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4-3 大丈夫(대장부)
道流(도류)야 儞若欲得如法(이약욕득여법)하면
直須是大丈夫兒(직수시대장부아)라사 始得(시득)다.
若萎萎隨隨地(약위위수수지)하면 則不得也(즉부득야)니라.
夫如[斯머리 瓦]嗄之器(부여시사지기)는 不堪貯醍醐 (불감저제호)니
如大器者(여대기자)는 直要不受人惑(직요불수인혹)이라
隨處作主(수처작주)하야 入處皆眞(입처개진)이니라.
但有來者(단유래자)어든 皆不得受(개부득수)니
儞一念疑(이일념의)하면 卽魔入心(즉마입심)이라
如菩薩疑時(여보살의시)에 生死魔得便(생사마득편)이니라.
但能息念(단능식념)이요 更莫外求(갱막외구)하고 物來卽照(물래즉조)하라.
儞但信現今用底(이단신현금용저)하면 一箇事也無(일개사야무)니라.
儞一念心生三界(이일념심생삼계)하야 隨緣被境(수연피경)하야 分爲六塵(분위육진)하니
儞如今應用處(이여금응용처)가 欠少什麽(흠소십마)오
一刹那間(일찰나간)에 便入淨入穢(변입정입예)하며
入彌勒樓閣(입미륵누각)하며 入三眼國土(입삼안국토)하야
處處游履(처처유리)하나 唯見空名(유견공명)이니라.
그 다음에 이제 大丈夫라고 했어요 대장부. 道流(도류)야, 도 닦는 여러 벗들이여,
‘儞若欲得如法(이약욕득여법)하면’, 그대들이 만약에 여법함을 얻고자 한다면,
如法, 眞理와 같은, 또 理致와 같은. 여기 如法이란 말이 참 좋죠.
승려라면 승려의 어떤 생활 규범에 맞춰서 사는 것을 여법하게 산다, 이럽니다.
여기는 그런 것이 아니고 理致대로 法대로 또 眞理 그대로 함을 얻고자 할진댄,
‘直須是大丈夫兒(직수시대장부아)라사’, 바로 대장부라야 ‘始得(시득)다’, 비로소 된다 이 말이여.
‘若萎萎隨隨地(약위위수수지)하면’, 萎(위)란 게 시들었단 소리에요.
여름날에 풀을 뽑아 놓으면 금방 시들잖아요. 그런 모습을 지어가지곤 안 된다 이거야.
‘則不得也(즉부득야)니라’, 그래가지곤 안 된다.
불교 공부하려면 僧, 사람人 변에 일찍 曾자,승가라고 하는 것은. 누구보다도 한 걸음 앞서가는 사람,
다시 말해서 평범한 세속인보다 한 걸음 앞서가는 사람, 그러니까 이게 시들시들하고 어름해 가지고는 될 일이 아닌
거야. 눈이 반짝반짝하고 또록또록하고...꼭 지식이 많아서 그런 게 아니고 정신이 그래야 된다 이 말입니다.
‘夫如[斯머리 瓦]嗄之器(부여시사지기)는’, 깨진 그릇이란 말입니다.
깨진 그릇에는 ‘不堪貯醍醐(불감저제호)니’, 醍醐, 지상에서 가장 좋은 음식, 제호를 담을 수가 없으니,
깨진 그릇에다 어떻게 좋은 음식을 담습니까. 그러니까 제호라고 하는 것은 佛法이고 佛法 中에서도 아주 엑기스,
정말 이 임제스님같이 올곧게 우리에게 팍팍 찔러주는 가르침을 담으려면
이게 우리 精神 狀態가 시들시들해가지곤 안 된다는 것입니다.
임제록을 자꾸 읽고 공부하고 거기에 아주 심취하고 흥미를 느끼면
사람이 저절로 明快해지고 勇氣가 생기고 좀 어떻게 보면 거만하지만 뭐 거만한 것도 좋아요.
이런 것 보고 사람이 좀 거만해지는 건 그건 허물이 아니에요. 그래야 된다는 것입니다.
그래서 不堪貯醍醐, 깨어진 그릇에는 제호를 담을 수가 없으니,
‘如大器者(여대기자)는’, 큰 그릇이라고 하는 것은 결국 뭐냐. 남녀를 가리키는 것도 아니고 노소를 가리키는 것도
아니에요. 무슨 비구 비구니를 가리키는 것은 더욱 아니고 유식 무식을 가리키는 것도 아니여.
