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근혜 정부 출범

최순실 · 우병우 · 국정원 '삼각 커넥션' 드러나

장백산-1 2017. 10. 17. 13:52

[적폐청산]

최순실 · 우병우 · 국정원 '삼각 커넥션' 드러나

정제혁 기자 입력 2017.10.16. 22:52 수정 2017.10.16. 23:55


[경향신문] 

ㆍ국정원 개혁위 진상조사…국정농단 재조사 불가피
ㆍ추명호 전 국장, 우 전 수석에게 이석수 사찰 보고
ㆍ우리은행장 뒷조사 · 최순실 첩보 수집 직원들 좌천

최순실, 우병우, 추명호(왼쪽부터)

최순실→우병우 전 청와대 민정수석→추명호 전 국가정보원 6국장으로 연결되는 ‘국정농단 3각 커넥션’의 실체가 16일 드러났다. 국정원 자체 조사 결과 추 전 국장이 우 전 수석을 감찰한 이석수 당시 특별감찰관을 사찰해 우 전 수석에게 보고한 사실이 확인됐다. 또 추 전 국장은 최씨 개입 의혹이 불거진 우리은행장 인선과 관련한 뒷조사를 실시해 우 전 수석에게 보고했으며, 국정원 내부에서 보고된 최씨 관련 의혹들은 모두 묵살했다. 최씨가 국정농단 머리, 우 전 수석은 중간 고리, 추 전 국장이 수족 노릇을 했을 가능성이 제기된다. 검찰의 국정농단 재조사가 불가피해졌다.

국정원 개혁발전위원회가 이날 발표한 추 전 국장 관련 의혹은 현재까지 드러난 것만 네 가지다. 먼저 이석수 전 특별감찰관에 대한 사찰이다. 추 전 국장은 2016년 7월 말쯤 부하 직원을 시켜 이 전 감찰관 동향을 수집한 뒤 우 전 수석에게 2차례 보고했다. 추 전 국장이 이 전 감찰관을 사찰한 시점은 이 전 감찰관이 우 전 수석의 처가 부동산 매각 관련 의혹을 감찰하기 시작한 직후다.

추 전 국장이 우 전 수석에게 보고한 내용을 보면 “법조 출신 야당 의원과의 친분관계, 철저한 ‘동선 보안유지’” “경찰청 등의 소극적 자료지원으로 조사 답보, 기간연장 없이 시한(8·25)에 맞춰 민정수석 감찰조사 매듭 예상” 등 이 전 감찰관 개인 동향 및 감찰 내부 동향을 담고 있다. “경찰청 등에 자료를 선별 지원하여 ‘조사 비협조’ 오해가 불거지지 않도록 유의” “시간벌기를 통해 야당의 공세 타이밍을 분산시키는 전략적 대응 검토 필요” 등 대응 방안도 제시하고 있다.

추 전 국장이 2016년 6월 말 소속 처장에게 우리은행장 비리 첩보를 수집해 보고할 것을 지시한 사실도 확인됐다. 추 전 국장은 부하 직원들로부터 2차례에 걸쳐 관련 첩보를 보고받은 뒤 8월12일 우 전 수석에게 전달했다. 국정원 개혁위는 “최순실이 2016년 7월 작성한 것으로 보이는 우리은행장 인사청탁 관련 문건이 발견된 점에 비추어 최순실 등이 새로운 행장 후보를 추천하기 위해서는 당시 우리은행장 연임을 저지할 수 있는 명분이 필요했을 것으로 추정된다”고 밝혔다.

최씨→우 전 수석→추 전 국장 지시를 거쳐 우리은행장 사찰이 이뤄진 것으로 보인다.

추 전 국장이 ‘최순실 국정농단’ 의혹 관련 첩보를 수집한 직원들을 좌천한 것도 ‘3각 커넥션’을 뒷받침한다.

국정원 직원들은 ‘정윤회 비선농단 의혹’이 제기된 직후인 2014년 12월부터 ‘최순실 국정농단’ 의혹이 불붙은 2016년 11월까지 관련 첩보를 다수 수집했다. 관련 첩보는 추 전 국장 부임 이후에만 170건에 달했지만, 추 전 국장은 이를 묵살했다. 도리어 해당 정보를 수집한 직원들을 ‘유언비어 유포’ 등 사유로 좌천시켰다. 안봉근 전 청와대 국정홍보비서관의 경찰 인사 관여 첩보를 보고한 직원도 지부로 발령냈다.

추 전 국장이 2016년 3월4일 문화체육관광부 간부 8명의 세평을 작성·보고할 것을 지시한 사실도 드러났다. 이들 중 6명은 최씨에게 미운털이 박힌 이들로, 우 전 수석은 김종덕 전 문체부 장관에게 이들의 인사조치를 요구한 혐의(직권남용 혐의)로 기소된 상태다. 역시 최순실→우병우→추명호로 이어지는 3각 커넥션을 뒷받침한다.

<정제혁 기자 jhjung@kyunghya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