웃는 부처(붓다, 깨달은 자)
웃음을 잃는다면 모든 것을 잃는 것이다.
당나라 때 '행복한 중국인' 또는 '웃는 부처'라고 불리는 건장한 사람이 있었다. 그의 이름은 포대(布袋)화상이였다. 그는 자신을 선사(禪師)라고 여기지도 않았고, 다른 사람들이 그를 선사라고 부르는 것도 원치 않았다. 당연히 그는 주위에 제자들을 거느리는 것도 싫어했다. 그 대신 그는 사탕, 과일, 과자가 든 자루(포대)를 등에 메고 거리를 돌아다녔다. 그리곤 주변에서 놀고 있는 아이들에게 사탕, 과일, 과자를 나누어 주곤 했다. 그는 선(禪)수행자들을 만날 때마다 손을 내밀고 ‘한 푼 줍쇼.’라고 말하곤 했다. 누가 그의 사찰에 와서 설법을 부탁해도 그는 ‘한 푼 줍쇼.’라고 말했다.
어느 날, 그가 사탕, 과일, 과자가 든 자루를 메고 여느 때와 마찬가지로 거리를 돌아다니는데 어떤 선사가 우연히 그를 발견하곤 그에게 물었다. “선(禪)이 뜻하는 바가 무엇이오?” 그러자 포대화상은 아무 말 없이 메고 있던 포대자루를 땅에 내려놓았다. 그러자 선사가 포대화상에게 다시 물었다. “선(禪)이 이루는 바가 무엇이오?” 질문이 끝나자마자 그는 즉시 땅에 내려놓았던 포대자루를 어깨에 메고 가던 길을 계속 걸어갔다.
웃음은 종교의 본질(本質)이다. 웃음이 없는 심각함은 결코 종교적인 것이 아니며, 종교적인 것이 될 수도 없다. 웃음이 없는 심각함은 에고(에고의식)이며 일종의 질병(質病)이다. 웃음에는 에고가 없다. 일반 사람의 웃음과 종교적인 사람의 웃음에는 차이가 있다. 일반 대중은 항상 다른 사람을 보고 웃는다. 그러나 종교적인 사람은 그 자신, 또는 모든 인간의 우스꽝스러움을 보고 웃는다.
종교는 삶의 축제의 장이 되어야 한다. 웃지 않는 심각한 사람은 불구자이다. 그는 자신의 주변에 스스로 장애물을 만든다. 그는 춤추고 노래할 줄 모르며 축제의 장인 삶을 즐기지지도 못한다. 웃지 않는 심각한 사람의 삶에서 축복은 사라진다. 그는 가슴은 사막처럼 황폐해진다. 그런 사람은 사막처럼 황폐하면서도 자신을 종교적인 사람이라고 생각한다. 그러나 그것은 사실이 아니다.
사람들은 특정 종교단체에 속해있을지는 모르지만 전부가 다 종교적인 사람은 아니다. 사람들은 기독교, 힌두교, 불교, 자이나교, 이슬람교의 교인이 될 수는 있지만 전부가 다 종교적인 사람이라고 할 수는 없다. 사람들은 어떤 종교를 믿고 있을 뿐 종교의 본질에 대해서는 아무것도 모른다. 사람들은 맹목적으로 교리를 믿는다. 그리고 교리의 무게에 억눌린 사람은 심각해진다. 무거운 교리라는 짐을 벗어버린 사람은 사람은 웃음을 터뜨린다. 웃지 않고는 배길 수 없을 정도로 온 세상 모든 것들의 연극은 너무나 재미있다. 웃음만이 이 세상에 대한 유일한 응답이다. 오로지 웃음만이 진정한 기도와 진실한 감사의 표현이다.
포대(布袋)화상은 매우 중요한 인물이다. 포대 같은 사람이 세상에 나타나는 것은 아주 드문 일이다. 그리고 그런 사람이 드물다는 것은 전인류에게 매우 불행한 일이다. 포대화상 같은 사람들이 더 많이 세상에 나타나야 한다. 그래서 더 많은 사원들과 세상이 웃음과 춤과 노래로 흘러 넘쳐야 한다.
심각함이 사라져도 아무것도 잃을 게 없다. 심각함이 없어지면 사람들은 더 건강하고 전체적이 된다. 그러나 웃음을 잃는다면 모든 것을 잃는 것이다. 웃음이 사라지면 사람들은 자신의 존재를 즐기고 누릴 수 없다. 그리고 아름다운 색깔을 잃고 우중충한 무채색이 된다. 그렇게 되면 사람들은 거의 죽은 것이나 다름 없다. 사람들의 에너지는 더 이상 흐르지 못하고 정체된다.
웃음은 꽃이다. 붓다가 씨앗이라면 포대화상은 그 나무에 만개한 꽃이다. 붓다가 뿌리라면 포대화상은 그 나무의 꽃이다. 붓다를 이해하고 싶다면 웃는 부처인 포대화상을 이해하도록 하라. 사람들이 포대화상을 ‘웃는 붓다(부처)’라고 부른 것은 옳다. 붓다는 포대화상에 이르러 꽃이 되었다. 붓다는 포대화상 안에서 웃는다. 포대화상 안에서 깨달음은 그 절정에 이르렀다.
오쇼의 <자비의 서> 중에서
'삶의 향기 메일' 카테고리의 다른 글
마음공부, 수행이란 (0) | 2020.10.26 |
---|---|
인생은 단지 걸어다니는 그림자일 뿐이다 (0) | 2020.10.26 |
말하는 것이 그대로 무한한 도(道)다 (0) | 2020.10.25 |
지금 어디선가 누군가 나를 보고 있다. (0) | 2020.10.21 |
자각의 인간 (0) | 2020.10.2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