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相)을 부순다 함은?
금강경에서는 상(相)을 타파(부수다)하라고 강조합니다. 상(相)이 무엇일까요?
마음 속에 그려지는 그림, 이미지, 모양을 상(相)이라 합니다.
이 세상 모든 것들, 모든 대상은 각각 나름대로의 '이름(名)'이 있고, '모양(色)'이 있습니다.
'사과'라는 소리를 들으면 사과의 이름과 모양이 마음 속에 떠오름니다. 그게 상(相)입니다.
'가족'이라는 소리를 들으면 '가족'이라는 자기만의 그림, 모양, 이미지가 마음 속에 그려지고,
그 상(相)을 보고 가족은 이런거야라고 인식하고, 가족을 그렇게 믿게 됩니다.
그러나 어떤 사람은 '가족'이라는 이미지가 따뜻하고 사랑스럽고 좋겠지만, 어떤 다른 사람은
'가족'이라는 이미지가 별로 따뜻하지도 않고 사랑스럽지도 않고 좋지 않은 이미지로 있는 사람도 있을 것입니다.
'사랑'에 대한 상(相)도 사람마다 각각 다 다르겠죠. 특정 정치인에 대해서도, 특정 정책에 대해서도, 특정 종교에
대해서도, 인생과 이 세상에 대해서도 어떤 사람은 매우 좋게 여기지만 또 다른 사람은 매우 싫어할 수도 있습니다.
이처럼 사람마다 같은 대상을 보더라도 자기만의 상(相), 그림, 이미지, 모양을 가지고 그것을 통해 대상을 해석하고
분별해서 봅니다. 유식무경(唯識無境), 삼계유심(三界唯心), 만법유식(萬法唯識)이라고 하듯이, 이 세상 모든 것은
오직 자기 마음의 투영에 불과할 뿐이며, 세상에는 자기 인식만 있을 뿐, 바깥에 독자적인 경계, 세계가 따로 있는 것은
아니라고 설합니다.
이처럼 우리는 세상을 있는 그대로 보는 것이 아니라, 각자 자기만의 상(相)이라는 인식의 필터로 걸러서 봅니다.
그리고는 그 생각이, 그 인식의 플터가 옳다고 여기고, 그 상(相)에 집착합니다.
그러나 상(想)은 진실하지 못합니다. 상(相)은 내가 만들어 놓은 나만의 이미지, 나만의 고정관념이기 때문이지요.
내가 아닌 다른 사람은 나와는 전혀 다른 상(相)을 만들어 놓고 그만의 상(相)이 옳다고 집착하고 고집할 것입니다.
그렇기에 상(相)에 집착하고 상(相)을 고집하면 곧장 괴로울 수밖에 없습니다. 그러나 상(相)을 써먹기는 할지언정,
상(相)에 과도하게 집착하지만 않으면, 삶은 아무 문제가 없어지고, 괴로음이 사라져서 자유로와집니다. 세상 모든
괴로움이 허망한 상(相)에서 비롯된 실체가 없는 허깨비임을 알기에 그 어떤 상(相)에도 집착하지 않기 때문입니다.
2019.02.26 글쓴이 : 법상
'법상스님의 날마다 해피엔딩' 카테고리의 다른 글
진언의 뜻과 불교의 핵심 (0) | 2022.05.20 |
---|---|
생각은 진실인가 가짜인가? (0) | 2022.05.16 |
부처가 소리를 듣는다 (0) | 2022.05.13 |
부처자리(첫 번째 자리)와 중생자리(두 번째 자리) (0) | 2022.05.10 |
모든 것이 그냥 자유롭게 오고 가도록 허용해주기 (0) | 2022.05.0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