦得樂’이었습니다.
그럼 幸福하게 살기위해서 여러분은 지금 構體的으로 무엇을 하고 계십니까.
여러분 중 상당수는 아마도 그 答을 얻고자 이 法堂에 오셨을 것입니다.
어떻게 살 것인가에 대한 答을 찾기 위해 여러분은 우선 大藏經을 더듬게 되지요.
八萬大藏經이라 함은 그 속에 八萬가지나 되는 가르침이 있다는 것인데 그것을 어떻게
다 섭렵 할 수가 있겠습니까. 그러니 읽어가다 마음을 때리는 句節이 있으면 그것을 골라
여러분 삶의 基準으로 채택 할 것입니다. 그렇게 擇해진 答들이 여러분의 현찰입니다.
그리고 그 答에 약간의 힌트를 더 드리고자 합니다.
우선 根本佛敎 쪽 工夫를 한다면 ‘석가모니 부처님의 肉聲을 통해 傳해진 가르침은 바로 이것이다’라고
하는 한 가지는 있어야 합니다. 그것이 바로 四聖諦, 十二緣起, 八正道입니다.
이것은 석가모니께서 大覺을 成就하신 다음에 世上 사람들에게 가르침을 傳하기 위해 만든敎科書입니다.
그러므로 불교인이라면 누구나 이 가르침을 三歸依처럼 익혀야 합니다.
그런데 事實 四聖諦, 十二緣起, 八正道 그것도 그리 만만한 일이 아닙니다.
이 가르침이 여러분 속에 廓然해진다면 大乘佛敎와 禪佛敎 全切가 그속에 다 들어있습니다.
四聖諦 十二緣起 八正道 가운데 우리가 살아가면서 實踐해야할 삶의 實踐行이 바로 八正道입니다.
그러므로 우리는 이 八正道를 꿰뚫어야 합니다. 八正道에서도 正見이 核心 눈, 正眼입니다
그 다음, 大乘佛敎로 건너와 봅시다. 大乘佛敎는 時代가 바뀌면서 根本佛敎가
그 大乘時代에 맞는 버전으로 再編輯된 것입니다. 八正道만 하더라도 대승불교로 넘어오면서
六波羅蜜로 바뀝니다. 하지만 內容은 똑같습니다. 똑같은데도 굳이 바꾼 理由가 있습니다.
時代가 發達하면서 人間關係가 치열해지다보니 關係에 相應하는 德目이 强調돼야 했습니다.
대승불교 시절로 오면서 人間關係가 치열해지다보니 베푸는 布施가 重要해졌고,
부딪히고 안 좋은 일이 더 많이 생기게 되니 忍辱이 要請되었습니다.
이러한 人間關係에서 가장 重要한 이 두 가지를 다시 强調하기 위해 祖師들이 고민한 끝에
布施와 忍辱을 强調하는 六波羅蜜로 整理한 것입니다. 그러므로 六波羅蜜과 八正道를 놓고
冥想을 해 보면 두 가지가 結局은 똑 같다는 점을 알게 됩니다.
대승불교로 再編輯된 속에서 여러분은 무엇을 건지십니까? 四聖諦 八正道만으로도 훌륭하지만
時代가 바뀌면서 發展돼 나온 새 버전을 정말 傾聽해야 합니다. 새 버젼이 ‘衆生無邊誓願度’입니다.
이것은 근본불교시대에도 있었습니다. 석가모니께서 60명의 비구에게 포교선언을 할 때 “비구들이여,
둘이 같은 길로 가지 말라”고 할 정도로 곳곳에 가서 보다 많은 사람을 濟度하라 말씀 하셨습니다.
하지만 ‘衆生無邊誓願度’와 같은 表現이 근본불교에서는 덜 강조되고 있었습니다.
下化衆生, 佛性思想, 空思想, 唯識思想 等 부처님 뜻 속에는 들어있지만 크게 표방되지 않았던 것이
大乘佛敎時代에 와서 强造되면서 대승불교를 대표하는 槪念들로 자리 잡게 되었습니다. 그러니
여러분들도 삶의 基準을 整理할 때 대승불교의 이런 槪念들을 놓치지 마시기 바랍니다.
