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기계발과 마음공부

선서(禪西)에서 불어오는 선풍(禪風)

장백산-1 2020. 2. 19. 15:33

선서(禪西)에서 불어오는 선풍(禪風)  


고요한 밤 절간에 말없이 앉아있으니 

적적하고 고요함은 본래 자연 그대로다. 

무슨 일로 서풍은 나무를 흔들어서 

추운 날 기러기 하늘 멀리 울며 가게 하는가. 


山堂靜夜坐無言  寂寂廖廖本自然 

산당정야좌무언  적적요요본자연 


何事西風動林野  一聲寒雁唳長天 

하사서풍동임야  일성한안려장천 


『야보도천』


야보도천 스님은 사람들 마음의 진상(마음의 참 모습)을 있는 그대로 표현한 이 선시(禪詩)를 통하여 

사람의 마음을 멋있게 표현하였다. 마음은 어느 한 곳에만 머물러 있는 것이 아니다. 마음은 인연을 

따라 흐르고 변화하면서 조화를 이루는 것이 마음의 자연스런 모습이다. 


그런데 마음의 그와 같은 이치를 모르고 억지스런 마음를 쓰고 살아가는 데서 무리가 따른다. 살아가는 

데 무리가 따르면 고통이 따른다. 그것은 불심(佛心)이 아니다. 그같은 삶은 선심(禪心)이 아니고 지혜

로운 생활태도가 아니다. 


고요한 밤 절간에 말없이 앉아 있으면 얼마나 적적하고 또 고요하겠는가. 그러나 그 고요하고 적적함은 

결코 정해진 것이 아니다. 정해질 수도 없고 정해져 있어도 안 되는 것이 자연(自然)의 이치(理致)이다.

그리고 정해진 바가 없는 자연(自然)의 이치(理致)가 마음(心)의 이치(理致)이기도 하다. 


머무는 바가 없는 마음을 쓰듯이, 서풍이 살며시 불어 막 잠이 들려고 하던 기러기가 바람결에 놀라

울음소리 길게 외치며 구만리 장천을 날아간다. 


이 시(詩)는 멋진 한 폭의 그림이다. 그야말로 선화(禪畵)다.  고요하면서 작용하고(적적성성 寂寂惺惺)

작용하면서 고요한(惺惺寂寂) 마음 같이 완벽한 조화의 그림이다. 자연스런 마음의 모습을 잘 그렸다. 

이 그림으로써 머무는 바 없는 마음을 쓰는 도리(응무소주 이생기심/ 應無所住 而生其心)를 표현하였다. 

이럴 때의 서풍(西風)은 선서(禪西)에서 불어오는 선풍(禪風)이다.  


출처 : 무비 스님이 가려뽑은 명구 100선 ② 소를 타고 소를 찾는구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