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기계발과 마음공부

마음이 편안해야지요

장백산-1 2014. 10. 8. 12:49

 

 

 

마음이 편안해야지요  -- 청화 큰 스님

- 감사한 세상-


哲學을 공부하신 분들도 많이 계시겠습니다만,
이른바 칸트 철학은 그야말로 굉장히 천재적인 동시에 위대한 철학 아닙니까?
칸트 철학이 왜 위대한가 하면 우리 인식(認識)이 客觀的인 것이 아니라는 것,
다시 말해서 칸트는 우리 認識이라는 것은
오직 認識의 主體인 내 주관(主觀)을 떠나서는
成立될 수가 없다는 것을 파헤쳐 놓았기 때문입니다.
'모든 認識은 우리 主觀에 依存해 있다'는 것이
이른바 칸트 認識論의 대요입니다.

이렇게 말해 놓고 칸트는 이 말이 얼마나 훌륭한 말이라고 느꼈던지
自己 스스로 감탄하기를, 마치 코페르니쿠스가 말한 지동설(地動說)과
같은 위치에 있다고 보았을 정도입니다. 코페르니쿠스가 地動說을 말하기 以前에는
地球는 가만히 있고 하늘이 움직인다고 하는 천동설(天動說)이 天文學을 支配하지 않았습니까?
그런데 코페르니쿠스가 반대로 지동설을 주장하는 바람에,
당시 기독교의 교조(敎條)와 상치되어 박해를 받았습니다만,
아무튼 그것이 하나의 정설로 되면서 천문학의 가장 중요한 계기가 되었듯이
칸트도 自身의 理論이 그런 地動說과 같은 重要한 位置에 있다고 보았던 것입니다.

칸트는 일반적으로 生覺하는 것처럼
외계에 단단한 것이 있어서 우리가 단단하다고 보는 것이 아니라,
내 觀念, 내 主觀이 그렇게 보므로 그렇게 認識된다고 보았습니다.
밉게 보는 것도 미운 사람이 마음 밖에 있는 것이 아니라
내 마음이 밉게 본다는 말입니다.

모든 認識은 自己 主觀에 依存해 있습니다.
지금까지도 우리는 '미운 저놈을 죽이고 싶다'고 生覺할 때가 더러 있겠습니다만,
이럴 때도 그 對相은 내 마음 밖에 있는 것이 아니라
오로지 自己의 觀念일 따름인 것입니다.

물론 행실이 좋지 않은 사람일 경우도 있겠습니다만,
아무튼 그런 나쁜 사람이라 하더라도
부처님이나 어떤 성자가 보신다면 어떻겠습니까?
그런 분들은 그런 사람도 나쁜 사람으로 보지 않습니다.
곧 죽일 놈이라 하더라도 미울 수가 없습니다.
本來가 부처님인데, 그야말로 부처와 똑같은 하나의 生命存在인데,
다만 잘못 生覺해서 나쁜 行動을 나한테 보이는구나,
이렇게 生覺하시는 것입니다.

그러므로 부처님 恩惠 가운데, 제가 가끔 이야기하는 내용입니다만,
은승창렬(隱勝暢劣)이라는 말이 있습니다. 
卽, 좋은 것은 숨겨 놓고 용렬한 것을 나타낸다고 하는,
다시 말하면 眞如佛性이라고 하는 좋은 것은 숨겨 놓고서
그냥 나쁜 상(相), 못된 現象만 우리한테 보이는 恩惠란 말입니다.
똑같은 부처이므로 만일 어느 것 하나도 부처 아닌 것이 있다고 한다면
佛法이 成立되지 못합니다. 너 나 할 것 없이, 심지어 티끌 하나까지도
모두가 다 佛法 가운데 包含되어 있다는 말입니다.
따라서 나쁜 사람이나 지금 곧 죽일 듯이 미운 사람도
역시 부처님 恩惠라는 말입니다.

무엇이 부처님 恩惠인가 하면, 佛性이라는 그 所重하고도 永遠히 變치 않는,
불생불멸(不生不滅)하고 불구부정(不垢不淨)한 그러한 生命 自體는 숨겨 놓고서
우리한테 겉의 相만 나쁘게 보인다는 말입니다. 그러한 부처님의 恩惠가 있습니다.

그러므로 이 世上에 感謝하지 않을 수가 없습니다.
우리가 바르게 보고, 바르게 판단하여 實相을, 實存을 알고 느끼게 된다면
모든 것이 事實은 感謝할 것 뿐입니다. 누구에게 따귀를 얻어맞아도 감사한 것이고,
그러기에 진실로 겸허한 사람들은 누가 얼굴에 침을 뱉어도
자기 손이나 손수건으로 침을 닦으려고 하지 않습니다.
어째서 그러는 것인가? 그 사람이 무안할까 봐서,
까닭 없이 애매하게 침을 뱉었어도 말입니다.
보통사람 같으면 그냥 참기도 어렵겠지요.
그러나 거기서 한 걸음 더 나아가서 닦지도 않는단 말입니다.
그 사람이 무안할까 봐서, 그런 것도 역시 그렇게 하라고 시키면
쉽게 할 수가 없습니다. 根本 뿌리를 生覺하지 않고, 本來 性稟을 生覺하지 않고

現象만 生覺할 때는 한 대 맞으면 두세 대를 때리고 싶겠지요.

