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기와 저기, 차안(此岸)과 피안(彼岸)
"행복을 밖에서만 찾고 있지 않나요”
봄이 오는 듯하더니 꽃샘추위가 매섭다. 남도에는 이미 봄꽃이 만발해서 상춘객들로 야단이다. 아직 내가 있는 곳까지 올라오지 못한 봄을 마중하러 바람도 쐴 겸 길을 나서볼까 하다가, “에이, 거기가 거기지 뭐”하는 마음으로 그만두었다. 그래도 아쉬운 마음이 들어 방문에 써 붙여둔 게송 한 자락으로 위안을 삼았다.
“심춘막수향동거 서원한매이파설(尋春莫須向東去 西園寒梅已破雪)봄을 찾아 동쪽을 향해 가지마라. 네 집 서쪽 정원에 추운 바람 눈속을 뚫고 이미 매화가 피었다.”
원효 스님과 의상 스님이 함께 중국 유학길에 나섰다. 가는 길에 비바람이 치고 날이 저물어 동굴 같은데서 하루밤을 묵었다. 밤중에 자다가 목이 말라 주변을 더듬거리니 마침 머리맡에 물이 담긴 바가지가 있었다. 잘 되었다 싶어 물을 마셨는데 꿀맛이었다. 아침에 눈을 뜨고 보니 깜짝 놀랐다. 간밤에 그렇게 맛있던 물이 해골바가지에 담긴 썩은 물이었던 것이다. 원효 스님은 뱃속에 있던 모든 것을 토해냈다. 그리고 그 순간 깨달았다. 간밤에 마신 맛있는 물과 아침에 눈을 뜨고 본 해골바가지에 담긴 썩은 물이 둘이 아니라는 사실을….
“심생즉종종법생(心生則種種法生)이라 마음이 일어나면 온갖 법(존재, 현상, 것)이 생겨나고, 심멸즉종종법멸(心滅則種種法滅), 마음이 멸하면 온갖 법도 사라진다. 삼계유심 만법유식(三界唯心 萬法唯識)이라 온 세상이 오직 마음일 뿐이요, 모든 현상(法, 존재, 것)이 오직 인식(認識, 앎)일 뿐이다. 심외무법 호용별구(心外無法 胡用別求)이니 온 세상이 오직 마음일 뿐 마음 외에는 아무 것도 없는데 따로 무엇을 구하겠는가.”
원효 스님은 일체유심조(一切唯心造), 즉 마음이 세상 모든 것을 조작해 낸다는 사실을 깨달은 것이다. 그리고 유학을 가던 발걸음을 돌려 신라로 돌아왔다. 그리고 평생을 여기 차안(此岸)에서 저기 피안(彼岸)을 노래하며 ‘여기’와 ‘저기’가 둘이 아니고 하나인데 여기 이쪽 언덕(괴로움의 세계)과 저기 저쪽 언덕(행복한 세계)는 마음먹기에 달렸다는 사실을 전파하셨다.
‘피안’은 저기 저쪽 언덕이라는 뜻이다. 저기 저쪽 언덕이란 이상(理想), 해탈, 열반을 성취한 행복의 땅, 소망이 완벽하게 이룩된 땅이다. 거기에 비해 ‘차안’은 여기 이쪽 언덕, 괴로움과 분별 망상 번뇌가 가득한 땅, 여기 이쪽, 즉 중생들이 사는 땅, 불행의 땅이다. ‘여기 이쪽’에 사는 중생들은 늘 고된 삶을 부지하고, ‘저기 저쪽’에 있다는 행복을 얻기 위해 죽을 때까지 애를 쓰며 괴로워하면서 산다. 그러나 그렇게 애를 써도 결국에는 다 이루지 못하고 저기 저쪽 세상으로 간다. 어찌보면 인생 자체가 ‘여기’에서 ‘저기’로 지향하는 원을 세우고 하나씩 이루어가는 과정이라고 할 수 있다.
‘삼계개고 아당안지(三界皆苦 我當安之)’, 부처님의 탄생게 가운데 한 구절이다. “세상이 다 괴로움에 빠져 있으니, 내가 마땅히 괴로움을 소멸시켜 세상 사람들을 편안케 하리라”는 말씀이다. 이 말씀은 석가모니부처님께서 깨달음을 이루고 난 후 신통으로 한 번에 일체중생을 괴로움으로부터 구제하겠다는 뜻이 아니다. 부처님의 생명도 유한한 것, 모든 부처님이 생멸을 거듭해도 결코 변하지 않는 진리를 설해 괴로움의 세상인 차안(이쪽 언덕, 괴로움 불행의 세상)이 곧 피안(저쪽 언덕, 행복의 세상)이라는 사실을 깨닫게 해 주겠다고 선언하신 말씀이다.
