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민족의 뿌리 역사를 찾아서!!!

[스크랩] 제 7 사 극례(克禮: 誠 1體 5用)

장백산-1 2011. 2. 3. 16:39

克極也 禮 敬天神之禮也

극극야 예경천신지예야

 

無禮則不恭 不恭則無誠

무례칙불공 불공칙무성

 

若盡禮盡敬 天神 穆臨于上

약진예진경 천신목임우상

 

(번역)

극克은 지극한 것이요 예禮는 '하나'님을 공경하는 예이다. 예가 없으면 공손함이 없고 공손함이 없으면 정성이 없는 것이니 만약 예를 다하고 공경을 다하면 '하나'님이 기쁘게 임하시니라

 

(주해)

1. 克極也 禮 敬天神之禮也(극 극야 예 경천신지예야): 극克은 지극한 (極) 것이고 예禮는 '하나'님을 공경하는(敬天神) 예라는 뜻이다. 따라서 극례極禮, 즉 '극진한 예'란 지극히 '하나'님을 공경하는 예를 말한다.

2. 無禮卽不恭 不恭卽無誠 (무례즉불공 불공즉무성): 예가 없으면(無禮卽) 공손함이 없고 (不恭), 공손함이 없으면(不恭卽) 정성이 없는(無誠)것이라는 뜻이다.

3.  若盡禮盡敬(약진례진경): '만약(若) 예를 다하고(盡禮) 공경을 다하면 (盡敬)'의 뜻이다. 예를 다하고 공경을 다한다의 뜻은 '하나'님은 우주 만물의 중심에 내려와 계시므로 우주 만물을 대할 때 하늘 대하듯 예를 다하고 공경을 다한 다는 뜻이다.

4. 天神 穆臨于上(천신 목림우상): '하나'님(天神)이 천상(于上)에서 기쁘게 임한다(穆臨)는 뜻이다(穆 기뻐할 목), 행위의 결과에 대한 집착을 버리고 모든 행위를 마치 신에게 바치는 번제 의식과도 같이 정성을 다하게 되면 마침내 행위자는 사라지고 행위만 남는 지선(至善)의 경지에 이르게 되는 것이다. 그러한 경지에 이르면 천, 지, 인 삼신일체의 천도를 체득하게 되므로 '하나'님이 임한다는 의인화 된 표현을 쓴것이다.

 

(연습문제)

1. 極禮란 무슨 뜻인가?

2. _____가 없으면 _______이 없고 ______이 없으면 ______없는 것과 같다.

3. 하나님이 천상에서 기쁘시게 임하시게 할려면 우리는 어떻게 하여야 하는가?( 5자 한자어로)

4. 다음 단어의 뜻을 쓰시오 

    1) 盡禮盡敬:

    2) 穆臨于上

    3) 敬天神之禮

5. 無禮한 것은 결국 마지막으로 무엇과 같은 가?

6. 위 글을 읽고 우리가 오늘 새롭게 다짐해야 하는 것이 있다면?( 위에서 찾아서4자 한자로)  

 


출처 : 하늘그림 궁
글쓴이 : 새말 원글보기
메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