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적영지(空寂靈知)
이 대담은 수심결에 있습니다.
어느 날 한 납자가 스님을 찾아뵙고 절을 하였다.
납자: 상상(上上)의 뛰어난 사람은 들으면 쉽게 알지만 중하(中下)의 사람은 의혹이 없지 않을 것이니,
다시 方便을 말씀하여 이들도 알아듣게 해 주시지요.
지눌: 道는 알고 모르는데 있지 않다. 사람들은 어리석어 깨닫기를 기다리니 그 마음을 버리고 내 말을 들어라.
모든 法은 꿈과 같고 허깨비와 같으므로 煩惱 妄想은 本來 고요하고(寂) 티끌世上은 本來 空한 것이다.
모든 法이 다 空한 곳에 神靈스러운 앎(靈知)이 어둡지 않다. 그러므로 공적(空寂)하고 靈知한 마음이 바로 그대의
본래 면목(本來面目)이며, 또한 삼세의 부처님과 역대 조사와 천하의 선지식이 은밀히 서로 傳한 법인(法印)이다.
이 마음만 깨달으면 단계를 거치지 않고 바로 부처의 경지를 올라 걸음마다 삼계를 뛰어넘고 집에 돌아가 단박
의심을 끊게 된다. 그리하여 인간과 천상의 스승이 되고 자비와 지혜가 서로 도와 자리(自利) 이타(利他)를 갖추고
인간과 천상의 공양을 받을 만하다. 그대가 이와 같다면 진짜 大丈夫이니 平生에 할 일을 마친 것이다.
납자: 제 분수에 따르면 어떤 것이 空寂 靈知의 마음입니까?
지눌: 그대가 지금 내게 묻는 그것이 바로 그대의 공적 영지의 마음인데, 어째서 돌이켜보지 않고 밖으로만 찾는가. 내 이제 그대에 분수에 따라 本心을 가리켜 깨닫게 할 테니 그대는 마음을 비우고 잘 들어라.
아침부터 저녁에 이르도록 보고 듣고 웃고 말하고 성내고 기뻐하고, 옳고 그른 온갖 行爲를 무엇이 그렇게 하는지
어디 한번 말해 보아라. 만약 이 肉身이 그렇게 한다면, 사람이 일단 죽게 되면 몸은 아직도 허물어지지 않았는데
어째서 귀는 들을 수 없고, 코는 냄새를 맡을 수 없으며, 혀는 말하지 못하고, 몸은 움직이지 못하며,
손은 잡지 못하고, 발은 걷지를 못하는가.
그러므로 보고 듣고 움직이는 그것은 그대의 本心이지 肉身이 아님을 알아야 한다.
이 肉身을 이루고 있는 사대(四大)는 그 性質이 空하여 마치 거울에 비친 影像과 같고 물에 비친 달과 같다.
그런데 어떻게 恒常 分明히 알며 어둡지 않고 限量없는 묘용(妙用)을 느끼는 대로 通達할 수 있겠는가.
그러므로 말하기를 '신통과 묘용이여, 물을 긷고 나무를 할 나름이로다' 라고 한 것이다.
또 理致에 들어가는 데는 길이 많으나 그대에게 한 門을 가리켜 根源에 들어가게 하리라.
一念萬年去 한 생각이 곧 내가 있음이다.
한 生覺이 곧 無量劫이라. "一念이 곧 無量劫"
이말은 의상조사의 法性偈에 있는 말(一念卽是無量劫 無量遠劫卽一念)이기도 합니다.
한 생각이 끊어진 자리라 하기도 하고 한 생각은 곧 만년이라 하기도하고,
한 生覺이 곧 無量劫일 수도 있고, 한 생각이 온전히 끊어져 없기도 합니다.
한 生覺이라 함은 妄念을 말하는 것이며, 그러나 한 生覺이 淸淨念이라고도 하여도 틀린 말은 아닙니다.
마음이 있기도 하고 없기도 하고 있는 듯이 보이나 찾으려면 없고
없는 것인가 하고 보면 곧 나타나고 하는 것이 마음이라 하였습니다.
그래서 마음은 일체 모든 것에 卽하기도 하고 일체 것에서 멀리멀리 떠나기도 합니다.
그러나 마음을 떠나서는 어느 것도 할 수 없는 것이 마음의 作用입니다.
마음이 곧 生命이기도 합니다.
마음을 어찌 먹는가에 따라서 壽命 長壽도 또 短命하기도합니다.
한~마음은 그래서 보배중의 보배라 할 수 있습니다.
http://cafe.daum.net/yourhappyhouse/FerJ/14
'자기계발과 마음공부' 카테고리의 다른 글
◈ 완릉록 5. 모양있는 것은 허망하다 (0) | 2014.11.29 |
---|---|
죽음을 끌어안으라 그 안에 삶이 있으니 (0) | 2014.11.29 |
空寂靈知의 마음자리 (0) | 2014.11.29 |
삶을 구경하는 구경꾼이 되라 (0) | 2014.11.28 |
소의 눈빛을 닮은 여자 (0) | 2014.11.2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