행복은 누가 나에게 주는 것이 아니다. 그러나 사람들은 늘 행복을 밖에서 찾고 있다. 내가 '지금' 발 딛고 서있는 ‘여기 이쪽 차안’은 ‘불행’이라는 이름을 지어 붙여놓고 투덜거리고, 결코 갈 수 없는 ‘저기 저쪽 피안’은 ‘행복’이라는 이름을 지어 붙여놓고, 허공(虛空) 속에서 손을 허우적거리고 있는 것이다. 붓다께서도 “행복도 내 마음이 만드는 것이고 불행도 내 마음이 만드는 것이다. 진실로 행복과 불행은 다른 사람이 만드는 것이 아니다”라고 가르치셨다. 한 생각 마음 하나 편안하면 극락이요 한 생각 마음 하나 괴로우면 지옥이다. 관점을 어디에 두느냐에 따라 행복과 불행이 바뀌는 것이다.
나는 여기 있고 너는 저기 있다. 인(因)은 여기에 있고 과(果)는 저기에 있다. 내가 지은 인(因)은 여기 이쪽 차안(此岸)에 있고 내가 지은 과(果)는 저기 저쪽 피안(彼岸)에 있다. 한 평생 열심히 살다가 안타깝게 생을 마감하여 저 세상으로 간 사람은, 숨 쉬고 살아있었던 이생이 피안이고 숨이 끊어져 떠나간 그 곳이 차안이다. 아파서 꼼짝 못하고 병석에서 숨만 쉬고 있는 사람에게는 고통스런 병실이 차안이고 사지 멀쩡하게 걸어 다니는 사람이 피안이다. 낮에는 무료급식소에서 끼니를 때우고 저녁에는 이슬 피할 곳 찾아다니는 사지 멀쩡한 노숙자에게는 찬 길바닥이 차안이요 김이 모락모락 나는 밥 한 그릇과 따끈한 방이 피안이다. 따끈한 방에서 취업 준비하는 실직자에게는 취직 빨리 안하냐며 잔소리 해대는 엄마가 차안이고 매일 출퇴근하는 직장인이 피안이다.
매일 교통지옥에서 출퇴근하는 직장인은 상사의 눈치에서 벗어날 길 없는 회사가 차안이고 아침에 느긋이 일어나 내 맘대로 일을 할 수 있는 자영업자가 피안이다. 남들 볼 때 속편한 것같은 자영업자는 오늘 매출을 걱정해야 하는 가게가 차안이요 출근해서 내 일만 하면 월급이 꼬박꼬박 나오는 직장인이 피안이다. 추운데 살면서 난방비를 걱정하는 사람은 지긋지긋한 겨울이 차안이요 불 안 때도 되는 열대지방 사람들이 사는 곳이 피안이다. 뜨거운 태양으로 대지가 타들어가는 곳에 사는 사람들은 물이 귀해 흙탕물을 걸러서 먹는 이곳이 차안이요 언제든지 맑은 물이 넘쳐나는 설산 계곡이 피안이다. 이제 더 이상 그만 말하자. 이러다가 끝이 없겠다. 대충 생각나는 대로만 썼는데도 이 정도이니 작정하고 이쪽 여기 차안(불행의 세상)과 저쪽 저기 피안(행복의 세상)에 대해 글을 쓴다면 이삼일 정도는 걸릴 것 같다.
어떤 사람이 봄(행복, 파랑새)을 찾아 온 산천을 헤매었지만 찾질 못하고 지친 몸으로 집에 돌아 왔는데, 집 마당에 매화가 이미 피어 있었다는 이야기가 있다.
“내가 바로 부처인데 왜 그 사실을 모르고 먼 곳으로 부처를 찾아가는가? 사랑도 행복도 내 마음에 달려있으니, 먼 곳에서 찾지 말라.”
깨닫고 보니 그렇게 찾아 헤매던 깨달음, 즉 부처가 매일매일 순간순간 나와 함께 먹고 밤마다 나와 함께 자고 아침에 함께 일어나고 고락을 물샐틈 없이 함께 했는데 이 깨달음, 부처가 바로 마음이었던 것이다. 지난 여름 천은사에서 법고불사 회향기념으로 시계를 만들었다. 시계 판 숫자를 대신해서 해인사 팔만대장경 법보전에 써있는 주련 내용을 썼다. ‘원각도량하처 현금생사즉시(圓覺道場何處 現今生死卽是)’, 즉 ‘행복의 세상 어디에 있나 바로 지금 여기 이곳에 있다’로 했다. 생사즉열반(生死卽涅槃, 생사가 행복)이요, 번뇌즉보리(煩惱卽菩提, 번뇌가 깨달음, 부처)다. 차안이 곧 피안이요 여기가 바로 저기다. 차안과 피안이 따로 있는 것이 아니다. 알고 보면 ‘피차일반(彼此一般)’이다.
동은 스님 삼척 천은사 주지 dosol33@hanmail.net
[1481호 / 2019년 3월 20일자 / 법보신문 ‘세상을 바꾸는 불교의 힘’]
'자기계발과 마음공부' 카테고리의 다른 글
내 마음은 어떻게 만들어 지는가 (0) | 2019.03.26 |
---|---|
나의 이름은 마음입니다 (0) | 2019.03.25 |
생각을 쉬고 또 쉬세요 (0) | 2019.03.24 |
맹인이 빛을 못보듯이, 업이 무거운 중생은 믿음이 없기에 빛이 밝음을 보지 못하고, 마음이 부처임을 모른다 (0) | 2019.03.24 |
온통 도(道) 아닌 것이 없다 (0) | 2019.03.2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