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기계발과 마음공부

신영복 교수의 화엄세계

장백산-1 2016. 1. 31. 23:03

 

 

신영복 교수의 화엄세계

부당함에 맞선 실천적 지식인, 더불어 살아가는 관계론 주창, “불교는 관계론의 보고” 찬사

2016년 01월 25일 (월) 12:38:32이재형 기자 mitra@beopbo.com

신영복 성공회대 석좌교수가 1월15일 별세했다. 시대 아픔을 온몸으로 관통하면서 人間과 生命의 意味를 전달해 온 참 스승의 마지막을 많은 이들이 애도했다.

1968년 신 교수는 이념과 냉전의 독주에 저항했다. 정권은 그에게 무기징역형을 선고해 세상과 격리시켰다. 하지만 마음까지 가둘 수는 없었다. 헨리 데이비드 소로, 자와할랄 네루, 안토니오 그람시, 만해 한용운 등 실천적 지식인들이 그랬듯 신 교수에게도 감옥은 사색의 공간이었다. 동양의 고전에 침잠하면서 그는 노자, 공자, 장자, 묵자, 순자, 맹자 등 숱한 성현들과 마주했다. 감옥은 그를 더 단단히 여물고 깊어질 수 있도록 이끌었다.

신 교수가 세상에 돌아온 것은 1988년 광복절이었다. 20년 20일을 감옥에서 보낸 그에게 27살의 청춘은 가버린 뒤였다. 그러나 사람들은 머리 희끗한 40대 후반의 그에게서 분노와 회한의 모습을 찾을 수 없었다. 인간에 대한 이해와 성찰, 냉철한 사회인식과 자기절제를 갖춘 그는 옛 성현을 닮아있었다.

신 교수는 人間을 個體化시키는 西洋의 存在論과 資本主義적 思惟體係에 限界가 있음을 알았다. 나와 나 아닌 다른 것들과의 關係性 總體가 生名의 本質이라는 關係論 즉, 緣起論을 力說한 것도 그 때문이다. 나만 잘 살면 그만이라는 獨線과 利己의 시대에 함께 살아가야 한다는 ‘더불어 숲’의 가치를 주창한 것이다.

불교와의 인연도 깊었다. 신 교수는 2000년대 초 평창 월정사 주지 정념 스님 요청으로 상원사 ‘문수전(文殊殿)’의 현판을 썼다. 당시 그는 달포 이상의 숙고 끝에 세 글자를 이어서 썼다. 분(分)과 석(析)이 아닌 원융(圓融)이 이 세계의 본 모습이며 이를 깨닫는 것이 문수보살의 지혜라는 생각에서였다. 신 교수는 그때 심경을 ‘변방을 찾아서’(2012년)에서 이렇게 회고했다.

“아무리 작은 微物이라 하더라도, 그리고 아무리 짧은 찰나라 하더라도 그것이 맺고 있는 중중무진(重重無盡)으로 얽히고 섥힌 헤아릴 수 없는 因緣을 깨닫게 되면 저마다 시공을 초월하는 한 송이 꽃으로 피어난다. 꽃으로 가득 찬 세상은 얼마나 엄숙한 화엄의 세계인가. 지혜란 바로 그런 깨달음일 터이다.”

신 교수의 관계론은 불교사상에 의해 더욱 확연해진다. 그는 2004년 출간된 ‘강의’에서 “불교사상은 관계론의 보고”라고 천명했다. ‘화엄경’이 불교철학의 최고봉이라고 찬사를 보낸데 이어 깨달음에 대한 자신의 견해를 펼쳐나갔다.

  
▲ 이재형 국장

“불교에서 각(覺)이란 이 緣起의 망(網)을 깨닫는 것입니다. 우리들이 갇혀 있는 좁은 사고의 함정을 깨닫는 것입니다. 개인이 갇혀 있는 분별지(分別智)를 깨달아야 함은 물론이며 한 시대가 갇혀 있는 集合標象, 즉 業을 깨닫는 일입니다.”

깨달음을 지극히 명상적인 것으로 해석하는 것 자체가 이데올로기일 수 있음을 지적한 것이다. 신 교수는 고전의 가치를 새롭게 평가하고 옛 사람들을 오늘날 삶의 현장으로 생환해 그들이 길어 올린 지혜를 들려주었다.

그는 월정사 현기 스님과도 친했다. 어느 깊은 밤 전화가 울려 받아보니 현기 스님이었다. “선생님, 달 보냈으니 받으세요.” 아파트 베란다에 나갔더니 현기 스님이 보낸 보름달이 와 있더라는 얘기다.

“인간은 歷史 속에서 걸어 나오고 歷史 속으로 걸어 들어간다”는 자신의 말처럼 이제 그는 역사 속 인물이 됐다. 신 교수는 떠났지만 그가 남긴 지혜의 우물은 여전히 맑고 깊다.

이재형 

mitra@beopbo.com

[1329호 / 2016년 1월 27일자 / 법보신문 ‘세상을 바꾸는 불교의 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