불교에서 사용하는 법(法)이라는 단어의 의미?
불교에서 쓰는 법(法)이란 구체적으로 어떤 것을 말하는 것일까요? 불교에서 쓰는 법(法)이란 단어는
인도의 고대어 다르마(담마)를 한자(漢字)로 번역한 말로 다르마를 소리나는 대로 옮길 때는 달마(達磨)
로 표기합니다. 다르마 이 말은 본래 유지하는 것, 인간의 행위를 지키는 것 정도의 의미였는데, 인도에
서는 이 다르마가 관습, 습관, 의무, 사회제도나 질서, 착한 행위, 진리, 본질, 종교적 의무등 매우 다양한
뜻로 사용되었습니다.
또 불교에서 법(法)이라는 개념(槪念)은 진리, 법칙, 행위규범, 바른것, 사물이나 존재, 근본성품, 석가
모니부처의 가르침 등의 의미로 쓰이고 있습니다.
그러면 왜 이렇게 법(法)이라는 하나의 단어에 서로 다른 여러 가지 의미가 혼재해서 담겨지게 되었을
까요. 불교에서의 법(法), 혹은 법보(法寶)라고 해서 진리(眞理)를 석가모니 부처님 및 불교교단과 더
불어 삼보의 하나로 대단히 중요시 하고 있읍니다.
본래 석가모니부처님은 우주와 삶의 진리(眞理, 진실한 이치)를 깨닫고 부처님(붓다)라는 명칭을 사용
하게 되었습니다만, 그 당시 석가모니부처님이 깨달으신 우주와 삶에 관한 진리란 다름 아닌 이 세상이
이처럼 운행이 되고 유지가 될 수 있는 근본이치, 즉, 법(法)이었습니 다
또한 석가모니부처님이 깨달으신 법(法)에 의하면 이 세상 모든 것, 우주만물은 모두가 다 그와 같은
법칙을 근거로 존립하는 것일 뿐 독자적인 실체를 지닌 것이 아니므로 사물이나 존재, 본성 따위도
불교에서는 법(法)이라고 부르게 되었습니다.
뿐만 아니라 석가모니부처님이 가르치신 법(法)도 그와 같은 진리였고, 석가모니부처님 권하신 바른 길,
착한 행위 도 모두 그와 같은 진리 이외에 다른 법(法)이 아니었습니다. 따라서 불교에서 사용하는 법(法)
이라는 단어는 진리 이외에도 사물이나 존재, 본성, 올바른 행위, 석가모니 부처님의 가르침 등을 의미
하는 말로 쓰이게 되었던 것입니다.
한자의 법(法)자가 물 수(水)자와 갈 거(去)자를 합쳐서 물이 흐르는 방향 즉, 자연의 순리를 의미하듯
불교에서 말하는 진리도 법(法)과 같습니다
- 대불청에서 옮김 --다음 카페 무진장 행운의 집
'성철스님의 주례사 [금고옥조]입니' 카테고리의 다른 글
스티븐 호킹의 위대한 설계 (0) | 2018.03.15 |
---|---|
본래마음(本來心) (0) | 2018.03.07 |
시비(是非)와 선악(善惡)이 본래 공(空)하다 (0) | 2017.11.01 |
1장 불생불멸(不生不滅) 2. 색공(色卽空)의 세계 (0) | 2017.10.19 |
옛 거울을 부수고 오너라. (0) | 2017.10.1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