다음으로, 禪佛敎를 보겠습니다. 여기를 보면 정말로 別種佛敎가 나옵니다.
바로 達摩大師를 始作으로 하는 禪宗입니다. 달마대사가 중국에 와서 깃발을 새웠는데
그 깃발이 卽心是佛, ‘이 마음이 부처다’였습니다. 印度에서는 아무도 이 말을 믿지 않았던 것이고
中國에서도 쉽지는 않았습니다. 중국에도 이미 불교가 들어와 판을 치고 있었기 때문이었습니다.
그래서 9年間 面壁을 하며 法의 因緣을 만날 때를 기다렸습니다. 그 結果 禪佛敎가 中國을 휩쓸었습니다.
達摩가 中國에 씨앗을 던진 禪佛敎는 韓國에서 꽃을 피웠고, 韓國에서는 禪佛敎를 排除할 수 없는 狀況이
됐습니다. 그런데 배제되면 참으로 안될 것이 바로 卽心卽佛입니다. 심지어 馬祖는
‘汝卽是佛, 너 그대로가 부처다’라고까지 했습니다. 이것이 大乘思想에도 맞습니다.
‘皆有佛性’이라 天下에 부처 아닌 것이 없다는 思想이 대승불교 시절에도 있었습니다.
그러니 ‘내 마음이 부처다’라고 내 놓는 것이 佛法에 맞는 것임에도 불구하고 먹히지 않았고
중국에 와서야 卽心卽佛의 기치가 成功을 한 것입니다.
그러나 禪佛敎의 밥값은 卽心卽佛 自體에 있었던 것이 아니라 禪佛敎의 제자가 가르침에 잘 適應하다 보면
‘지금 꿈틀거리고 있는 이 마음이 정말 부처로구나’ 하고 느끼게 만들어주는 것이 바로 禪佛敎의 밥값이었습니다.
根本佛敎, 大乘佛敎, 禪佛敎의 重要한 槪念들을 整理해 봤습니다. 어느 하나 버릴 수 없는 좋은 가르침들입니다.
그래서 근본불교, 대승불교, 선불교의 좋은 槪念들을 統合해 한 번에 익힐 수 있는 方法을 고심했습니다.
그래서 성취한 것이 同事攝修行입니다. 이 宇宙 한 복판에 내가 있습니다.
여기 있는 이 나를 除外해 놓고는 世上의 存在 意味를 이야기 할 수가 없습니다.
그런 만큼 ‘나’는 重大한 槪念의 하나입니다. 손으로 自身을 가리키면서 ‘나는’이라고 말합니다.
그런데 나는 無我라고 했지요. ‘無我인 나’는 그래서 ‘眞空妙有’입니다. 自我라는 것을 따지고 들어가면
찾을 수 없지만 現象的으로는 分明 있는 것이니 그 두 가지를 모두 살려내는 것이 眞空妙有입니다.
眞空妙有인 나는, 菩薩道의 道具라고 봐도 좋겠지요. 그래서 또 ‘보살도 도구인 나’입니다.
그래서 ‘나’라고 하는 瞬間에 내가 사라져 버릴 일이요(眞空),
아무리 사라져도現實에는 이렇게 있으니 妙有입니다.
이 妙有를 옆에 있는 괴로운 存在들의 苦痛을 除去해주는데 쓰자는 것입니다.
그래서 보살도의 도구인 나입니다. 이 살아있는 나는 어느 쪽으로 움직여야 하는가.
無限 宇宙에 있는 모든 有形 無形, 有情 無情 모든 存在들의 幸福 解脫을 위해서 나를 바치리라는 겁니다.
그것이 없는 내가 해야 할 일입니다. 나는 ‘一物’ 한 物件이라고도 합니다.
나라는 말에는 검불이 너무 많이 붙어있기 때문이지요.
그래서 ‘보살도 도구인 이 一物은 우리 모두의 幸福 解脫을 위해서 나의 全 에너지,
全 存在를 바치나이다’라고 하루에도 여러 번씩 祈禱를 하세요.
慈悲修行을 어떻게 하는가라며 궁금해들 하시는데, ‘모두의 幸福을 위해서’라는 이 祈禱를
처음에는 맨입으로 하지만 每日 하다보면 確實한 마음이 몸으로 차오름을 느낍니다.
