碧松深谷坐無言 벽송심곡좌무언
昨夜三更月滿天 작야삼경월만천
百千三昧何須要 백천삼매하수요
渴則煎茶困則眠 갈즉전다곤즉면
푸른 솔 깊은 골짜기에 말없이 앉았으니
어젯밤 삼경 달이 하늘에 가득하다.
온갖 삼매 닦은들 어디에 쓰리
목마르면 차 마시고 피곤하면 잠자지.
* 오대산에 주석하던 근세의 선지식 한암(漢巖:1876~1951) 스님의 시이다. 이 시를 읽으면 절학무위(絶學無爲)의 경지에 이른 편안함이 물씬 풍겨져 나온다. 어젯밤의 달빛이 하늘에 가득하다는 2구의 말은 마음속의 달이 떠서 어제의 무명심지를 환하게 밝혀버렸음을 나타낸 말로 볼 수 있겠다. 백천 삼매를 닦는다는 것도 이젠 부질없는 일이다. 모든 것을 쉬어버린 절학의 나머지는 평범한 일상으로 돌아와 그저 함이 없이 경계를 수용할 뿐이다. 목마르면 차 마시고 피곤하면 잠잔다는 말은 이른바 대혜종고 스님이 말한 “검은 것이 오면 검게 나타내 주고 붉은 것이 오면 붉게 나타내 준다” (胡來胡現 漢來漢現)는 말이다.
- 지안스님 해설 |
'성철스님의 주례사 [금고옥조]입니' 카테고리의 다른 글
탁닛한 스님의 불교 참여운동 (0) | 2011.11.30 |
---|---|
지혜와 자비의 가르침 (0) | 2011.11.27 |
성철스님 열반송 (0) | 2011.11.14 |
법성계 (0) | 2011.11.14 |
禪의 本質과 意味 (0) | 2011.11.1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