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금의 마음이 부처다
지금의 마음이 부처다. 마음도 아니고 부처도 아니다.
卽心是佛 非心非佛 (즉심시불 비심비불)
『마조도일』
마조도일 스님은 일상생활 속에서 실천하는 선(禪)을 중요시하였으며,
그가 창시한 새로운 선종은 계승되어 임제선(臨濟禪)으로 발전하였다.
마조 스님은 평소에 "지금의 마음이 부처다.”라고 제자들에게 가르치셨고, 그래서 마음을 알면 공부를
모두 다 마친 것이라고 하셨다. 법상(法常) 스님은 마조 스님 회상에서 "지금의 마음이 부처다(卽心是佛)"
라는 법문을 듣고는, ‘오랫동안 찾고 있었던 마음을 찾았으니 더 공부할 것이 없다’고 생각하고 다른 곳에
가서 지내고 있었다.
그렇게 몇 해가 지난 뒤 마조 스님은 다른 제자를 시켜서 법상 스님의 공부를 점검하였다.
법상 스님을 찾아간 마조 스님의 제자가 법상 스님에게 “스님은 여기서 무슨 공부를 하며 지내십니까?”
하고 묻자, 법상 스님은 “지난 날 마조 스님이 ‘지금의 마음이 부처다(즉심시불 卽心是佛)’라고 하여
그렇게만 알고 살 뿐입니다.”라고 대답하였다.
다시 제자가 법상 스님에게 “마조 스님이 하시는 요즘 법문은 그것과 다릅니다. 요즘 하시는 법문은
‘마음도 아니고 부처도 아니다(비심비불 非心非佛)’이라고 하십니다.”라고 말하자, 법상 스님은 “그 늙은
중이야 ‘마음도 아니고 부처도 아니다’라고 하든 말든 나는 지금의 마음이 부처다.”라고 하였다.
제자는 들은 대로 돌아가서 마조 스님에게 묻고 들은 대로 말씀드렸더니 마조 스님은 “매실이 참 잘 익었
구나.”라고 법상 스님의 공부를 인가하였다. 법상 스님이 사는 산의 이름이 대매산(大梅山)이었다. 그 산
이름을 빌어 법상 스님의 도가 높은 것을 인가한 것이다. 그 후 법상 스님을 ‘대매 법상’이라 불렀다.
마음도 그 한 물건이고, 부처도 그 한 물건이다.
마음도 아니라고 해도 그 한 물건이고,
부처도 아니라고 해도 그 한 물건이다.
일물천명(一物千名 : 한 물건에 천개의 이름이 있다)이다.
그러므로 모든 존재는 그 한 물건의 다른 이름일 뿐이다.
출처 : 무비 스님이 가려뽑은 명구 100선 ②(무쇠소는 사자후를 두려워하지 않는다)
'자기계발과 마음공부' 카테고리의 다른 글
출가해 살면 욕심없이 살 수 있나요 (0) | 2019.11.06 |
---|---|
본래 이미 보고 있고, 본래 이미 알고 있는 이 사실 (0) | 2019.11.06 |
나 보다 잘난 것은 이 세상에 없다. (0) | 2019.11.05 |
전도몽상(顚倒夢想) (0) | 2019.11.04 |
지금 여기 (0) | 2019.11.0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