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기계발과 마음공부

깨달음에 관하여 / 혜민스님

장백산-1 2013. 5. 9. 13:29

 

 

 

깨달음에 관하여 / 혜민스님

아래 깨달음의 본문에 관한 동영상은 21분 부터 시작되고, 그 전반부는 마음치유에 관한 冥想입니다***

 

 

[혜민스님 법문 / bbs 불교방송]

 

 

혜민스님의 깨달음의 體驗 法門

 

내가 고등학교때 크리슈나무르티의 명상서적이 유행했는데
그 책에 '내 生覺으로부터의 自由가 眞情한 自由다.'라는 말이 있었다.
내 느낌 感情 生覺을 나와 同一視하고 살아가고 있는데
한 발작 떨어져서 있는 그대로를, 選擇하지 않고 自覺할 수 있는 거
그 自體가 自由다 라는 말이 있었는데, 무슨 말인지는 모르겠지만
왠지 그 말이 맞는 거 같아서 읽고 또 읽고 하면서
그때부터 깨달음에 대해서 목이 마르기 시작했다.

그래서 학교공부는 뒷전이고 여러 법문집도 읽어보고
여기저기 큰스님들을 찾아다녔고, 재가자 중에서 깨달았다는 분들도 여럿 찾아다녔다.
그러다가 대학 2학년 때는 인도로 가서 두 달 반 정도를 방랑하기도 했다.
그때 달라이라마 존자님도 잠시 친견할 기회가 있었고, 다람살라의 여러 대덕 스님들도 뵈었다.
인도에서 깨달음을 얻었다는 큰 스승들 '구루'라고 하는 분들도 여러분 뵈었다.
그러면서 여러 가지 神奇한 체험도 해보았다.
미국에서 공부할 때도 티벳 스님들이 오시면 열심히 가서 배우려고 하고
밀교의 관정의식도 여러번 받았다.

지금 生覺해 보면 참으로 어리석었다.
깨달음이 마치 무슨 특별한 느낌, 특별한 경험인 줄 알았다.
뭐 쿤달리니가 열려서 내 안의 에너지가 宇宙와 合一된 듯한 느낌..
깨달음을 얻은 분이 나한테 깨달음을 줄줄 알았다. 그건 錯覺이었다.
우리가 찾는 本來面目은 原來부터 있었던 거다.
없었던 것이 새로 생겨나는 게 아니다.

여러번 해보니까 特別한 經驗은 無常해. 永遠하지 않고 사라진다..
前生을 본다, 빛이 나온다, 放光을 한다..등등
그런 건 無常하기 때문에 時間이 지나면 사라진다.
神奇한 經驗이 깨달음이 아니라는 걸 대학 4학년 때쯤 알았다.
새로 생겨난 건 모두 가짜다. 原來부터 있던 거라야 진짜다.
큰스승이 法을 전해줄 때는, 제자가 스승으로부터 받은 게 아무것도 없다는 걸
제자가 알기 때문에 주는 것이다. 여기에 秘密이 들어있다.
하바드에서 공부하면서 경전공부도 하면서 여러가지 지적인 것을 쌓아갔다.
그렇게 박사를 마치고 나니까, 修行을 제대로 해보고 싶었다.
사실 대학교 때 看話禪을 하다가 잘 안 돼서 포기하고, 다른 걸로 눈을 돌리게 됐던 것이다.
話頭를 드는 방법이 잘못 되었던 것이다.

그때 나는 話頭를 계속
머리로만 되뇌었다. 이뭣고.. 이뭣고.. 이뭣고..
이것을 誦話頭 또는 念話頭라고 한다.
그렇게 머리로 되뇌일 때는 다른 妄想이 일어나지 않기 때문에

'나는 화두공부를 잘 하고 있다'고 生覺했다.
그런데 낙처는 똑같기 때문에 망상은 좀 줄어들지만..
그 疑心이 진의심으로 의정화 되어야 하는데 그게 안 되었다.
계속 머리로만 염화두 송화두만 되고 잘 안 되었다.
다른 분들이 '간절하지 않아서 그렇다'고 해서 의심을 쥐어짜는데도 잘 안 되었다.
그래서 안 되었던 것이다.

다시 시작해보니 똑같은 問題에 봉착했다
'이뭣고.. 이뭣고..'를 간절히 되뇌이면
의심이 의정으로, 의정이 의단으로 進行될 줄 알았지만 그게 안 되었다.
고민하다가 수불스님 말씀을 들어보니까 탁월한 方便力이 있었는데..
의심에서 의정으로 들어가야 하는데, 의정이 뭐냐 하면
의심이 머리로 하는 거라면, 의정은 더 깊이 들어가 몸으로 하는 거라고 했다.
예를 들어 누군가를 좋아하면 처음엔 머리로 사랑을 하지만 나중엔 가슴으로 사랑을 하듯이
그래서 나중엔 머리가 헤어져라 해도 가슴이 말을 안 듣는 것처럼
왜냐 하면 感情은 훨씬 더 깊은 곳에 있기 때문에
의심이 깊어지면 感情化 되어서 의정화 된다.