大器, 큰 그릇이라고 하는 것은 뭐냐. ‘直要不受人惑(직요불수인혹)이라’,
바로 요컨대 不受人惑, 사람의 迷惑을 받지 않는 사람이다.
어떤 사람이 뭐라고 誘惑하더라도 거기에 넘어가지 않는 사람.
자기 줏대를 딱 잡고 사는 사람. 自己主觀과 所信이 確實한 사람.
그러니까 이게 말하자면 꼿꼿한 사람이고 生氣 넘치는 사람이고 아주 當當하게 世上을 사는 사람이지
시들시들하거나 이리 쏠리고 저리 쏠리고 그 말이 옳은가 저 말이 옳은가 이렇게 돼서는 안 된다 이거죠.
自己 主觀이 있고 自己 所信이 딱 서있는 거, 그것도 理致에 맞아야겠죠.
괜히 옹고집 부리는 그런 거 아니고 정말 제대로 된 어떤 所見으로서
그 所見에 確信을 세워서 자기 살림살이를 살아갈 줄 아는 그 사람을 큰 그릇이다 또는 大丈夫다 이렇다는 거요.
‘隨處作主(수처작주)하야 入處皆眞(입처개진)이라’, 저 앞에 한번 있었죠.
임제록의 1,2 위를 다투는 명언, 無位眞人이라든지 隨處作主 또 欠少什麽.
이런 것은 정말 무엇을 첫 손가락에 꼽아야 할지 그 순위를 생각한다는 자체가 벌써 어줍잖은 생각입니다.
하나하나가 누구도 表現하지 못했던 그런 表現들이에요. 隨處作主하야 入處皆眞이라, 그렇게 되면 뭐라고?
서 있는 그곳 어디 있든지 간에 自己가 있는 그곳은 全部 眞理야. 全部 眞正한 幸福이야.
이런 구절 하나만 임제록에서 건져도 만고의 어떤 寶物을 건지는 것보다도 더 값진 일입니다.
그렇게 되면 그게 大器야, 큰 그릇이야. 大丈夫야.
‘但有來者(단유래자)어든’, 다만 來者, 境界들, 境界가 全部 오잖아요.
지금은 임제록이 나에게 왔고, 추우면 추운 게 오고 더우면 더운 게 오고
또 다른 법회에서는 또 다른 뭐가 좋다 하고… 그런 것들이 다 境界야, 世上일도 다 境界고.
다만 境界가 오는 것이 있으면, ‘皆不得受(개부득수)니’, 그것들을 모두 받아들이지 말라.
境界들이 오는 것은 皆不得受니, 迷惑하지 말고 隨處作主하라 이 말이여.
‘儞一念疑(이일념의)하면’, 그대가 한 生覺에 疑心하면, 부처님이 나타났다, 사리가 출현했단다,
放光했단다 이러면 거기에 흔들리는 거야. 疑, 의심한다고 하는 말은 이건가 저건가 그렇게 의심하는 게 아니라
거기에 흔들릴 것 같으면 ‘卽魔入心(즉마입심)이라’, 이미 그 사람은 곧 어떤 한 魔가 마음에 침범한 것이야.
틈이 생겼으니까. 창문에 틈이 생기면 바람이 들어오고 마음에 틈이 생기면 魔가 侵入하고
몸에 틈이 생기면 病이 侵犯하고 그래요. 알고 보면 한시도 마음 놓고 살 수가 없는 처지입니다.
몸도 정말 빈틈없이 관리를 해줘야 병이 침범하지 않고 또 마음도 정말 바른 이치로서 끊임없이 다스려줘야
삿된 가르침, 삿된 生覺이 侵犯하지 않습니다.
‘如菩薩疑時(여보살의시)에’, 보살의 경계에 이른 사람이라 하더라도
만약에 거기에 흔들림이 있을 때, 의심이 있을 시는, ‘生死魔得便(생사마득편)이니라’,
삶과 죽음의 마구니가 편의를 얻어, 짬을 엿본다 이거야. 生死魔라는 건 편의를 얻어 틈을 노려가지고
벌써 끼어들었다 이 말입니다. 보살이라도 소용없는 거요. 生死魔가 편의를 얻으느니라.