모두의 幸福을 위해서가 너무 막연하게 느껴진다면 처음엔 가족, 그다음엔 이웃, 직장 등으로
넓혀나가세요. 우리 마음은 매우 완고하지만 同時에 이 마음보다 더 소프트한 것도 없습니다.
한 마음 딱 바꿔서 冥想하고 있으면 몸이 내 마음 속에서 冥想한대로 바뀌어져 있음을 느끼게 됩니다.
慈悲修行을 하고 싶으면 祈禱하세요. 誓願의 祈禱입니다. 내 가족들의 幸福을 위해 나를 바치리라는 祈禱,
그것을 좀 더 넓혀 내 이웃, 내 직장 동료를 위해 祈禱하며 계속 넓혀가다 보면 내 마음이 祈禱하는대로
열리게 됩니다. 慈悲修行의 모든 基礎는 바로 모두의 幸福을 위해 나를 바치겠다는 誓願입니다.
모두의 행복을 위해서 나를 바치는 方法은 세 가지입니다. 지금 여러분에게 주어진 일 卽,
아버지는 아버지 노릇, 딸은 딸 노릇 등 이름에 걸맞는 노릇을 열심히 하는 것이 첫째입니다.
두번째가 關係입니다. 和合을 끌어내는 것입니다. 어떻게 和合할 것인가를 떠올리고만 있어도
그때그때 答이 나옵니다. 세번째가 마음工夫 잘해서 마음이 極樂이 돼야 합니다.
이 順序를 바꾸면 修心, 和合, 作善입니다. 正體, 大願, 修心, 和合, 作善 이것 빼고 人生이 있겠습니까.
根本佛敎, 大乘佛敎, 禪佛敎의 엑기스가 이것이라고 생각합니다.
여러분들이 한 生 제대로 살려면 삶의 基準이 있어야 합니다. 그 基準이 불교의 가르침입니다.
그 가르침을 工夫하려면 앞에 말한 근본불교, 대승불교, 선불교의 중대한 槪念들을 여러분 속에서
工夫하고 그에 따라 冥想해보면 여러분 속에서 正體, 大願, 修心, 和合, 作善과 같은 여러분 自身의
삶의 基準이 定立될 것입니다. 그 基準대로 한 生 잘 사시는 것입니다.
그런데 마지막으로 하나, 그런 것 다 모르더라도 여러분은 지금 이대로 너무 훌륭합니다.
사람으로 태어났다는 것 만해도 장하고 훌륭한 일입니다.
그런데 사람으로 태어나 불교를 만났다는 것 너무너무 잘하셨습니다.
아무것도 더 안하고 이대로만 살아도 될 정도인데 正覺院 와서 工夫를 하니
이대로만 잘 사시면 됩니다. 여러분 인생, 이대로 충분합니다.
정리=남수연 기자 namsy@beopbo.com
11월 21일 동국대학교 정각원에서 설한 법문을 요약 게재한 것입니다.
--------------------------------------------------
용타 스님은
1942년 전남 강진 출생이다. 1964년 청화 스님을 은사로 득도하고
1971년 전남대 철학과를 졸업했다. 1974년부터 1983년까지 제방선원에서 20안거를 성만,
1980년 동사섭 수련프로그램을 개발했다. 김제 귀신사 회주, 미국 삼보사 회주,
성륜문화재단 이사며 현재 (재)행복마을 이사장이다.
저서에는 『마음 알기 다루기 나누기』 『해탈 10분』 등이 있다.
출처 : 법보신문 1026호 [2009년 12월 07일 17:00]
카카오스토리 트위터 페이스북
'자기계발과 마음공부' 카테고리의 다른 글
입능가경 총품(總品) 22. 유견무견(有見無見) 원오스님게송 (0) | 2015.02.20 |
---|---|
천지창조의 새로운 버젼 (0) | 2015.02.19 |
용서(容恕) (0) | 2015.02.19 |
[스크랩] "화 다스려, 복 많이 받으세요" (0) | 2015.02.19 |
진심직설[眞心直說]① - 보조 국사[普照知訥] (0) | 2015.02.1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