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음속 긍정의 주파수 - 현진스님-
해인사 법보전의 양쪽 기둥에는 이런 글귀가 걸려 있다. “깨달음의 場所가 어딘가?
바로 당장 지금 여기 현재 숨 쉬고 살고 있는 지금 여기 이곳이 깨달음의 장소다!”
라는 가르침입니다.
우리 속담에 ‘애를 업고 삼년 동안 애를 찾는다’는 말이 있듯이, 이 가르침은 方便이 가리키는
깨달음이 바로 당장 지금 여기 현재를 떠나서 어디 저 멀리 特別나게 따로 있는 것이 아니라
우리 생활 속에서 가장 가까운 곳, 바로 당장 지금 여기 이 순간 이 자리에 있다는 말이다.
禪家에서는 人生의 意味나 目的을 저 멀리 먼 곳에서 따로 구하려 한다면 평생 공부해도 깨달음을
터득하는 진척이 없다고 한다. 왜냐하면 우리가 마주하는 지금 여기 現在의 모든 일들, 모든 것들이
스스로 實存임을 確認하고 스스로 實在임을 證明하는 神秘로운 狀況이며 條件이라고 보기 못하기
때문인 것이다. 다시 말해, 우리가 살아가는 매순간순간의 세상이 깨달음의 現場이라는 뜻이다.
"고통과 슬픔"은 "삶을 점검하는 시험"
宗敎에서 말하는 깨달음은, 日常의 狀況이나 條件을 主體的으로 바꾸는 意識의 態度를 의미한다.
그러므로 참다운 깨달음은 삶을 主體的으로 이끌어 가는 사람에게만 주어지는 至高의 幸福이다.
우리의 人生 또한 주어진 지금 여기 現在의 狀況을 認定하고 극복할 때 비로소 自身의 人生이
바로 깨달음이라는 事實을 터득할 수가 있는 것이다.
逆說的이지만 苦難과 危機가 많을수록 健康하고 生動感 있는 삶을 살 수 있다고 한다.
日常生活에서 마주는 슬픔과 苦痛은 現在의 삶을 点檢할 수 있는 또 다른 安全裝置일 수도 있다.
그러므로 現在의 逆境과 苦難을 當當하게 받아들이고 肯定的으로 受容하는 마음의 자세가 더욱
중요하다.
人間 意識의 構造속에는 肯定的인 周波數와 否定的인 周波數가 있다고 한다.
肯定的인 意識의 周波數가 强한 사람일수록 삶의 스트레스가 적고, 또한 人生을 主體的으로
이끌어 간다는 사실이다. 이는 否定的인 生覺보다는 肯定的인 밝은 生覺을 많이 하라는 뜻이다.
하늘에 구름에 모이면 비가 내리듯이, 살아가면서 어둡고 否定的인 마음을 키우면 이 세상이
힘들고 우울한 일이 그림자처럼 뒤따르기 때문이다.
그러므로 自身에게 아무리 힘든 狀況이 닥치더라도 밝고 適極的 肯定的인 思考로 이끌어가는
마음의 연습이 필요하다. 이런 마음을 유지하면 어떤 일이 잠시 기분을 망치거나 마음을 상하게
했더라도 금새 平常心으로 돌아올 수 있다. 괴로움은 그 狀況을 認定하기까지의 갈등이며 그
괴로움에 대한 生覺의 執着을 털어내는 과정에 불과한 것이므로 波動하는 마음의 周波數를
바꾸면 바로 지금 그 자리에서 괴로운 마음의 상태가 反轉될 수 있는 것이다.
아메리칸 인디언은 무슨 소리든 萬 번만 외우면 所願대로 이루어진다고 믿는다 한다.
좋은 말이든 나쁜 말이든 萬 번을 외우면 우리 人生도 所願대로 그렇게 될 수도 있다.
하지만 우리는 날마다 慾心과 否定的인 生覺을 이끌어내는 일에 萬 번을 외우는데 그
呪文을 다 消盡해 버린다. 미워하고 원망하고 시기하며 질투하는 일로 하루를 보내면서
남의 탓을 1萬 번씩 하면서 살아가는 것은 아닌지 반성해보아야 한다.
긍정적 마음의 그릇을 키우는 훈련이 필요하다. 알고보면 인생은 주어진 고통이
아니라, 스스로 삶, 세상이 고통스런 것이라는 生覺을 選擇한 고통이 더 큰 것이다.
그렇기 때문에 自身이 不幸하다고 生覺하거나 내 일이 잘 풀리지 않을 때는, 否定的인
마음이나 慾心으로 原因을 지으면서 좋은 結果만를 기대하는 것은 아닌지 스스로가
스스로에게 물어볼 필요가 있을 것 같다.
또한 肯定的인 周波數는 分別하는 마음(分別心/ 分別意識)이 사라진 상태에서 더욱 더
鮮明하게 作用한다는 것이다. 그렇다면 지금 우리들의 마음속 肯定의 周波數는 어떨까?
'자기계발과 마음공부' 카테고리의 다른 글
왜 절에 가는가? 왜 교회에 가는가? (0) | 2015.12.22 |
---|---|
대장부로서 번뇌를 끊고, 나고 죽음을 면하려 하는 것이다 (0) | 2015.12.22 |
가유여환 환화공신 (0) | 2015.12.21 |
죽음 (0) | 2015.12.21 |
진실, 깨달음, 대도는 언제나 눈앞에 있습니다. (0) | 2015.12.2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