태어나고 늙고 병들고 죽는 일
생노병사하는 무상한 인생이 사람을 기다리지 않네
아침에는 살아 있다가 저녁에는 죽어버리고 마니
찰나 사이에 다른 세상이 되어 버리는구나.
無常老病 不輿人期 朝存夕亡 刹那異世
무상노병 불여인기 조존석망 찰나이세
-『위산경책』-
살아보니 어릴 때나, 젊을 때는 누가 죽었다는 소식을 듣기가 어려웠다. 간혹 큰스님이 돌아가셨다는
소식도 10년에 한 번, 20년에 한 번 정도 들은 것 같았다. 60을 넘기고 나니 알던 사람들이 돌아가셨
다는 소식이 왜 그리도 자주 들려오고 귀에 속속 박혀오는지 알 수 없는 일이다.
세월이 흘러가는 속도가 10대에는 10km, 20대에는 20km, 30대에는 30Km, 40대에는 40Km, 50대에는
50km, 60대에는 60km, 70대에는 70Km, 80대에는 80Km의 속도로 달리는 것 같다는 말 그대로다. 그러
나 차라리 그것은 좀 괜찮은 편이다. 전혀 예상치도 못한 찰나지간에 그만 세상을 달리하는 예도 흔하다.
젊었을 때는 죽는다는 사실이 눈에도 귀에도 들어오지 않았었는데, 늙고 보니 보이고 들리는 일 모두가
끊임없이 변하면서 흘러가버리는 무상(無常)한 일들뿐이다. 죽음이라는 그 큰 일이 당사자인 본인과도
전혀 상의도 없었고 예상도 못하는 사이에 세상을 달리하게 된다. 참으로 무상하고 무정한 인생이다.
아침에는 멀쩡하게 살아있다가 저녁에는 죽고 마는 것이 인생이다.
석가모니부처의 가르침에 대하여 깊고 바른 관심을 가지게 되는 것은 인생무상(人生無常)을 절실하게
느끼는 때이다. 그래서 인생무상을 극복하겠다는 마음을 내는 것이 진정한 발심(發心)이다. 석가모니
왕자가 자기 아버지인 정반왕 궁궐의 4대문을 차례차레 나가서 사람이 늙고, 병들고, 죽는 것, 출가하는 것
을 직접 보고 왕자의 지위를 버리고 출가(出家)하여 수행할 마음을 내었다. 왕자의 지위는 물론 아버지와
아내, 자식도 버리고 죽음의 길을 벗어나는 방법은 없을까 궁리하다가 출가를 한 것이다. 석가모니 왕자는
출가 후 6년을 수행한 끝에 비로소 깨달은 자, 자유인의 삶, 즉 해탈을 한 것이다.
불교는 이렇게 시작되었다. 그러므로 불교를 바르게, 그리고 깊이 있게 이해하고 수행하는 데는 석가모니
왕자와 같이 생노병사하는 인생을 벗어나야겠다는 발심(發心)이 우선되어야 한다. 이러한 발심이 없는
출가는 이름이 출가일 뿐이다.
-무비 스님-
'자기계발과 마음공부' 카테고리의 다른 글
『세상을 바라보는 마음가짐』 (0) | 2019.01.16 |
---|---|
붓다(Buddha)의 가르침(설법 - 法을 설명함 ; 경전) (0) | 2019.01.16 |
지금 이 순간 일어나는 생각을 잘 살펴야 합니다 (0) | 2019.01.15 |
인연 없는 인연을 깊이 맺는 인연 (0) | 2019.01.14 |
부처다운 생각, 말, 행동 (0) | 2019.01.1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