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음공부./에세이 금강경.(5................/무불
1.법회인유분. 이와 같은 내용을 들었습니다. 부처님 께서 공양을 드실 때가 되어 가사를 입으시고 발우을 들고 마을로 들어가서 걸식을 하셨습니다. 차례대로 걸식을 마치시고 본 곳으로 돌아오시여 공양을 마치신 뒤 발을 씻으시고 자리에 앉으셨습니다.
차례대로 걸식을 하셨다. 가난한 집이나 부자집이나 가리지 않으시고 차례대로 걸식 하셨다는 點 우리가 배워야 할 重要한 大目이다. 얕은 分別心으로 사람들은 잘사는 富者집에 걸식하면 틀림없이 음식이 고급스럽고 맛이 있으며 많이 얻을 수 있을 것이라 生覺 할 것이다.
그러나 부처님 께서는 잘살고 못살고 맛있고 맛없고 적고 많고 賤하거나 貴하거나 差別없이 차례대로 「善根因緣」 機會를 均等하게 주신다는 것이다.
聖者인 부처님은 일생을 乞食으로 사신 분이다. 여러분은 어떻게 생각하는가.? 과연 그럴수 있을까.?
그 시대나, 지금 시대에도 부처님 처럼 추앙받고 존경 받는 분은 없다. 그런 분이 날마다 마을로 내려 가시여 一生을 걸식하고 사셨으니 우리가 尊敬 안할래야 안 할수가 없는 것이다.
내가 부처다 라는 부처의 「相 」이 있으면 걸식은 할수가 없다. 나 라는 自尊心 을 세우면 그는 菩薩이 아니다는 말이다.
높은 지위 권력. 많은 재물..명예와 인기 에 「相」이 있으면 않된다는 가르침이다. 慈悲와 謙遜이 없다면 그는 사람으로서 失敗한 사람이다. 귀하거나 천하거나 差別하지 않는 人稟이 菩薩의 人稟이다.
"완장" 소설의 주인공이 되지 말라는 말씀이다. 權力을 이용하고, 財物을 이용하며, 名譽와 人氣에 附合하여 民生을 억압하고 희롱하며 자아당착에 빠저 추악한 짐승같은 인간이 되지 말라는 것이다.
人生이란.! 따지고 보면 하루 주먹밥 세끼다. 개미 들의 行進처럼 方向感覺을 더듬이로 더듬거리며 한치 앞도 내다 보지 못하고 앞서 가는놈 따라 더듬거리며 따라가는 꼴이 우리들의 모습이다.
帝王보다 높은 자리에 계시면서. 매일매일 일생을 乞食하신 부처님의 實踐修行은 宗敎人 인 모든 聖職者들이 깊이 깊이 堪耐하여야 할 피를 토하는 아픔이 되어야 한다.
조금 안다고 거만하고 학력이 높다고 거드럼 피우지 말아야 한다. 명함이나 이력서 특히 미술 시인 등 교수등 학식있는 군상 들이 빽옥히 써내린 약력서를 보면 씁쓸함을 금치 못한다.
소위 빽 그라운드의 화려함은 自身을 自滅하게 하는 장송곡임을 알아야 한다. 創作과 創意는 自然的인 內身에서 나온다 치장하여 가리고 분장하여 모방과 위선으로 살지 말아야 한다. 醜 하면 醜한대로 自由로운 것이 아름다움이다.
걸식/乞食 .? 우리들은 잘나거나 못나거나 모두 빌어먹고 살고 있는 것이다. 權力에 빌어먹고. 財物에 빌어먹빌고. 名譽에 빌어먹고 人氣에 빌어먹고 산다. 잘난체 하는 것 보다 醜 한 것은 없다.
-무불스님 향불회- |
'자기계발과 마음공부' 카테고리의 다른 글
[스크랩] 풍요로 가는 길/광덕스님 (0) | 2013.04.22 |
---|---|
[스크랩] 수행자의 대화법 (0) | 2013.04.22 |
여자는 성불 못해! (0) | 2013.04.22 |
당신은 언제나 안전하다 - - 법상스님 (0) | 2013.04.22 |
마음공부 - - 如是我聞 여시아문 (0) | 2013.04.2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