스님께선 '송화두 염화두를 하지 말고, 代身에 答만 찾으라'고 하셨다. 
'이뭣고 이뭣고 하지 말고, 이뭣고의 答만 알려고 하라..
온몸으로 알려고 하라'고 하셨다.
그 말씀을 듣고 깜짝 놀랐다.
그때 미국에서 어렵게 시간을 내서 왔던 터라 더 간절한 마음으로
정말 스님께서 시키는 대로 했다. 간절하게 열심히 했다.
事實 이것이 배우는 사람의 가장 重要한 姿勢다.
그동안 알던 거 다 내려놓고 스승이 시키는 대로 하는 거..
그랬더니 疑心이 금방 의정으로 되었다.
왜냐 하면 '이뭣고 이뭣고..' 하는 言語的인 狀況이 끊어져 버리면
그 상황에서 끙끙대면서 알려고 하다보면 이게 바로
疑心의 感情化.. 답답하게 느껴진다. 몸이..
알려고 하는데 모르니까 죽겠는 것이다.

이게 뭐랑 비슷하냐 하면
오래된 친구를 우연히 만났는데, 그 친구 이름이 生覺나지 않을 때..
알려고는 하는데 生覺은 없는 狀態.. 의심의 감정화..
그게 계속되면 죽겠는 거다. 온몸이 답답해서..
아주 어떤 철옹성, 감옥에 갇힌 것 같은.. 이걸 의단이라고 한다.
단단한 벽이 하나 생겨.. 계속 진행이 돼.
죽기 살기로 하면 의단이 단단해지고
머리로 '이게 뭐지?' 이게 아니라.. 온몸으로 알고 싶어진다.
어떤 감옥이나 우물 속에 갇힌 것같은 느낌이 들면서
일어나도 미치겠고, 앉아도 미치겠고, 걸어가도 미치겠고..
그런데 그 狀況에선 안 할 수도 없다. 그냥 그 狀況이 계속 간다.
의정 단계만 딱 들어가도 계속 진행된다.
의심에서 의정으로 잘 못가기 때문에 애를 먹는 것이다.

그러다가 참다 참다 못 참겠는 地境까지 가서, 의단이 박살이 나는데..
짧은 시간이었지만 뭘 봤냐 하면, 일단 모든 生覺이 다 끊어지고
아주 상쾌하고 시원하다. 하늘을 날 거 같다. 밑둥이 빠지는 거 같은
歡喜..
그런데 그 환희의 느낌은.. 깨달음이 아니다. 가짜다.
없던 게 생겨난 것이기 때문에.

그리고
아무것도 없이 텅 비어 있고, 조용하고..
그런데 본래 화두의 답을 찾았는가 자문해 보니, 아직 못 찾았다.
그냥 텅 비어있고 答은 안 나왔다.
왜냐고 生覺해 보았더니 깨달음의 境地를 '空寂靈智'라고 표현하는데
그때 空寂에 대해선 조금 감을 잡았지만, 靈智 즉 '神靈스레 앎'이 없었던 것이다.
慧眼이 없던 것이다. 그냥 텅~ 빈 채로 좋기만 했던 것..
이것도 無常하더라. 歡喜나.. 그런 느낌은 다 無常하다.

그래서 고민하다가 또 스님들께 여쭤봤더니,
깨달으려면 光返照를 해야 한다..
우리는 무엇을 보면 그 밖의 것을 對相으로 마음이 끌려 들어가는데
그렇게 밖으로 나가는 마음을 돌이켜서, 보는 그 者를 보는 것이다.
밖의 境界로 자꾸 끌려나가는 마음을 안으로 돌이키는 것이다.

그래서 그때부턴 廻光返照를 했다.
밖의 것을 볼 때, 뭐가 보나? 그
보는 者를 보려고 하고, 듣는 者를 보려고 하고..
境界에 끄달려가지 않으려고 계속해서 회광반조를 했다.
그러다가 새로운 經驗을 했는데.. 이 또한 가짜지만..
마치 몸이 거울처럼 깨끗하고..
그리고 그 거울에 森羅萬象이 다 비쳤다.
그리고 그것들이 무슨 환(幻)처럼, 映像처럼 느껴졌다.
내 안이 투명한 거울처럼 느껴지고, 내 안이 텅 비었고..
그런데 重要한 건, 그 거울이 아직 남아 있다.

그런 狀態가 계속되다가.. 혜국 큰스님 法門을 들었다.
'우리 主人公의 虛空性을 보라. 그 虛空에 똥을 아무리 바가지로 던져도 더럽혀지느냐?'
그 法門을 들으니까 거울이 더 깨끗하게 느껴지고, 삼라만상이 다 환처럼 비쳤다.
그런데 問題는 아직도 話頭의 答은 안 풀렸다. 智慧(靈智)가 안 나온 것이다.
아직도 모두 가짜였다. 왜냐 하면 없던 게 새로 생겼으니까.
안도 비고 밖도 幻처럼 느껴지지만
안에 거울이 있고 삼라만상이 비치니까
아직도 微細한 分離感이 恒常 있었다.

