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대사인연(一大事因緣) 부처님의 행 [3]
적연묘각 (qkrdmsdhr****)
25. 佛行 - 부처님의 행
또 한 스님이 있었는데 법달(法達)이라 하였다. 항상 <법화경>을 외어 칠년이 되었으나
마음이 迷惑하여 바른 法의 당처(正法之處)를 알지 못하더니, 六祖스님께 와서 물었다.
經에 대한 疑心이 있습니다. 큰스님의 智慧가 넓고 크시오니 疑心을 풀어 주시기 바랍니다."
대사께서 말씀하셨다. 法達아, 法은 제법 通達하였으나 너의 마음은 通達하지 못하였구나.
經 자체는 의심이 없거늘 너의 마음이 스스로 의심하고 있다.
네 마음이 스스로 삿되면서 바른 法을 구하는구나.
나의 마음 바른 정(正定)이 곧 經典을 지니고 읽는 것이다.
나는 한평생 동안 글자를 모른다. 너는 <법화경>을 가지고 와서 나를 마주하여 한 편을 읽으라.
내가 들으면 곧 알 것이니라." 法達이 經을 가지고 와서 대사를 마주하여 한 편을 읽었다.
六祖스님께서 듣고 곧 부처님의 뜻을 아셨고 이내 법달을 위하여 <법화경>을 설명하시었다.
육조스님께서 말씀하셨다. 법달아, <법화경>에는 많은 말이 없다.
일곱 권이 모두 譬喩(비유)와 因緣이니라. 부처님께서 널리 삼승(三乘)을 말씀하심은
다만 世上의 根機가 둔한 사람을 위함이다. 經 가운데서 分明히
'다른 乘이 있지 아니하고 오로지 하나의 불승(一佛乘)뿐이라'고 하셨느니라."
대사께서 말씀하셨다.
법달아, 너는 일불승(一佛乘)을 듣고서 이불승(二佛乘)을 구하여 너의 自性을 迷惑하게 하지 말라.
經 가운데서 어느 곳이 一佛乘인지를 너에게 말하리라. 經에 말씀하기를 모든 부처님·世尊께서는
오직 일대사인연(一大事因緣) 때문에 이 世上에 출현하였다'고 하셨다.
이 法을 어떻게 알며 이 法을 어떻게 닦을 것인가? 너는 나의 말을 들어라.
사람의 마음이 생각을 하지 않으면 本來의 根源이 텅~비고 고요(空寂)하여 삿된 見解를 떠난다.
이것이 곧 一大事因緣이니라. 안팎이 迷惑하지 않으면 곧 양변(兩邊)을 떠난다.
밖으로 迷惑하면 모양에 執着하고 안으로 迷惑하면 空에 執着한다.
모양에서 모양을 떠나고 空에서 空을 떠난 것이 곧 迷惑하지 않는 것이다.
그러므로 이 法을 깨달아 한 생각에 마음이 열리면 世上에 나타나는 것이니라.
마음에 무엇을 여는가? 부처님의 知見을 여는 것이다.
부처님은 깨달음이니라. 네 門으로 나뉘나니,
깨달음의 知見을 여는 것(開)과
깨달음의 知見을 보이는 것(示)과
깨달음의 知見을 깨침(悟)과
깨달음의 知見에 들어가는 것(入)이니라.
열고 보이고 깨닫고 들어감(開示悟入)은 한 곳(門)으로 들어가는 것이다.
곧 깨달음의 知見으로 自己의 本來 性稟 자리, 淸淨法身 자리, 眞理의 자리를 보는 것이
곧 世上에 나오는 것이니라.
대사께서 말씀하셨다. 법달아, 나는 세상 모든 사람들이
스스로 언제나 마음 자리로 부처님의 知見을 열고(開) 중생의 知見을 열지 않기를 항상 바라노라.
세상 사람의 마음이 삿되면 어리석고 迷惑하여 악을 지어 스스로 중생의 知見을 열고,
세상 사람의 마음이 발라서 智慧를 일으켜 觀照하면 스스로 부처님 知見을 여나니,
중생의 知見을 열지 말고 부처님의 知見을 열면 그것이 곧 世上에 나오는 것이니라.
대사께서 말씀하셨다. 법달아, 이것이 <법화경>의 일승(一乘)法이다.
아래로 내려가면서 삼승(三乘)으로 나눈 것은 迷惑한 사람을 위한 方便의 까닭이니,
너는 오직 一佛乘만을 依持하라.
대사께서 말씀하셨다. 법달아, 마음으로 행하면(心行) <법화경>을 굴리고(轉法華),
마음으로 행하지 않으면 <법화경>에 굴림을 당하게 되나니,
마음이 바르면 <법화경>을 굴리고, 마음이 삿되면 <법화경>에 굴림을 당하게 되느니라.
부처님의 知見을 열면 <법화경>을 굴리고 중생의 知見을 열면 <법화경>에 굴림을 당하게 되느니라.
대사께서 말씀하셨다. 힘써 法대로 修行하면 이것이 곧 經을 굴리는 것(轉經)이니라.
法達은 한 번 듣고 그 말끝에 크게 깨달아 눈물을 흘리고 슬피 울면서 스스로 말하였다.
큰스님이시여, 實로 지금까지 <법화경>을 굴리지 못하였습니다.
칠년을 <법화경>에 굴림을 당하여 왔습니다.
지금부터는 <법화경>을 굴려서 생각 생각마다 부처님의 행을 수행하겠습니다.
대사께서 말씀하셨다.
부처님 行이 곧 부처님이니라(卽佛行是佛).
그 때 듣는 사람으로서 깨치지 않은 이가 없었다.
'자기계발과 마음공부' 카테고리의 다른 글
[기고]수행 지침서 '신심명' 해석, 오류 많다' (0) | 2015.05.11 |
---|---|
법화경을 설하는 규칙 (0) | 2015.05.10 |
空의 자리와 神의 자리 (0) | 2015.05.07 |
괴로움으로 괴로움 떨쳐버릴 수 있나? (0) | 2015.05.07 |
天上天下唯我獨存 / ‘나는 길이요, 眞理요, 生命이다’ (0) | 2015.05.0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