성철스님의 주례사 [금고옥조]입니

[스크랩] 오온 - 끊임없이 흐르는 江과 같아 무상함 알아야

장백산-1 2013. 5. 4. 15:11

오온(五蘊)
끊임없이 흐르는 江과 같아 무상함 알아야
2012년 07월 16일 (월) 16:38:09 주성원 日 용곡대 불교학석사·前 본지기자 webmaster@hyunbul.com

 부처님은 깊은 명상을 통해 이 세상에 영원불멸한 것은 존재하지 않음을 꿰뚫어 보았다. 이 깨달음을 통해 제법무아(諸法無我)를 설하며 모든 것은 무상하므로 불멸하는 자아(自我)와 같은 것은 존재하지 않는다고 가르쳤다. 대신 부처님은 사람들에게 ‘오온(五蘊)’의 가르침을 설파했다.

오온은 상호의존적인 요소들이 서로 합쳐진 집합체를 말한다.

오온을 현대어로 풀어서 말하면 ‘다섯 덩어리’ 혹은 ‘다섯 개의 집합체’ 정도가 될 것이다. 오온의 온(蘊)은 산스크리트어 스칸다(skandha)의 한역(漢譯)으로 ‘집합’, ‘무리’ 등을 의미한다. 이 다섯 집합체란 색온(色蘊)ㆍ수온(受蘊)ㆍ상온(想蘊)ㆍ행온(行蘊)ㆍ식온(識蘊)을 가리키며 줄여서 통상 색ㆍ수ㆍ상ㆍ행ㆍ식이라고 부른다.
이 다섯 집합체인 오온은 물질의 집합을 나타내는 색온과 정신의 집합을 나타내는 수온ㆍ상온ㆍ행온ㆍ식온 이렇게 두 부류로 나뉜다.

 

먼저 물질을 나타내는 물질의 집합체

(1) 색온은 크게 두 가지 의미를 가지고 있다. 넓은 의미로는 일체의 물질을 총칭하는 말로 쓰이며, 좁은 의미로는 물질의 일부분을 가리키는 뜻으로 쓰인다.

즉 인간의 몸이 넓은 의미의 색온이라면 인간의 몸을 이루고 있는 뼈 치아 피부 혈액 머리카락 등은 좁은 의미의 색온이라는 뜻이다. 또 전통적으로 ‘변괴(變壞)’, ‘질애(質碍)’ 등으로도 해석하는데, 변괴란 물질이 변화 파괴되는 것을 말하고, 질애란 물질이 각각 일정한 공간을 점거해 서로 장애를 주며 동일한 공간에 있을 수 없는 것을 뜻한다.

 

(2) 수온은 느낌에 관한 것으로 유쾌, 불쾌 또는 그 어느 쪽도 아닌 중립적 느낌을 의식하는 것이다. 이를 자세히 나누면 정신적인 쾌, 불쾌의 느낌과 육체적인 쾌, 불쾌의 느낌이 있고, 양쪽 어디에도 속하지 않는 느낌의 작용이 있다.

 

(3) 상온은 무엇인가를 인식하는 지각 작용의 집합체이다.

상(想)은 심상(心像)을 취하는 취상작용(取像作用)이라 하여 현대어로 바꿔 말하면 개념이나 표상을 만드는 작용을 의미한다. 가령 ‘붉은 꽃’ 이라는 말을 들었을 때, 붉은 색깔과 꽃이라는 식물에 대한 개념과 형상이 머릿속에 떠오른다. 이와 같은 작용들이 모여 형성된 것이 상온이다.

 

(4) 행온의 행(行)은 세상이 끊임없이 변하고 흐른다는 무상천류(無常遷流)의 뜻으로,

사물이나 어떤 작용이 드러나는 현상을 가리킨다. 하지만 행을 설명하는 데는 다소 어려움이 따르는 부분도 있다. 오온의 행에 대한 설명이 초기불교와 부파불교에서 상이점을 보이기 때문이다. 이 부분을 여기서 모두 다룰 수는 없지만, 공통의 견해를 뽑아내면 다음과 같다. 행온의 행은 행작(行作)의 의미로 마음의 작용을 뜻한다.
오온 중 색을 제외한 수ㆍ상ㆍ행ㆍ식이 모두 마음의 작용인데, 이 넷 중에서 수ㆍ상ㆍ식 세 가지 작용 뺀 나머지 마음작용이 행에 해당한다. 행온에 포함된 마음의 작용은 주의환기작용[作意], 감각기관과 대상의 접촉작용[觸], 의사작용[思], 정신통일[定], 잊지 않는 것[念], 지적작용[慧] 등이 포함된다.마지막으로

 

(5) 식온의 식(識)은 ‘나누어 아는 것’이란 뜻이다. 즉 분별, 판단, 인식하는 주체로서의 마음을 가리키며 이러한 인식이 모여 식온을 이루게 된다. 이는 인식작용을 가리키며, 이 점에서 식은 모든 정신 활동을 총괄하는 마음이라고 말 할 수 있다. 식은 삼과(三科)의 십팔계(十八界)에서 자세하게 다루기로 한다.

 

오온의 각 요소는 끊임없이 흐르는 강과도 같다. 그래서 무상하고 고정불변의 실체를 갖고 있지 않는 것이다. 이 가르침을 견지하고 명상의 주제로 삼아 내면의 정신세계와 바깥 현실세계의 사물을 통찰하는 사고력을 키우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하다.

--------------------------

흰구름 견도님이 올린 법문

 

 

출처 : 무진장 - 행운의 집
글쓴이 : 유당 원글보기
메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