죽음 명상 법상스님 감동어구
죽음명상
죽음명상에 대해 언젠가 이야기했던 적이 있습니다.
'지금 당장 죽을 수 있겠는가' 라고 물었을 때
'예' 하고 답할 수 있을 만큼 일체를 내려놓고 살자 했습니다.
지금 당장 여기 이 자리에서 기꺼이 죽을 수 있는 사람이라면
세상을 인생을 참으로 행복하고 자유롭게 살아갈 수 있을거라 하였습니다.
................
지금 당장 여기서 죽을 수 있겠는가? 그 물음을 내일로 미루어 봅시다.
오늘 이 하루가 내 삶에 남은 마지막 날이 될 수 있도록 말입니다.
내일 죽는다는 생각으로 오늘 하루를 살아보자는 말입니다.
과연 나는 내일 죽는다면 무엇을 하며 오늘 하루를 보낼까.
내일 죽더라도 추호의 여한도 없이 오늘을 살고 있는가.
내일 죽더라도 어떤 미련도 없이 이번 생을 마감할 수 있겠는가.
그동안 꼭꼭 붙잡아 왔던 모든 이번 생에 대한 집착심을 모두
다 놓아버릴 수 있겠는가. 하고 스스로에게 물어 보는 것입니다.
함께했던 주윗 분들의 죽음을 꽤 여러번 접하고 그로 인해 괴로워하는 많은 분들을
만나보다 보니, 또한 말짱하던 사람이 한 순간에 죽어서 사라져가는 일들을 겪게 되다 보니,
처음에는 마음에 아무런 동요도 없이 시다림을 하고 천도를 하다가 어느 날인가 문득 그
모든 죽음들이 나의 죽음으로 다가오는 것을 알게 되었습니다. 내일 내가 죽지 않을 수
있다고 장담할 수 있는 사람이 감히 누가 있던가 말입니다.
그냥 해보는 말이 아니라 진짜로 '나는 내일 죽는다' 라는 생각을 하고 보니
내일 죽는다는 이게 결코 허푸게 오늘을 살 일이 아니라고 여겨졌습니다.
지금 여기 매 순간 순간이 중요해지고, 순간순간 최선을 다해 수행하지 않을 수 없게되며,
어리석게 이 세상 이 모든 것들을 이것 저것 꽉 붙잡아 그것에 집착하지 않게 됩니다.
그렇게 하다보니 또한 자연스럽게 내가 가진 모든 것들을 베풀 수밖에 없어집니다.
이처럼 내일 죽음을 준비한다는 말은
첫째로 '일체를 놓음(放下着방하착)'함을 의미하며
둘째는 '최선의 정진'을 함을 뜻하고,
셋째로 '보시의 실천'이 뒤따르게 됩니다.
내일 당장 죽을 사람에게 이 세상 이 모든 것들에 대한 집착이란 아무짝에도 쓸모 없는 짓이기에,
지금까지 집착하고 있던 정신적, 물질적인 이 세상 이 모든 것들에 대한 모든 집착심을 한 순간에
정리해서 싹 내려놓을 수 있게 됩니다.
'내일 당장 죽는다' 하고 인정하여 그 사실을 마음에서 수용하고 보면 그동안 절대로 놓아버리지
못할 것 같이 꼭 붙잡고 있었던 것들도 쉽게 놓아버릴 수 있게 됩니다. 죽을 사람이 얽매일 것이
무엇이 있으며, 무엇을 죽은 뒤 까지 가져 갈 수 있습니까.
죽을 때 죽음과 함께 가져갈 수 있는 것은 오직 福德과 功德을 쌓은 福力과 마음공부를 한
修行力밖에 없다는 事實을 어느 누구보다도 잘 알고 있는 수행자는 복력과 수행력의 정진에
힘쓰지 않을 수 없습니다. 오늘 하루 최선을 다해 정진하고 또 정진하며 한 순간도 방일하지
않고, 화두 염불을 놓지 못하며 경전을 놓지 못하고 精神이 맑게 깨어있게 됩니다.
또한 지금까지 내 것이라는 錯覺에서 쌓아 놓기만 했던 재물이며 일체의 '내 것'들을 마음
편히 이웃과 사회에 회향하여 베풀수 있게 됩니다. 이렇게 하면 오늘 하루를 한 치의 후회도
없이 살아갈 수 있으며, 죽음에 대한 집착 즉, 오래 살고 싶다는 慾心을 비롯해 지금까지 살아
오면서 붙잡고 왔던 精神的 物質的인 모든 것들을 다 놓아버렸기에 그 어떤 대상 경계에도
흔들리지 않을 수 있는 마음의 중심이 잡히게 됩니다.
내일 당장 죽음을 앞두고 있는 마당에 괴로울 것이 무엇이 있고, 서글플 일이 무엇이 있으며
외롭고, 답답하고, 시기하고 질투날 일이 그 무엇이 있겠습니까. 인간이 느끼는 괴로움이라는
경계 중에서 죽음 이상가는 더 고통스런 경계가 어디 있단 말입니까.
-법상스님-
'법상스님의 날마다 해피엔딩' 카테고리의 다른 글
내 인생은 내 마음의 그림자다 (0) | 2016.01.23 |
---|---|
입춘대길 (0) | 2016.01.21 |
즐거울 때 즐거워하고 괴로울 때 괴로워하라. (0) | 2016.01.20 |
생각 너머에 행복 자유 평화가 있다 (0) | 2016.01.18 |
있는 그대로 두면, 이대로가 진리 (0) | 2016.01.1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