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람들이 알고 있는 상식은 허상이고 허구이다.
태양의 진짜 온도는 섭씨 두 자릿 수에 불과하다는 충격적 반전
충격적인 태양의 비밀
지금까지 사람들은 태양의 중심부에서 핵융합반응이 일어나고 있으며, 핵융합반응 과정에서 발생하는
열(熱)이 우주로 방출된다고 배워 알고있다. 그리고 이 말을 의심하는 사람은 극히 일부에 불과했다.
태양 표면의 온도는 섭씨 6,000도이고, 태양 중심의 온도는 섭씨 15,000도나 되는 상상을 뛰어넘는
지글지글 타는 별(항성)이라고 교육을 하고 있지만 이같은 말도 사실은 어디까지나 가설일 뿐이다.
그리고 이 가설에는 많은 모순점이 드러나고 있다
한편 이 가설과 대립되는 가설이 등장했는데 새로운 가설은 바로 '태양은 차가운 별'이라는 설이다.
이제부터 호기심을 자극하는 새로운 가설 '태양은 차가운 별'이라는 설에 대해 알아보자.
- 태양은 차갑고 어둡다.
태양은 빛도 열도 우주로 발산하지 않으며, 단지 핵융합반응 과정에서 생겨나는 방사선(放射線)만을
내뿜는다고 한다. 태양이 방출하는 이 방사선을 T線이라 한다. T선이 지구로 와서 지구의 대기(大氣,
atmosphere)에 닿으면 그 때 빛과 열(熱)을 발산하게 된다. 그렇기 때문에 지구의 대기가 옅은 지역
일수록 방출되는 빛과 열이 적어지므로 추워지게 되며 더 어두워지고 차가워지는 것이다.
태양 주위에도 대기가 있어서 T선은 태양의 대기층을 통과할 때 빛과 열을 방출한다. 이 빛(光)을 지구
에서도 관측할 수가 있는데, 열(熱)은 지구에 까지는 와닿지 않는다. 태양 표면에서 방출하는 불꽃은
불꽃이 아니라 가끔씩 대량으로 방출되는 T선이 태양 대기층과 부딛칠 때 일어나는 빛과 열의 모습이기
때문에, 만약에 태양 주위에 대기가 없다면 지구에서 그 빛이 보이지 않게 된다.
1998년에 태양 표면의 온도가 낮은 온도라는 사실을 NASA의 우주선이 실증했다는 정보도 있었다.
만약 이같은 정보를 전세계적으로 발표하면 천문학 분야 뿐 아니라 일반인들에게도 충격이 될 수
있기 때문에 현재까지도 비공식적인 입장을 유지하고 있지만 다른 한편에서는 매우 신빙성이 높은
정보로 받아들여지고 있다.
어느 우주물리학 박사에 따르면 태양과 수성 표면의 온도는 이미 실측되었고, 태양의 표면온도는
섭씨 27도이며, 수성의 표면온도는 영하 수백도로 얼어붙은 별이라고 했다.
- 그렇다면NASA는 이같은 정보를 왜 비밀로 하는 걸까?
지금까지 NASA가 적극적으로 태양의 표면온도 관측에 뛰어들려 하지 않은 것은, NASA도 6,000도라는
온도를 믿었던 것이며 그래서 그같은 도전이 무모한 실험이라고 판단했기 때문이라고 한다. 그런데
섭씨 6,000도라는 고온에서는 도저히 있을 수 없는 물(水)이 태양 표면에 존재한다는 확실한 증거를
시사하는 논문이 1995년 미국의 과학잡지 사이언스지에 발표되고, 1997년에 태양 표면의 물의 존재를
입증한 논문이 다시 실리게 되면서 그제서야 NASA도 태양관측에 결심을 굳히게 된 것일거라는 소문이
유력해 보인다.
그런데 또 다른 소스에 의하면 과학적인 정보는 아니지만 이미 수십년 전에 미정부와 외계인과의 만남
에서 미정부는 그 정보의 사실을 알았었다는 것이다. 지구인들과는 다르계 진화한 외계인들의 말 중에
태양에 관한 말이 있는데, 외계인들은 지구인이 생각하는 고온의 태양은 없다고 말했다 한다. 영국의
유명한 천문학자 존 허설도 태양은 온도는 고온이 아닌 '차가운 천체다'라고 주장한 적이 있다.
태양이 섭씨 6,000도의 고온이라면 태양에 가까워질 수록 더 밝아져야 하며 사람이 느끼는 온도도 더
높아져야 한다. 하지만 실제로는 지구의 자상(地上)에서 하늘로 우주공간으로 태양에 더 가까이 올라
가면 갈수록 더 어두워지고 온도는 더 낮아진다. 이 사실이 정말 중요하다.
당신이라면 이 사실을 깊이 생각해 볼 것인지 아니면 기존 상식에 머물러 있을 것인가. 대부분의 사람들이
태양 표면온도에 관한 새로운 가설 '태양은 차가운 별이다'라는 설을 받아들이기에는 앞으로도 긴 시간이
필요할 듯 하다.
-유튜브 내용 정리-
'삶의 향기 메일' 카테고리의 다른 글
입을 잠가놓고 살아라 (0) | 2019.02.11 |
---|---|
그렇게 살라고 합니다 (0) | 2019.02.11 |
오고 가야 할 인생길 (0) | 2019.02.09 |
봄날... 헤르만 헤세 (0) | 2019.02.09 |
인생 시계와 지금 여기 이 순간 이 자리 (0) | 2019.02.0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