탐욕, 욕심, 집착이라는 것
불교의 경전에는 貪欲에 관한 가르침들이 많이 등장한다. 우리 마음을 汚染시키는 세 가지 마음 즉,
三毒心(탐 내는 마음, 화 내는 마음, 어리석은 마음)에서 가장 먼저 등장하는 마음 또한 貪欲心이다.
탐욕심에서 벗어나지 못하는 마음이야말로 우리를 가장 괴롭히는 主犯이기 때문이다.
증일아함경의 말씀을 들어보자.
“마음이 탐욕심을 벗어나지 못하기 때문에 중생들의 마음이 무거운 짐을 지게 된다. 탐욕심으로부터
벗어나지 못하는 한 중생의 마음은 무거운 짐을 벗을 수가 없다. 탐욕심이라는 무거운 짐을 지는 것은
세상 사람들의 病이요, 그 무거운 탐욕심이라는 짐을 벗어버리는 것은 최상의 즐거움이니 무거운 짐을
버릴지언정 새 짐을 만들지 말라.”
탐내고 욕망하는 마음은, 공연히 마음을 무겁게 하는 일일 뿐이다. 우리들은 지금 여기 있는 이대로도
본래 이미 충분하고 충만한 완전한 존재이기 때문이다. 아무런 노력을 하지 않더라도, 삶은 원만하게
이어진다. 하루 세 끼니를 충분히 해결할 수 있고, 크게 애쓰지 않더라도 맑은 공기를 충분히 들이마실
수 있다. 걷고 싶으면 언제고 걸을 수 있고, 살고 싶어서 이렇게 살아 있을 수도 있지 않은가.
이처럼, 지금 여기 있는 이대로도 충만하고 충분한 완벽한 존재가 갑자기 무언가를 더 가지고 싶어진다.
더 이상 지금 여기 있는 이대로는 뭔가가 부족하다고 느끼기 시작하는 것이다. 남들이 가진 좋은 집과
큰 차와 소유물들이 내가 가진 것보다 더 좋아보이기 시작하는 것이다. 남들과 比較하는 바로 그 때부터
탐욕심과 욕망이라는 무거운 마음의 짐을 스스로 자진해서 짊어지게 되는 것이다.
탐욕과 욕망이라는 무거운 마음의 짐을 스스로 짊어지기 시작하면서부터 삶은 고통스럽고, 힘들며,
끊임없이 더 많이 소유하고 쟁취해야 하는 투쟁의 場이 되고, 남들과 싸워 이겨야만 살아남을 수 있
는 生存競爭의 場이 되어버린다. 그래서 한 시도 가만히 있을 수 없게 된다. 빨리 더 많은 것을 채워
야 하고, 가져야 하고, 빼앗아야 한다. 남들보다 더 높은 자리에 올라야 하고, 더 많은 것을 소유해야
한다. 그러면 그럴 수록 더욱 더 삶이 힘겨워지고, 할 일이 많아지는 것이다. 이 얼마나 무거운 짐인가?
그래서 화엄경에서는 이렇게 설하고 있다.
“고통의 원인은 탐욕심이다. 세상에서 즐거워 하는 것들 치고 결국 고통 아닌 것이 없다. 탐욕심은
어리석은 사람이나 부리는 것, 삶에서의 모든 고통과 근심은 바로 탐욕심에서 생기는 것이다.”
그렇다! 삶에서의 모든 근심과 고통은 바로 탐욕심에서 생겨나는 것이다. 조금도 아무 문제가 없던
自然 狀態, 지금 여기 있는 그대로의 본래 이미 완전하고 충만한 存在 狀態에서는 아무 문제도 없었
는데, 남들과 比較하기 시작하고, 남보다 더 많이 가지려는 탐욕심을 일으키기 시작하면서부터 근심과
고통이 생겨나기 시작한 것이다.
성실론에서는 이렇게 설한다.
“중생은 생각 마음이 어리석어 탐욕심을 즐거워한다. 그러나 지혜로운 사람은 탐욕심이 바로 괴로움인
줄 잘 알기 때문에 수시로 탐내는 마음을 끊어버린다. 탐욕을 욕망으로 채우려고 한다면 그것은 마치
소금물을 마셔 더욱 갈증이 심해지는 것과 같다. 탐욕심을 없앤다면 괴로움은 저절로 사라질 것이다.”
무언가를 갖고 싶고, 얻고 싶고, 되고 싶다면 그것 자체는 나쁘지 않다. 그것들을 하고 싶다면 최선을
다해 그것을 하라. 다만 ‘절대로’, ‘반드시’ 그것을 해야 한다거나, 그 결과를 얻지 못하면 절대 안 된다
고 여기지는 말라. 최선을 다해 그것들을 하되, 그 結果는 宇宙法界의 뜻에 맡겨 보라. 그렇게 하는 것
이 바로 ‘머무는 바 없이 마음을 내는’ 것(應無所住 而生其心)이며, 탐욕심 없이 행동하는 마음이다.
위에서 말했듯이 탐욕과 욕망을 버리라고 해서 아무 일도 하지 말라는 말이 아니다. 하고 싶은 것들을
최선을 다해서 하되, 比較하는 마음 分別하는 마음이 없는 行 즉, 함이 없이 하라는 말이다. 그렇게
행하는 마음이 바로 탐욕이 괴로운 줄 알기에 수시로 탐욕심을 끊어버리는 행이다. 執着 없이 行하면
괴로움 걱정 고통은 저절로 사라져버릴 것이다. 지금 여기에 있는 나는 탐욕심과 욕망으로 이 일을 行
하고 있는가? 아니면 이 일에 執着하는 마음 없이 行하고 있는가를 늘 살펴보라.
-법상 스님-
'법상스님의 날마다 해피엔딩' 카테고리의 다른 글
허용할 준비 (0) | 2016.03.25 |
---|---|
근원의 나를 만나는 삶 | 행복수업 (0) | 2016.03.23 |
초기불교와 선불교의 방편 (0) | 2016.03.22 |
회향의 발원 | 법상스님의 금강경과 마음공부 (0) | 2016.03.22 |
미신, 징크스는 없다 (0) | 2016.03.2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