‘但能息念(단능식념)이요’, 다만 능히 우리가 할 일은 息念, 生覺을 쉬는 것이요,
‘更莫外求(갱막외구)하고’, 더 이상 달리 밖을 向해서 求하지 말고.
그러니까 밖에 아무리 부처가 있다 하더라도 그것을 쫓아가면 벌써 그것은 틈이 생긴 것이고
그것이 마음이 흔들린 것이고 그것이 疑惑이야. 不受人惑 그랬죠, 疑心이라 그게.
그게 밖을 向해서 뭘 求하려고 하는 거죠. 그러니까 但能息念, 生覺을 쉴 것이요, 밖을 向해서 求하지 말고
‘物來卽照(물래즉조)하라’, 무엇이든지 오거든, 事物이 오거든 네 마음으로서 네 지혜로서 한번 관조해 보아라.
부처가 오더라도 거기 빠지지 말고, 惑하지 말고 일단 한번 거울로 비춰보듯이 잘 살펴보고 비춰보라는 거예요.
檢證은 고사하고 그냥 惑하고 넘어가 버리지 말라 이 말이여. 物來卽照하고, 事物이 오거든 곧 비춰보고.
‘儞但信現今用底(이단신현금용저)하면’,그대들은 다만 믿어라, 뭘? 現今用底, 지금 쓰고 있는 그것.
지금 고 있는 그게 뭡니까? 그놈이 뭡니까?
지금 말을 하는 그것이고 여러분들은 말하는 소리를 듣는 그 作用이야.
지금 作用하고 있는 그것만 믿을 것 같으면, ‘一箇事也無(일개사야무)니라’, 아무런 일도 없다.
그 외에 밖에 아무리 화려한 부처가 등장하더라도 그건 나하고 관계없는 거다 이거야. 아무런 일도 없다.
그대들이 다만 信現今用底, 현금에 지금 使用하고 있는 그것.
보고 듣고 眼耳鼻舌身意를 通해서 지금 作用하고 있는 우리 本來의 根本인, 本來的인 나, 그게 本人 참나죠.
그게 無位眞人이고 그것만을 우리가 確信을 가지면 ‘一箇事也無(일개사야무)니라’, 아무런 일도 없어요.
그러니까 중간에 간화선을 통해서 어떤 코스를 정해 놓고는 그 코스를 밟아야만 꼭 된다고 하는 것은 꼭 맞는 말은
아닙니다. 얼마든지 다른 길이 있어요. 물론 그 길도 불가능한 것은 아니지만 지금 사람들의 성과를 봐서는 거의
불가능한 거요. 왜냐하면 오십 년 동안 내가 지켜봤지만 한 사람도 그 코스를 통과한 사람이 없으니까.
거기서 설정해 놓은 그 코스를 통과한 사람이 없어. 그것도 내 말만 듣고 옳다고 생각할 게 아니라
가만히 우리가 심사숙고해서 스스로 판단을 해야 할 일입니다.
결국은 어떤 현란한 선문답을 하더라도 現今用底, 지금 사용하고 있는 그놈에서 떠나 있지 않습니다.
그 높고 높은 선문답 하나도 모르겠다,어떻게 대답을 해야 하는지 무슨 도리인지 낙처가 무언지,
그래봐야 現今用底, 지금 우리가 사용하고 있는 이 말하고 말하는 소리 듣고, 춥고 더운 거 알고,
기분 나쁘면 화도 내기도 하고 즐거우면 웃기도 하고,슬프면 울기도 할 줄 아는 바로 그 당사자,
그 당사자에서 떠나 있는 일은 아무 것도 없어요. 오로지 그것뿐이야.
그것이 이러고저러고 하고 이리 표현해보고 저리 표현해보는 것이지 다른 거 없다 하는 것입니다.
‘儞一念心生三界(이일념심생삼계)하야’,그대 한 생각 마음이 生三界(생삼계)하야,
삼계를 내어서, 삼계를 만들어 내놓고, 우리 한 생각이 이 세상을 만들어 내놓고는,
‘隨緣被境(수연피경)하야’, 因緣을 따라서 境界를 입어. 지금 우리가 임제록 공부하자는 것을 만들어 냈어요.
