죽음을 끌어안으라 그 안에 삶이 있으니
시사INLive 임지영 기자 입력2014.11.29 14:05
'가족 중 한 명을 잃으면서 '죽음이 이렇게 갑작스럽게, 내 삶에서 일어날 수도 있다'는 것을 알았다.
그리고 온전히 죽음이라는 사실을 받아들이기까지 얼마나 많은 담금질이 필요했는지 모른다.' EBS
<다큐 프라임> '데스(Death)' 3부작을 만든 김미안 작가의 경험담이다. 모두 죽음을 알지만 '나'와
관련 있다고는 생각하지 않는다. 그도 마찬가지였다.
몇 해 전 암으로 어머니를 여읜 40대 김여란씨는 말기 암이라는 선고를 받고도 어머니의 죽음이 현실로 다가오지
않았다. '치료와 관리를 잘 받으면 살 수 있을 것 같았다. 지금 생각하면 현실감각이 없었던 거다.' 환자 본인에게도
뒤늦게 알렸다. 애써 죽음을 부정하는 동안 임종 준비할 시간을 잃었다. 임박해서야 이별을 실감했다.
죽음은 도처에 있다. 특히 올 한 해는 세월호 참사, 경주 마우나리조트 붕괴, 판교 환풍구 추락사고 등 갑작스러운
사건·사고가 많았다. 데뷔 시절부터 꾸준히 대중의 관심을 받던 스타들도 잇달아 세상을 떠났다. 기척 없는 동료의
죽음도 갑작스러웠다. 30대 직장인 김나경씨는 '큰 사고가 유난히 많은 한 해였기 때문에 저절로 나의 죽음에 대해서도 생각해보게 됐다. 젊다고 비켜가지는 않더라. 어떻게 될지 모르기 때문에 죽음의 순간과 그 이후에 대해 생각하는 밤이 늘었다'라고 말했다. 죽음에 대처하는 마음 자세. 김씨뿐만 아니라 지금을 사는 모든 이의 고민이다.
↑ ⓒ연합뉴스 : 전북 무주에서 열린 반딧불이 축제 중 주민들이 전통 상여 행렬을 재연하고 있다.
최근 방영된 EBS <다큐 프라임> '데스'는 科學界는 물론 哲學· 心理學· 宗敎學 등 다양한 분야가 말하는
죽음의 實體에 대해 살핀다. 각계 전문가들이 定義하는 죽음은 삶의 끝, 不在, 經驗의 끝, 심장정지 등 각각 다르다.
人間에게 죽음은 恐怖와 두려움의 對相이다. 인류학자 어니스트 베커는 죽음에 대한 공포가 문명의 시발점이라고
말했다. 공포를 극복하기 위해 인간은 문명을 일으켰다. 문화를 통해 영속과 불멸을 실현할 수 있을 것 같았다.
앤드루 실케 영국 동런던 대학 범죄학과 교수는 恐怖管理 理論으로 죽음을 설명한다. 그는 죽음에 直面하면
자신이 속한 集團이 無條件 옳다고 여기는 내집단(內集團) 偏向性이 가장 먼저 나타난다고 설명한다. 現在
自身이 어느 쪽에 있든지 反對 方向의 사람을 밀어낸다. 세월호 사건에 적용하면 이렇다. '內集團의 경우 그들이
價値 있게 여기는 것을 中心으로 뭉치게 된다. 가족이나 아이들의 價値는 더욱 重要해지고 位上도 점점 더 높아질
것이다. 內集團이 價値 있게 여기는 것을 批判하는 사람들은 경멸받을 것이다.'
<다큐 프라임> '데스' 제작진은 짧은 실험을 진행했다. 실험 대상자들은 지하철역을 나서면서 죽음과 관련된
긍정적인 문구의 포스터를 보게 된다. 역 앞에는 기부 캠페인이 진행 중이다. 6시간 동안 진행된 캠페인의 모금액은
42만원이었다. 보통 약 10만원이던 데서 4배 늘었다. 죽음에 대한 긍정 이미지가 기부에 영향을 미친 것이다. 이후의 실험에서도 죽음을 聯想할 때 利他的인 行動이 는다는 걸 확인할 수 있었다. 전문가들은 삶을 좀 더 윤택하게 하기
위해서는 죽음이란 주제를 '소프트'하게, 부정적이지 않게 접하도록 하는 게 중요하다고 강조한다.
↑ ⓒEBS 다큐프라임 : EBS <다큐 프라임> '데스'의 제작진이 포스터 실험을 진행하고 있다.
제작진이 취재를 하며 가장 많이 들은 말은 '죽음에 대해 배우면, 삶이 행복해진다'는 것이었다.
'웰다잉'을 준비하면 '웰빙'이 가능하다는 의미다. 영국은 OECD 국가 중 '죽음의 질' 지수 1위 국가다.
매년 5월에는 정부가 주관하는 '죽음 주간'이 있다. 사람들은 노후 요양 계획을 세우고 장기 기증과 관련된 계획서를 작성한다. 아이들과도 죽음에 관해 이야기를 나눈다. 죽음의 중요성을 알리고 사회적으로 준비하기 위한 작업이다.
미국에서도 1960년대 죽음 교육이 성교육만큼 중요하다는 認識이 생기면서 미네소타 대학에서
죽음에 관한 최초의 강좌가 개설됐다. '죽음학'이다. 1970년대에는 600개 넘는 죽음학 강의가 생겼고
5년 뒤에는 배로 뛰었다. 어떤 대학은 죽음· 임종 ·사별과 관련된 학위나 자격증을 따는 과정을 두고 있다.
