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래무일물(本來無一物)
보리는 본래 나무가 아니고 밝은 거울 또한 형체가 아니다.
본래 아무것도 없는데 어디에서 티끌먼지가 일어나겠는가.
菩提本無樹 明鏡亦非臺 本來無一物 何處惹塵埃
보리본무수 명경역비대 본래무일물 하처야진애
- 육조단경, 육조혜능 -
이 게송은 육조(六祖) 혜능(慧能, 638~713) 스님이 오조(五祖) 홍인(弘忍, 601~674) 스님 밑에서
행자 생활을 하고 있을 때 지은 것이다. 오조 스님이 법(法)을 이어받을 만한 제자를 찾느라고 오조
스님 제자들에게 각자가 깨달은 바가 있으면 그 깨달음을 게송으로 지어보라고 명하였다. 그의 수제자
신수(神秀, 606?~706) 스님은 "몸은 보리의 나무요, 마음은 밝은 거울과 같으니, 마음을 때때로 부지
런히 닦아서 티끌먼지가 끼지 않게 하라 (신시보리수 심여명경대 시시근불식 물사야진애 身是菩提樹
心如明鏡臺 時時勤拂拭 勿使惹塵埃)"라는 게송을 지어 바쳤다.
신수의 이 게송에 대하여 육조(六祖) 혜능(慧能) 노행자는 반대의 입장을 밝혔다. 반대의 입장이라기
보다는 오히려 근본적으로 신수가 지은 게송의 모든 것을 부정하는 뜻이라고 하는 것이 더 정확하다.
보리(菩提)란 도(道), 또는 깨달음으로 번역한다.
몸은 깨달음이 열리는 나무다. 즉 몸이 있기 때문에 깨달음도 있다고 하는 신수의 게송에 대해서,
혜능은 몸에 의해서 깨달음이 있는 것이 아니다 라고 한다. 신수는 또한 마음은 흔히 맑은 거울과
같아서 자주 티끌먼지 같은 삼독심(三毒심 : 탐내는 마음, 화내는 마음, 어리석은 마음)이나 온갖 분별
망상 번뇌의 때가 낀다고 한다. 그러나 혜능은 깨끗한 거울과 같다는 마음도 본래는 형체(形體)가 있는
것이 아니다. 이 세상에는 본래 아무것도 없다. 그러니 어디에 티끌먼지와 같은 삼독심(三毒심 : 탐내는
마음, 화내는 마음, 어리석은 마음)이나 온갖 분별 망상 번뇌라는 때가 낄데가 있겠는가라고 대꾸한다.
신수의 게송에 대한 혜능의 게송은 공적(空寂)한 마음의 입장을 잘 표현하였다. 그러나 마음은 공적
(空寂)하기만 한 것이 아니다. 우주삼라만상과 만행(萬行), 만덕(萬德)을 만들어 내는 것 또한 마음이
하는 일이다. 마음이 있어서 우리는 이렇게 보고, 듣고, 냄새맡고, 맛을 보고, 감촉을 느끼고, 생각을
하고, 꼬집으면 아픈 줄 알고, 부르면 대답할 줄 알면서 삶을 영위하는 것이다. 이것을 신령스런 앎,
즉 영지(靈知)라 한다. 그래서 이 공적영지(空寂靈知)를 본래의 나, 본래면목, 부처, 불성, 깨달음,
도(道)라는 명칭으로도 부른다.
- 무비스님이 가려 뽑은 불교 명구 -
'자기계발과 마음공부' 카테고리의 다른 글
마음의 고향 자성청정심을 찾아서 (0) | 2020.01.11 |
---|---|
능단금강반야파라밀다경(금강경) (0) | 2020.01.10 |
시법주법위 세간상상주(是法住法位 世間相常住) (0) | 2020.01.08 |
[마음산책] 영혼의 여정 (0) | 2020.01.08 |
생사를 해탈한 사람 (0) | 2020.01.0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