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처다운 생각, 말, 행동
하루 동안 맑고 한가하게 지내면 하루 동안 신선이며,
한 가지 행위가 부처다우면 그 행위 하나가 부처이다.
一日淸閑一日仙 一行如佛一行佛
일일청한일일선 일행여불일행불
- 고덕(古德)
세상을 사는 사람들이 아름다운 산이나 한적한 사찰에 오면 흔히 “신선이 사는 곳 같다”, “신선이 되겠다”라는 말을 한다. 그렇다. 환경이 맑고 자신의 마음이 하는 일이 없어 마음이 한가하면 그 마음 그대로가 신선이다. 그러나 환경이 맑아도 마음 속에 온갖 복잡한 생각, 분별 망상 번뇌가 한시도 떠날 때가 없으면 제아무리 좋은 환경에 처해 있어도 신선 같은 삶은 맛보지 못한다. 환경과 마음이 함께 맑고 한가해야 잠깐이라도 신선이 될 수 있다.
그리고 불교에서는 신선의 삶보다는 부처로서의 삶을 가장 선호한다. 불자들은 밤이나 낮이나 부처가 되는 것이 꿈이다. 부처(깨달은 자, 지혜로운 자)는 행동, 말, 생각이 부처 같아야 될 수 있다. 행동 하나, 말 한 마디, 생각 하나를 부처 같이 하면 그것이 곧 부처의 행위이다. 부처 같은 행위, 즉 부처다운 말, 행동, 생각을 한다면 그는 그대로 부처다. 이것을 일행일불사상(一行一佛思想)이라고 한다.
예컨대 두 팔 두 다리가 멀쩡한 사람이 1분간 다리를 저는 흉내를 낸다면 그 사람의 그 1분의 인생은 다리를 저는 인생이다. 또 누군가가 두 눈이 다 밝은데도 1분간 맹인의 흉내를 낸다면 그 사람의 그 1분의 인생은 맹인의 인생이다. 그와 같이 한 순간 부처의 행위를 하면 그 사람의 그 한 순간의 인생은 부처이며, 한 순간 아수라나 아귀와 같은 행위를 하면 그 사람의 그 한 순간의 인생은 곧 아수라며 아귀의 인생이다.
나는 무엇이며, 나는 누구인가? 답은 간단하다. 내가 지금 이 순간 이 자리에서 무엇을 생각하고, 무엇을 말하고, 무엇을 행동하는가가 답이다. 내 몸이 있는 장소가 내가 사는 세상이 아니라, 나의 관심사가 곧 내가 사는 세상이며, 내가 하고 있는 말이 곧 나고, 내가 하는 행동이 곧 나다. 잘 살펴보라. 지금 여기에 부처로 있는가. 아귀 아수라 축생으로 있는가를
출처 : 무비 스님이 가려뽑은 명구 100선 ④ [소를 때려야 하는가, 수레를 때려야 하는가]
'자기계발과 마음공부' 카테고리의 다른 글
지금 이 순간 일어나는 생각을 잘 살펴야 합니다 (0) | 2019.01.15 |
---|---|
인연 없는 인연을 깊이 맺는 인연 (0) | 2019.01.14 |
둘이 아닌 묘한 대상과 진실한 모습 (0) | 2019.01.14 |
자신을 발견함이란 (0) | 2019.01.14 |
허수낭감 (許垂朗鑑) (0) | 2019.01.1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