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기계발과 마음공부

무아와 무분별을 실천하려면

장백산-1 2016. 1. 15. 02:03

무아와 무분별을 실천하려면

 

 


 불교에서는 ‘나’라는 고정된 실체적 自我는 없다(無我)라고 말한다. 이 세상 이 모든 것들은 나라는

것이 없다는 諸法無我라는 말이다. 그럼에도 우리의 意識은 ‘나’라고 하는 것을 어떤 사람이라고

規定짓고 싶어 한다. 事實은 나라는 존재는 그 어떤 것으로도 規定될 수 없는 것이다. 지금까지 살아

온 삶을 바탕으로 그것을 사람들은 ‘나’라고 규정한다.

 

나는 공부 잘하고 능력 있는 사람이라고 스스로를 규정짓게 되면, 스스로가 공부 잘하고 능력 있는

사람이라는 我相과 分別心을 스스로 만들어내게 된다. 다른 사람에 비해 나는 능력도 더 있고 공부도

더 잘한다고 比較함으로써 分別心을 만들어내는 것이다. 本來 無我인 나를 他人과의 比較 分別을

해서 공부 잘하는 나라는 我相 즉, 自我意識을 내세우게 되면 이제부터는 자신의 意識이 스스로

만들어 놓은 그 我相 즉, 나라는 것이 있다는 그 生覺에 얽매여 꼼짝달싹 못하는 괴로운 신세로

전락하고 만다.

 

자승자박, 자업자득, 자작자수, 무승자박, 인과응보라고 하여 누구도 나를 묶어 놓은 적이 없는데

나 자신의 의식 스스로 나는 어떤 사람이라고 規定짓고 我相과 分別心을 지어 놓고 거기에 스스로

의 意識이 빠져 괴로워하는 것이다.

 

내가 공부 잘 하는 사람이라는 分別心, 我相이 있는 사람은 시험을 볼 때 어느 정도 이상의 성적에

집착한다. 대학교도 어느 정도 이상의 대학을 목표로 세워 놓고 그 대학에 집착한다. 그 대학에 들

어갈 성적이 나오지 않거나 그 대학교에 가지 못하게 되면 괴로워하고 절망한다. 주변에 나와 비슷

하던 친구는 그 대학에 잘 갔는데 나만 못 가게 되었다면 그 괴로움은 더욱더 커질 것은 분명하다.

 

또 다른 예를 들어 보면, 스스로 능력 있는 사람이라고 규정 지어 놓으면 나는 어느 정도까지는 진급

을 해야 하고, 회사에서 인정도 받아야 한다고 스스로 목표를 정해 놓는다. 그러다가 주변의 나보다

못하다고 여겼던 친구나 동료는 진급을 잘 했는데 나만 진급에서 떨어지게 되었다면 그 괴로움은 매

우 클 수밖에 없다.

 

그런데 그 괴로움은 어디에서 왔을까?

 

내 스스로 나는 능력 있고, 저 동료보다는 더 잘 진급해야 하고, 이 정도의 진급은 당연하다고

스스로를 규정짓는  我相을 세워놓았기 때문에, 그 我想의 기대치를 얻지 못해서 괴로운 것이다.

 

사실 ‘나’라는 존재를 아무런 무엇으로도 規定짓지 않고, 있는 그대로의 나 자신, 그저 지금 여기

이 순간 텅~빈 바탕 이 자리 이대로의 나 自身, 즉 無我로 바라볼 수 있다면 어떨까? 나라는 존재는

그저 이렇게 지금 여기 이 순간 텅~빈 바아 이 자리에서 먹고 마시고 숨쉬고 일하는 그냥 한 존재에

불과할  뿐인 것이다. 나를 계급이나 성적이나 학벌이나 외모 같은 것으로도 規定할 수 없는 그저

지금 여기 이 순간 텅~빈 바탕 이 자리에 있는 그대로의 한 존재일 뿐인 것이다. 이 말은 산에 온갖

다양한 나무들이 있지만, 그것들이 다 다르게 생겼을지언정 똑같은 나무들인 것과 같다.

 

그런데 그러한 지금 여기 이 순간 텅~빈 바탕 이 자리에 있는 그대로의 나, 그 무엇으로도 규정되지

않는 나를 이런 나, 저런 나라고 규정짓고, 그러한 나는 이렇게 살아야 하고, 저 정도의 위치에는 올

라야 하고, 진급은 어느정도 까지는 해야 하고, 남들은 나에게 대우를 해 주어야 하고, 나는 사랑받아

야 하고, 이런 式의 나에 대한 規定, 我相, 分別心을 만들어 놓기 시작하면서부터 나라는 존재는

내 의식이 스스로 만들어 논 아상, 분별심, 규정된 나라는 허망한 감옥에 갇힌 사람이 되고 만다.

그런 규정 안에 걸맞으면 행복하고, 그런 규정과 상에 어긋나면 괴로워지기 시작하는 것이다.

 

지금 여기 이 순간 텅~빈 바탕 이 자리에 있는 그대로의 無我가 되어보라. 당신은 그 무엇으로도

규정될 수가 없는 존재다. 다른 사람에게 어떻게 보여야 할 필요도 없다. 어떤 위치까지, 어떤 성공

해야 하는 존재도 아니다. 그저 지금 여기 이 순간 텅~빈 바탕 이 자리애 이렇게 있는 그대로

살아있다는 그 自體만으로도 이미 당신의 삶은 성공적이다.

 

불교에서 말하는 깨달음, 無我가 바로 지금 여기 이 순간 텅~빈 이 자리 이것이다. 그 무엇으로도

規定짓지 않고, 分別하거나 相을 짓지 않고 다만 지금 여기 이 순간 텅~빈 바탕 이 자리 이대로의

나 자신이 되어 自由롭(해탈) 幸福하게(열반) 살아가는 것이 깨달음, 無我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