부처님 제자라는 것은 어째서 부처님 제자인가?
밉고 곱고 그런 겉으로 나타난 現象만을 보지 않고 本來 性稟을 보는 사람이라는 말입니다. 
本來 性稟을 본다는 점에서 우리 佛子는 一般 衆生과 差異가 있습니다.

아쇼카 王의 王子 가운데
눈이 하도 예뻐서 '구나라'라고 이름 붙여진 왕자가 있었습니다.
印度에는 눈이 굉장히 예쁜 구나라라는 새가 있었습니다.
눈이 예쁘기도 하고 소리도 영롱하여 천하에 명성을 내는 새입니다.

그 왕자가 장성해서 結婚까지 했는데,
아쇼카 왕의 여러 왕비 가운데 마음이 못된 어떤 왕비가
구나라의 눈이 하도 예쁘니까 그냥 반해 버렸단 말입니다.
물론 구나라의 生母는 아니었겠지요. 그래서 그 왕비는 구나라 왕자에게 접근하면서
음탕한 말을 자꾸 했습니다. 왕자는 처음에는 좋은 말로 뿌리치다가
나중에는 준열하게 뿌리쳐 버렸습니다. 그러자 그 왕비가 왕자에게
'이놈 두고 보자'고 하는 怨望의 마음을 품게 되었습니다.
그런데 때마침 이웃나라에 반란이 일어났습니다.

아쇼카 왕은 석가모니 부처님보다 대략 250년 뒤에 나셔서
인도를 통일한 왕 아닙니까? 그래서 이집트까지 부처님 법을 홍포(弘布)하신 분입니다.
事實 예수가 태어난 유태 지방도 아쇼카 왕 때 부처님 가르침이 포교가 된 地域입니다.
우리는 그걸 생각해야 합니다. 따라서 그리스도교의 新約과 우리 부처님 法과는
상당히 類似點이 많이 있습니다. 그것은 무엇을 意味하느냐 하면
예수가 나오시기 200여년 前, 아쇼카 왕이 이집트에까지 佛敎 포교사를 보냈으니
그보다 가까운 유태까지도 부처님 가르침이 유포되었다고 보아야 한다는 것입니다.

아무튼 이웃나라에 반란이 일어나자 아쇼카 왕의 그 잘생긴 왕자가
반란을 평정하러 가게 되었습니다. 좋은 사람이 가면
그 사람의 모양만 보고도 마음이 순화되는 것입니다.
선근이 매우 좋은 왕자가 가자 반란군이 별 싸움도 없이 굴복해 와서
반란은 쉬이 평정되었습니다. 그뿐만 아니라 반란을 평정한 후에
왕자가 그 나라에서 떠나오려고 해도 못 가게 말리게까지 되어, 결국 못 떠나오고
그곳에서 십여 년 동안이나 살게 되었습니다.

그때 怨望하는 마음을 품었던 그 왕비는 이 機會에 복수를 해야겠다고 생각했습니다.
여러 가지 복잡한 사연이 많이 있습니다만 생략을 하겠습니다.
아무튼 그 왕비가 아무도 모르게 왕의 職印을 찍은 文書로
"지금 아쇼카 왕이 병들어 죽게 되었는데,
구나라의 그 예쁜 양쪽 眼球를 먹으면 病이 낫는다고 한다"는,
즉 구나라의 눈알을 빼서 보내라는 교칙을 보냈습니다.
그러자 孝心도 극진한 구나라는 정말 자기 眼球를 빼서 보냈단 말입니다.

아쇼카 왕이 실제로 그런 명을 내렸을 리는 만무합니다.
그 당시에는 치아(齒牙)에 印朱를 묻혀 가지고 인장을 대용하던 때입니다.
그래서 아쇼카 왕이 잠들었을 때 그 왕비가 몰래 아쇼카 왕 치아에 인주를 물려서
직인을 찍은 것입니다. 그렇게 해서 보냈기 때문에 구나라도 결국은 곧이듣고
자신의 안구를 빼서 보냈습니다. 따라서 구나라는 소경이 되어 버렸겠지요.

歲月이 흐르면서 이런 소식, 저런 풍문을 통하여
구나라는 自身의 眼球를 보내라는 敎勅이 정작 자기 아버님이 내리신 것이 아니라,
자기한테 음탕한 짓을 하려고 했던 그 왕비의 소행이라는 사실을 알게 되었습니다.
그러나 구나라는 워낙 선근이 깊은 사람인지라,
'내가 지금 양쪽 눈알을 빼앗긴 것은 왕비가 나빠서가 아니라
過去 無數한 生을 지내오면서 그녀한테 내가 나쁜 짓을 했으니까,
내 業障이 今生에 내 눈알을 뺀 것이다'라고 생각했습니다.