한 生覺 만들어냈어. 내놓고는 임제록 공부하는 그 인연을 따라서 공부하는 그 경계를 입고 있어,
지금 당하고 있는 거야. 가까이로 말하면 그렇고, 우리 일상생활로 돌아가면 ‘分爲六塵(분위육진)하니’,
여섯 境界로서 나눠지는데, 六塵이 뭐죠? 色聲香味觸法(색성향미촉법) 六境이죠.
말하자면 눈의 상대인 사물, 귀의 상대인 소리, 코의 상대인 냄새 등등 모든 境界가 우리 삶의 全 領域입니다.
우리가 하루하루 살아가고 있는 全 領域 간단히 나누면 色聲香味觸法 여섯 가지로 되는데,
‘儞如今應用處(이여금응용처)가’, 그대들 지금 應用處(응용처)가, 지금 거기에 맞춰서 사용하고 있는 그것.
볼 것이 있으면 보고, 들을 것이 있으면 듣고, 냄새 맡을 것이 있으면 냄새 맡고, 말할 것이 있으면 말하고 하는
그것에서 그 능력에서 ‘欠少什麽(흠소십마)오’, 조금이라도 부족한 게 무엇이냐. 뭐가 부족하냐.
더우면 더운 줄 알고 추우면 추운 줄 아는 그 능력에 있어서는 하나도 不足함이 없는 거야.
이것은 엄청난 能力이야. 欠少什麽오, 不足한 게 뭐냐 이거요.
그래서 임제 명구 중에서 欠少什麽, 이걸 重要하게 취급합니다. 無位眞人, 또 隨處作主, 欠少什麽, 글자가
넉자씩이지만 정말 엄청난 말이거든요. 現今應用處, 지금 使用하고 있는, 應해서 使用하고 있는,
추우면 추운데 맞춰서 추운 줄 알고,더우면 더운 데 따라서 더운 것을 알고, 그리고 거기서 또 한 生覺 더 일으키면
아이 덥다 에어컨 좀 틀어라, 선풍기 틀어라… 이렇게 발전해 가잖아요.
이놈이 얼마나 神通妙用입니까. 아주 기가 막힌 신통이지. 그런 신통 놔두고 欠少什麽오, 뭐가 부족한 게 있느냐.
또 그 어떤 事實들을 하나도 놓치지 않고 환하게 感知해. 참 보통 신통이 아니야, 보통 능력이 아니에요. 이놈이.
이놈이 이렇게 感知할 줄 아는 能力이 있는데 정말 無量大福이지 無量大福이야.
그것이 ‘一刹那間(일찰나간)에’, 그것이 그놈이 一刹那間에 ‘便入淨入穢(변입정입예)하며’,
곧 淸淨한 데도 들어가고 反對로 더러운 데도 들어가. 식당에도 들어가고 화장실에도 들어가죠.
‘入彌勒樓閣(입미륵누각)하며’, 미륵누각을 화엄경 입장에서 보면 선재동자가 마지막 들어간 곳이야.
오십 삼 선지식을 친견하고 마지막으로 올라간 곳이 미륵누각, 미륵보살 만나려고 미륵누각에 들어갔는데
그게 最上의 精神世界, 이런 뜻이죠. 그리고 ‘入三眼國土(입삼안국토)하야, 삼안국토라고 하는 데도 들어갔다고 하자.
이렇게 하면서 그놈이 ‘處處游履(처처유리)하나’, 곳곳에 흘러 다니나,唯見空名(유견공명)이니라’, 그 경계들은
오직 헛된 이름만 볼 뿐이다 이 말이여. 들어가는 그놈만 있지 들어갈 그 境界는 事實 唯見空名이야,
헛된 이름뿐이다.
무진장 행운의 집---해솔님이 올린 법문
http://cafe.daum.net/yourhappyhouse/FeD5/213
'자기계발과 마음공부' 카테고리의 다른 글
문제의 답은 극히 가까운 곳에 있다. (0) | 2014.06.14 |
---|---|
경락 - '몸'과 '마음'의 연결 통로 / 경락 제대로 이해하기 (0) | 2014.06.13 |
一卽三三卽一 (0) | 2014.06.11 |
만물이 부처의 어머니다 (0) | 2014.06.11 |
깨달음이 행복이다 (0) | 2014.06.1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