붓다(Buddha)의 가르침(설법 - 法을 설명함 ; 경전)
붓다(Buddha)의 뜻은 고대인도언어로 '깨달은 자', '눈을 뜬 자'라는 일반명사다. 또한 '고타마(Gautama) 붓다(Buddha), 즉 석가모니불를 지칭하는 고유명사로 쓰이기도 한다. '불(佛) 또는 불타(佛陀)'는 붓다(Buddha)를 한문으로 음사(음역)한 말이다. 붓다(Buddha)를 한국어(한글)로는 '부처'라고 음역한다.
법(法)은 붓다의 가르침을 뜻하는 산스크리트어로 다르마(Dharma) 또는 빠알리어로 담마(Dhamma)를 한문으로 번역한 말이다. 달마(達磨)는 산스크리트어로 다르마(Dharma)를 한문으로 음사(음역)한 것이다.
그러면 '깨달은 자', 븟다는 무엇을 깨달았나?
붓다는 법(法)을 깨달았다. 붓다는 법(法)을 깨닫고 나서 사람들에게 법(法)을 가르쳤다.
붓다의 가르침인 법(法)은 '깨달음의 내용'(붓다 자신이 깨달은 내용)과 '깨닫는 방법'(붓다 자신이 깨달은 방법)을 통칭한 말이다.
붓다가 제자들에게 가르친 '붓다 자신이 깨달은 깨달음의 내용'은 '존재의 실상(실제 모습 ; 연기의 실상)과 진리(진실한 이치, 자연의 이치/법칙, 연기의 이치/법칙 ; 연기의 진리)'다.
붓다가 제자들에게 가르친 '깨닫는 방법'은 '팔정도(八正道 : 깨달은 자가 되는 8가지 바른 길)이다.
붓다는 존재의 실상(實相 : 실제 모습)과 진리(眞理 : 진실한 이치)를 완전히 바르게 깨닫고 나서 언어란 실제가 아니라 실제의 근사치일 뿐임을 명확히 이해했기 때문에 자신이 깨달은 내용(실상과 진리)을 사람들에게 어떻게 전할 것인가?, 즉 어떤 말(언어)로 어떤 용어와 어떤 표현을 써서 어느 수준으로 어떻게 설명할 것인가를 매우 고심했다.
붓다는 소수의 지배계층이 사용하던 산스크리트어가 아닌 당시 붓다가 활동하던 갠지스강(항하恒河) 유역에서 대중들이 가장 많이 사용하던 고대인도 마가다어(당시의 공용어 역할을 했던 마가다어는 당시 갠지스강 유역에서 가장 큰 국가였던 마가다국의 민중어)를 사용했으며 설법을 듣는 사람의 수준(근기; 경험, 소질, 적성, 성향, 성격, 여러가지 능력-이해력, 인내력, 집중력.. 등등)과 처지(처한 환경과 상태)에 맞춰서, 비유적, 우화적, 시(게송)적, 문학적, 함축적, 서술적, 분석적, 종합적, 논리적, 과학적(=경험적+합리적) 표현 등 다양한 표현 방법(방편)을 사용해서, 당시의 다양한 대중들이 이해할 수 있도록, 법(法 ; '실상과 진리' 그리고 '팔정도와 팔정도를 닦는 수행')에 대한 다양한 수준의 수 많은 설법(說法 : 法을 설명함)을 했다.
그러나 마가다Māgadha어는 사장되었고 마가다어와 가장 (거의) 유사한 고대인도어가 빠알리Pāli어인데, 이 빠알리어가 후대 제자들이 붓다의 설법 모음인 경전 니까야(Nikāya)를 기록하는데 사용되었다. 빠알리어는 붓다의 설법을 경전으로 기록하던 시대에 가장 널리 가장 많이 사용되던 고대인도의 민중어이기도 하다.
붓다의 설법을 빠알리어로 기록한 경전인 니까야를 보면 붓다가 사용한 언어(용어와 표현)는 매우 소박하면서도 적확(=적절+명확)하다. 훗날 등장하는 금강경류, 화엄경류, 정토경류, 법화경류 경전들의 화려하고 장엄한 문체와는 확연히 구분된다.
언어(言語)는 지구상에 인류가 생겨나면서 부터 인간의 물질적 정신적 인식경험을 기호화(개념화)한 도구이다. 언어는 실제(實際)가 아니라 실제의 근사치(개념)일 뿐이다. 실제에 가까운 언어도 있지만 실제와 아주 먼 언어도 있다. 붓다는 실상과 진리를 깨달은 후 언어의 이러한 미비한 점을 매우 잘 알았기 때문에 설법을 할 때는 언어의 사용, 즉 적확(=적절+명확)한 용어와 표현의 사용에 매우 고심했다. 이것이 사람들이 붓다의 가르침(설법; 法을 설명함)을 공부할 때 붓다가 사용한 용어와 표현을 왜곡없이 바르게 이해하고자 노력해야 하는 이유이다. 영어나 중국어(한문) 한국어(한글) 등으로 번역된 경전을 읽을 때는 더욱 그러하다.
'자기계발과 마음공부' 카테고리의 다른 글
장례식과 우주적 먹이사슬 (0) | 2019.01.16 |
---|---|
『세상을 바라보는 마음가짐』 (0) | 2019.01.16 |
태어나고 늙고 병들고 죽는 일 (0) | 2019.01.15 |
지금 이 순간 일어나는 생각을 잘 살펴야 합니다 (0) | 2019.01.15 |
인연 없는 인연을 깊이 맺는 인연 (0) | 2019.01.1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