따라서 용맹정진으로 공부했습니다. 그리고 육안(肉眼)은 어긋나 버렸지만
참다운 마음의 눈인 천안(天眼), 즉 참다운 法의 눈을 얻었습니다.

그러나 그는 소경인지라 살던 곳에서 가만히 빠져 나와
내외간에 걸식행각을 하고 있었습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자기 생전에 아버지를 만나고 싶은 생각이 들어서
어찌어찌하여 자기 나라로 돌아와서 부왕을 만났습니다.
물론 그 사이에도 사연은 많이 있습니다만 아무튼 부왕을 만나게 되었습니다.

아쇼카 왕이 보니까 분명히 윤곽은 자기 아들인데, 그 아름답던 눈이 없을 뿐만 아니라
쑥 들어가서 컴컴하게 보였겠지요. 그토록 사랑하던 아름다운 아들이 그렇게 되어 버렸으니,
부왕은 그만 그 자리에서 정신을 잃고 쓰러져 버렸단 말입니다.
왕자는 자기 아버지를 겨우 일으켜 세워서 다시 자리에 앉게 한 다음
"아버지시여! 슬퍼하지 마십시오. 어느 누구의 잘못도 아니며,
모두가 다 過去 前生 또는 今生의 저의 무거운 업(業)이 제 눈을 뺀 것입니다.
어느 누구도 怨望할 것이 없습니다"라고 하였습니다. 그러나 아버지는 분노에 떨면서
누가 어떤 연유로 눈을 빼앗았는지 아들을 추궁했습니다. 그러나 구나라 왕자는
이에 대해 전혀 말을 하지 않았습니다.

비록 구나라 왕자는 말을 하지 않았으나, 이렇게 저렇게 추궁도 하고 수소문도 해서
나중에는 아쇼카 왕도 자기의 왕비가 그렇게 한 것을 알았습니다.
그래서 結局은 왕비를 극형에 처해서 죽였습니다.
그 消息을 듣고 구나라 왕자는 슬픔에 잠겼습니다.
왕자는, 결국은 제 業이 제 눈을 뺀 것인데 아버지가 잘못하셨구나 生覺하고는
병석에 누웠다가 얼마 안 가서 죽고 말았다는, 그런 애화(哀話)가 있습니다.

이와 같은 業緣의 사슬은 비단 法을 깊이 알아서 그렇게 했던
구나라 왕자에 限한 것은 아닙니다. 누구나 마찬가지입니다.
事實은 누구나 지금 어떤 狀況에 있든 어떤 억울한 일을 당하든 간에
모두가 다 自己 業障이 自己를 괴롭히고 自己를 죽이고 합니다.

우리는 自己 어버이를 원망하고, 스승도 원망하고, 또 사회도 원망하고 합니다만,
이런 것은 사소한 하나의 계기에 불과한 것이지
根源的인 것은 모두가 다 自己 業에 原因이 있습니다.
아까 제가 말씀드린 바와 같이, 그야말로 우리 마음은 고요한 것입니다.
이런 것은 비유도 무엇도 아닙니다. 過去 前生까지 소급해서 올라간다면,
우리 人生이라는 것이 중중무진(重重無盡)으로 모든 因緣이 얽히고설킨 고리인 것입니다.

어떤 일이든, 그것이 이러저러하다는 것은
天地宇宙가 거기에 다 같이 同參되어 있는 것입니다.
가령 어떤 사람이 自己에게 기분 사나운 누군가를 딱 때린다고 생각합시다.
때리는 손을 움직이는 그 하나의 行動에도 역시 天地宇宙가 다 同參되어 있습니다.

아까 말씀드린 바와 같이 地球도, 天地에 있는 모든 별들도
人間의 無明心이 쌓이고 쌓여서, 無明心의 波動이 달같이 보이고 해같이 보이고 하는 것입니다.
이러한 내용은《구사론(俱舍論)》이나《기세경(起世經)》같은 經에도 나옵니다.
"중생의 공업력(共業力)으로, 卽 우리 중생의 共通 業力이 모이고 모여서
그 모인 煩惱의 그림자로 因하여 銀河界같이 보이고, 또는 太陽界가 成立되며, 地球가 成立된다"고 했습니다.
조금 어려워도 이런 問題를 깊이 生覺해야 합니다.  한번 生覺해 보십시오.
불교라는 것이 일체유심조(一切唯心造) 아닙니까? 모두가 다 마음뿐이라는 것이 一切唯心造입니다. 

 

출처 : 본정 김영동 법사,


가져온 곳 : 
카페 >무진장 - 행운의 집
|
글쓴이 : 해솔| 원글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