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기계발과 마음공부

‘지범개차(持犯開遮)

장백산-1 2015. 3. 24. 15:05

 

 

 

 

‘불교 초보 탈출 100문 100답’
불교에 대한 궁금중 단박에 풀다
김성철 교수의 體係佛學 눈으로 해석
‘지범개차(持犯開遮)’는 ‘허용’과 ‘금지’를 의미
2009년 09월 03일 (목) 17:21:06서현욱 기자 mytrea70@yahoo.co.kr

  

 

 

 

 

 

 

 

 

“임진왜란 때 僧兵을 조직해 참전했던 西山 大師는 殺生으로 因한 果報를 받았을까?” 김성철 동국대 교수의 답은 “그렇다”이다. “불자가 아닌 사람이 불교의 戒律을 얻어도 그에 대한 果報를 받을까?”라는 질문의 답도 “그렇다”이다. “初期 禪僧들은 坐禪을 하지 않았다는 데 사실일까?”란 질문과 “부처님은 輪廻를 가르치지 않았다는 데 사실일까?”라는 질문에는 “아니라”고 답한다.

佛敎에 대한 疑問은 참 풀기 어렵다. 特히 이런 困亂한 質問에는 答하기가 어렵다. 答을 한다 해도 그 根據를 대기 어려울 때가 있다. 김성철 교수는 불교를 공부하면서 한 번쯤 들었을만한 질문들에 답한다. 答의 根據는 철저하게 經典을 바탕으로 제시한다.

불교 초심자부터, 전공자, 물리학 교수, 스님 등 3년 동안 김성철 교수의 홈페이지에 올라온 질문들은 다양하고 기발하다. 김성철 교수의 답은 뜬 구름 잡는 얘기가 아니다. 經典을 根據로 한 論理整然한 答辨이 明快하다.

“서산 대사도 果報를 받았을까?”라는 의문에 김 교수는 “因果의 法則, 즉 原因과 結果의 法則은 한 치의 誤差도 없고, 단 하나의 例外도 없다”고 佛敎 因果論을 설명한다. 결국 살생에 참여한 서산 대사는 그에 따른 果報를 받았다고 김 교수는 經典을 근거로 설명한다. 하지만 김 교수의 答은 단순한 經典 句節에 얽매인 解釋만은 아니다. ‘佛敎學’的 觀點이 아니라 ‘佛學의 눈’으로 解釋을 덧붙인다. “三毒心에 의한 살생과 ‘苦痛에서 벗어나기 위한 살생’은 區分해야 하고, 서산 대사의 살생을 ‘미래나 내생에 고통의 과보를 받을 각오하고서, 보다 큰 善을 위해서 살인을 하고 살생을 하는 菩薩道’라고 규정한다.

김성철 교수는 “초기 선승들은 坐禪을 하지 않았다는 데 사실일까?”란 질문과 “부처님은 輪廻를 가르치지 않았다는 데 사실일까?”라는 주장에 대해 일침을 놓는다. 이런 주장은 경전이나 선어록, 불교사를 꼼꼼히 살필 수 없는 사람들에게는 ‘정말’일까 하고 호기심을 불러 일으킬만한 주장이지만, 김 교수는 이 모든 것의 基底에는 現代 佛敎學 誕生의 秘密이 숨어 있다고 말한다. 김 교수는 “초기 西區의 佛敎學者들은 基督敎 信仰을 갖고 佛敎를 比判하기 위해 佛敎를 硏究했기에 基督敎的 世界觀에 맞지 않는 佛敎의 神秘한 敎理들은 모두 잘라버린 後 合理的이고 論理的인 敎理만을 抽出하여 佛敎라고 規定해 왔다”고 보았다.