얼마 전 국내에 출간된 <죽음학 수업>은 미국 킨 대학의 노마 보위 교수가 진행하는 수업
'긴 안목으로 보는 죽음'을 다루고 있다. 보위 교수는 수업 시간에 학생들과 묘지를 찾는다.
사람이 죽을 때 肉身이 어떻게 되는지 생각해보라는 의미에서다. 부검현장을 방문하기도 한다.
↑ ⓒ시사IN 윤무영 : 죽음을 다룬 책의 출판도 이어지고 있다.
스위스에서는 좀 더 적극적인 형태의 논의가 이뤄지고 있다. <죽음을 어떻게 말할까>는 '자유 죽음'을 선택한
아버지의 이야기를 다룬 책이다. 품위 있는 죽음을 결심한 저자의 아버지는 죽을 날을 정해두고 독배를 마신다.
우리도 '웰다잉 지도사 자격증' 과정이 생기는 등 죽음에 대한 인식이 바뀌고 있다. 하지만 죽음의 질 지수는
OECD 34개 나라 가운데 최하위다. 죽음이 面前에 닥칠 때까지 否定하거나 外面하는 게 아직까지는 自然스럽다.
임종 의료 전문가인 윤영호 서울대 의대 연구부학장은 우리가 복지국가를 말하지만 정작 죽음 앞에 놓인 삶의 질에
관해서는 아무도 關心을 갖지 않는다고 지적한다. 죽음을 治療의 對相이 아니라 돌봄의 對相으로 여겨 無意味한
고통 연장을 줄이자고 주장하기도 했다. 얼마 전에는 MBC 예능 프로그램 <나 혼자 산다>에서 방송인 노홍철이
관에 들어가는 체험을 하면서 한동안 臨終 體驗에 대한 關心이 높아졌다. 임종 체험은 영정 사진을 찍고 유서나
유언을 남긴 뒤 수의를 입고 관에 들어가보는 프로그램이다.
유언장을 써놓는 일은 나이가 따로 없다
12월에 개봉하는 다큐멘터리 영화 <목숨>의 이창제 감독은 1년 동안 호스피스 병동에서 만난 이들을 촬영했다.
남은 시간 평균 21일, 삶의 끝에서 離別을 준비하는 이들은 하루하루가 곡진하다. 이 감독 역시 가까운 이의 부고를
접하고 영화 촬영을 결심했다. '가까운 분들이 한 달 차이를 두고 갔는데, 죽음이란 게 내 멱살을 잡고 끌고 온다고
할까. 이야기를 하라고 숙제를 하라고, 그렇게 강하게 왔다.' 그는 영화를 통해 관객에게 죽음을 체험시키고 싶었다. '그런 체험들을 왜 하냐면 잘살기 위해서다. 삶의 끝에 가서 찾는 意味들이 진짜 意味 있는 게 아닐까.
삶의 마지막에 가서 後悔하는 것과 價値 있다고 生覺하는 것들이 우리 삶의 價値로 매겨져야 되지 않을까.'
죽음을 準備해야 하는 건 호스피스 병동의 환자들만이 아니다. 정현채 서울대 의대 교수는 <죽음을 원할 자유>
(케이티 버틀러 지음) 추천사에서 죽음에 대한 언급을 꺼리는 분위기를 우려한다. '심각한 疾病이나 죽음은 우리
삶에서 언제라도 마주칠 수 있기 때문에 젊고 健康할 때 죽음에 대해 제대로 思惟해야 한다. 自身이 큰 病에 걸렸을
때 어떻게 할 것인지, 불치병으로 죽음의 순간이 필연적으로 닥쳤을 때 심폐소생술을 받을 것인지 말 것인지를
결정하고 그러한 자신의 의사를 밝힌 사전 의료의향서를 작성하거나 유언장을 써놓는 일은 나이가 따로 필요 없다.'
<죽음에 관하여>라는 네이버 웹툰이 있다. 저승에 가기 前 들르는 곳에서 神이 갓 죽은 이들을 맞이한다.
그는 말한다. '두려울 수 있어. 생각조차 하기 싫을 수도 있지. 그렇지만 죽음에 대해서 알아야 할 건 現實이란 거야.
부정, 긍정을 떠나 그냥 있다는 事實 말야. 恒常 곁에 있어. (중략) 그냥 알고만 있으면 돼. 그것만으로 變할 거야.'
김영하 작가 역시 최근 낸 에세이집 <보다>에서 말했다. '죽음과 終末을 떠올리면 現在의 삶이 더 진하고 달콤해진다. 未來는 아무도 모른다. 그러나 未來의 時點에서 現在의 破局을 想像해보는 것은 지금의 삶을 더 각별하게 만든다.
그게 바로 카르페 디엠이다. 메멘토 모리(죽음을 기억하라)와 카르페 디엠(현재를 즐겨라)은 그렇게 連結되어 있다.'
임지영 기자 / toto@sisain.co.kr
싱싱한 뉴스 생생한 분석 시사IN Live - [시사IN 구독]
'자기계발과 마음공부' 카테고리의 다른 글
◈ 완릉록 6. 한 마음의 법 (0) | 2014.11.29 |
---|---|
◈ 완릉록 5. 모양있는 것은 허망하다 (0) | 2014.11.29 |
공적영지(空寂靈知) (0) | 2014.11.29 |
空寂靈知의 마음자리 (0) | 2014.11.29 |
삶을 구경하는 구경꾼이 되라 (0) | 2014.11.2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