그러다가 봉암사 정명 큰스님께 여쭤보았다.그랬더니
'지금 힘이 弱해서 자꾸 境界에 끄달려 들어갈 수 있다'고 하시면서
念佛을 하냐고 물으셨다. '예, 가끔 念佛 합니다.'
'염불을 입으로만 하지 말고 계속 至極精誠으로 하다보면
가슴 속에 念佛이 흐르지?' '예, 흐릅니다.'
'그럼 도대체 그 念佛하는 소리가 마음의 어떤 구멍에서 나와서
마음의 어떤 구멍으로 사라지는지, 그 구멍을 自細히 들여다 봐라.'
그러셨다.
나의 특징은 어른 스님께서 말씀하시면 고대로 믿고 따라하는 습성이 있다.
그래서 봉암사에서 돌아오는 버스 안에서 卽時 그것을 시작했다.
약 한 시간 반 정도를 나무아미타불을 하면서 그 구멍이 어딘가를 자세히 들여다 보았다..
나무.. 할 때 그 '나'가 나오기 바로 直前.. 그 구멍을 봐야 하니까
'나' 하기 직전의 그 자리를 아주아주 섬세하게 보았더니..
그 '나'가.. 텅 빈 그 자리에서 나오는 것이었다.
멋지게 표현하는 사람들은 '寂滅'에서 나온다고 한다.

그런데 정말 정말 신기했던 것은
한 시간 반을 열심히 하고 힘들어서 가만히 쉬고 있는데
뒤에 있는 사람 두 명이 대화를 하는데.. 버스 안이니까..
그런데 그 사람들 소리가 나오는 구멍이
내가 '나무 아미타불' 할 때 그 '나'가 나오는
구멍이랑 똑같았다.
완전히 똑같아. 조금도 안 달랐다.
그리고 그 소리가 나오는 구멍과 그 소리를 듣고 있는 것이 똑같아. 둘이 아냐..
똑같이 텅 빈 자리에서 나오는 거였다.

그리고 또 신기한 것은
生覺이 끊어진 자리에.. 그냥 텅~ 비고 아무것도 없는데..
뭔가가 '아무것도 없다는 것'을 알아..
너무너무 신기했다.
그래서 그때부터 찾아들어간 것은, '도대체 이 아는 놈이 어디에 있나?'
'앎/識'을 찾아들어가기 시작했다.
그리고 두 번째는 그 '앎' 自體가 '形態가 있는가? 모양이 있는가?'를 찾기 시작했다.
찾아 보니까..
그건 各者 本人이 찾아야 한다.

'앎' 自體는 原來 淸淨하다.
예를 들어서, 연등을 보고 '아, 연등이 있구나' 알고
이어서 시계를 볼 때, 연등의 모습이 보이는가? 안 보이는가?
연등의 모습이 안 떠오른다. 시계만 딱 안다.
앎의 性稟은 本來 淸淨해서, 연등이 그 앎의 性稟을 물들이지 못한다.

그리고 '아는 것'과 '空間'이 따로따로 떨어져 있다고 生覺했는데, 그게 아니었다.
그런데 그 앎의 性稟을 제대로 들여다 보면, 空間이 앎이다.
그 '텅 빈 공간'이 아는 것이다.
사실 '공간'이라는 표현도 적절한 표현은 아니다.
알고 보니까..
空間的인 槪念과 認識的인 槪念이 따로따로가 아니었다.

그 뒤로도 계속 더 알려고 했다. 아직 끝이 아니니까..
왜냐 하면 아직도 계속 境界에 끄달려 다니니까..

우리가 찾는 것은 새로 생겨난 게 아니다.
무슨 超能力.. 무슨 光明을 보고.. 그런 데 惑하면 안 된다.
그런 건 우리가 찾는 主人公이 아니다.
主人公은 原來부터 있던 것이기 때문에
그 어떤 神秘한 經驗, 깜짝 놀라는 能力, 天上의 소리를 듣는다거나
내 안의 빛을 본다거나, 前生을 알아 맞춘다거나.. 이런 것은 다 主人公이 아니다.

왜 새로 생겨난 것이기 때문에...
主人公은 原來부터 있었던 것, 그리고 本來 淸淨한 것
그리고 하나도 얻은 바가 없다는 걸 알기 때문에, 法을 받을 수 있는 것이다.
修行을 하면서 하나라도 '내가 얻은 게 있다' 라고 生覺되면
'내가 깨달은 게 있다, 經驗한 게 있다'고  내세울 게 조금이라도 있다면
아직 더 닦아야 하는 것이다.

 

-결가부좌 생활(명상)참선센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