불교초보탈출 《100문 100답》은 김성철 교수가 정립하고 있는 ‘체계불학’의 관심에서 해석된다. 《100문 100답》의 부제가 〈김성철 교수의 체계불학〉이다. 김 교수의 체계불학은 基督敎의 神學에 대응하는 佛學이다. 김 교수는 “대부분의 神學이 ‘啓示의 學門’ 또는 ‘接神의 學門’이라면, 佛敎學을 抱括하는 ‘佛學’은 ‘깨달음의 학문’, 즉 ‘각학(覺學)’”이라고 보았다. 불교학의 견지에서 佛學의 하위분과에 ‘접신의 학문’으로서의 ‘神學’을 위치시키는 것이 옳다고 김 교수는 보았다. 하지만 神學의 思考方式이 人文學 全般에 깊이 뿌리내린 지금의 학문 풍토로는 神學을 하위분과로 두는 佛學 成立은 요원하다고 보았다.

“근대 이후 서구를 중심으로 불전에 대한 문헌학적 연구, 인문학적 연구가 시작되었다. 帝國主義 時代에 植民地 經營을 위한 學門的 補助手段인 地域學, 言語學, 宗敎學 分野에서 佛敎가 硏究되었는데, 西區 人文主義 傳統의 客觀性과 科學性, 合理性을 方法論으로 삼았다는 데 그 特徵이 있다. 이러한 인문주의 불교연구는 불교에 대한 인습적 오해를 시정한다는 점에서 큰 가치를 갖기만, 마치 실험동물을 다루듯이 불교를 解剖하다 보니 불교의 종교성이 忘失되기 쉽다. 갖가지 異說이 난무한다.” 김성철 교수가 體係佛學을 定立해 가는 理由이다.

김성철 교수는 ‘지범개차(持犯開遮)’에 대한 狀況論的 解釋을 단호히 거부한다. 이유는 ‘開遮’는 佛敎倫理의 자의성(恣意性)이 아니라 ‘許容’과 ‘禁止’를 意味하기 때문이라는 것이 김 교수의 해석이다.

‘持犯開遮’는 高麗시대 보조 스님의 계초학입문《戒初心學入文》에 나오는 구절로 일반적으로 ‘開遮’를 “狀況에 따라 내가 마음대로 戒律을 열고 닫는 것“으로 해석하는 데 이는 잘못된 해석이라는 것이다. 김 교수는 大藏經에서 ‘持犯’은 ‘지키는 것과 어기는 것’을 의미하고 ‘lock’를 소위 ‘開遮法’으로 이해하는 ‘恣意的 戒律觀’은 佛敎를 훼손할 뿐이라고 보았다.


따라서 ‘선지지범개차(善知持犯開遮)’는 “무엇이 지키는 것이고, 무엇이 어기는 것이며, 무엇이 허용되고[開], 무엇이 금지되는지[遮] 잘 알아야 한다.”로 해석해야 한다는 것이다.

 
김 교수는 불전에는 戒를 제정하고 파기하는 것은 부처님과 같이 완전한 깨달음을 얻는 분만 할 수 있다고 가르친다고 설명한다. 혹 깨달음 분이 안계시는 경우에는 승가의 대중 전체가 화합하여 결정할 수 있다고 보았다. 김 교수는 현대사회에 계율이 시대와 풍토에 어울리지 않다면 〈백장청규〉와 같이 대중의 화합을 통해 새롭게 ‘율’을 제정하면 된다고 설명했다.


김성철 교수는 학문과 신앙이 하나가 된 시스템을 연구 중이다. 《100문 100답》은 김 교수가 지은 첫 대중서이다. 그동안 학술 논문만 써왔던 김 교수는 앞으로 體係佛學을 通해 대중들의 질문에 답하려 하고 있다.

서현욱 기자

ⓒ 불교저널(http://www.buddhismjournal.com)

 

 

'자기계발과 마음공부' 카테고리의 다른 글

소통과 말의 힘  (0) 2015.03.27
내가 죽은 뒤에 갈 곳  (0) 2015.03.27
지범개차(持 犯 開 遮)  (0) 2015.03.24
11. 보시-중  (0) 2015.03.24
相對性이라는 幻想과 永生의 길  (0) 2015.03.2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