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근혜 정부 출범

정호성 녹취서열 1위처럼.. 통화 속 '최순실 위세'

장백산-1 2017. 1. 4. 02:41

JTBC

[단독|

정호성 녹취 서열 1위처럼..

통화 속 '최순실 위세'


김준 입력 2017.01.03 22:11





[앵커]

박근혜 대통령이 기자 간담회를 통해 밝힌 "철학과 소신에 따라 국정을 운영했다"는 주장. 앞서 1부에서 정호성 전 청와대 비서관의 휴대전화에 담긴 통화 내용이 이같은 대통령의 주장과 정면으로 배치된다는 단독 기사들을 집중 보도해 드렸지요. 취재기자와 하나하나 짚어보겠습니다.

김준 기자. 저희가 먼저 제기한 내용은 2013년 10월, 정홍원 당시 국무총리의 대국민 담화와 관련해 최순실 씨가 간여한 정황이잖아요? 그런데 이 시기는 국정원 대선 개입 사건과 관련한 수사 때문에 좀 복잡한 때였죠?

[기자]

그렇습니다. 우선 2013년 10월 21일에 당시 국정원 대선 개입 사건의 수사팀장이었던 윤석열 검사가 국정감사에서 수사 외압이 있었다고 폭로를 했는데요.

논란이 커지자 일주일 만인 28일에 정홍원 당시 국무총리가 취임 후 첫 대국민담화를 발표하면서, 대통령이 국정원으로부터 어떤 도움도 받은 적이 없다는 입장을 밝혔습니다.

[앵커]

그런데 담화를 발표하기 하루 전인 27일, 최씨가 정호성 전 비서관에게 담화 관련 지시를 내렸다는 겁니까?

[기자]

네, 최 씨가 대국민담화를 오전 10시에 하도록 정 전 비서관에게 지시를 했고요.

또 정 전 비서관은 최 씨와 상의한 내용을 바탕으로 수정된 담화 자료를 올리겠다고 박 대통령에게 전화 보고를 한 겁니다.

[앵커]

그리고 실제로 최 씨가 지시한 내용대로 다음날 담화문이 발표가 됐지요?

[기자]

네, 최 씨는 같은 날 또다른 통화에서 NLL, 즉 북방한계선을 언급한 것으로 녹취 내용에 나오는데요.

정 전 총리도 다음날 대국민 담화에서 "NLL관련 의혹 등으로 혼란과 대립이 이어지고 있어 안타깝다"는 입장을 내놨습니다.

[앵커]

그러면 정홍원 전 총리의 담화 내용에 박 대통령의 의견은 반영이 안 됐다고 볼 수 있습니까?

[기자]

박 대통령 의견이 반영된 부분도 있습니다.

박 대통령이 정 전 비서관에게 '국민들 속 터지는 것'이라며 '공기업 부채'나 '공공기관 방만한 운영'을 지적하도록 지시했는데, 실제로 정 전 총리가 국가 경제를 걱정하는 발언을 하면서 공공기관의 방만한 운영을 정상화하겠다고 밝힌 겁니다.

[앵커]

대국민담화뿐 아니라 청와대 수석비서관회의와 관련해서도 최순실 씨가 관여한 정황이 녹취록에 담겨 있죠?

[기자]

당시에 의혹이 불거진 이후에 2013년 9월 30일부터 약 4주 동안 박 대통령이 수석비서관 회의에 불참하고 공식 입장도 밝히지 않으면서 '불통' 비판을 받았는데요.

그런데 10월 31일, 4주 만에 수석비서관 회의를 열고 한 달 만에 입장을 밝혔습니다.

[앵커]

이게 최 씨의 지시 때문이라는 정황이 녹취 내용에 나온다는 거죠?

[기자]

네, 27일 통화에서 최씨가 "비서관 회의를 하든가, 국무회의를 하든가 해야지. 외국만 돌아다니는 것 같아"라고 지적을 합니다.

11월 2일에 박 대통령이 유럽 순방을 가기로 예정이 되어 있었는데 그에 앞서 불통 논란을 진화하고 가야 한다고 최 씨가 지시한 겁니다.

[앵커]

통화 녹취 내용을 하나하나 뜯어보면 최 씨의 영향력이 막강했다고 볼 수밖에 없군요.

[기자]

네, 얼마 전 국정조사 청문회나 관련자들의 입을 통해서 최 씨가 대통령과 동급이라거나, 또는 대통령 보다 큰 권력을 갖고 있다는 말이 수차례 나오지 않았습니까.

결국 이런 주장들이 힘을 받는 상황이 된 겁니다.

[앵커]

1부에서도 말씀드렸지만 최 씨의 국정 개입 범위가 여러 군데 걸쳐 있고 워낙 방대해서 정말 이 모든 걸 최 씨 혼자 생각해 냈겠느냐, 이런 의문이 나오고 있지 않습니까.

[기자]

그렇습니다.

김기춘 전 청와대 비서실장을 비롯해서 우병우 전 민정수석 등 박근혜 정부의 핵심 실세로 꼽히는 인물들도 이번 사건과 관련해 등장을 했는데요,

결국 이들과 최 씨 모두가 서로 유기적인 관계에 있으면서 최 씨의 국정 개입을 묵인하고, 나아가 도움을 주진 않았는지, 규명이 필요하다는 주장이 제기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