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 29강. 知見不生分 ②
그러면 아뇩다라삼먁삼보리라는 智慧가 또 따로 있다고 生覺해야 됩니까? 아니죠? 그 境界를 因緣法으로 봄으로서, 보는 그 自體로 因해서 境界에 속아 화내고 성내고 迷惑된 煩惱가 아뇩다라삼먁삼보리 智慧로 바뀐 거거든요.
그럼 아뇩다라삼먁삼보리 智慧의 屬性은 어떤 것이냐? 이것을 金剛經 全切를 놓고 볼 때 金剛經에서는 恒常 般若波羅蜜이라고 이야기를 했거든요. 般若波羅蜜이라는 말은 아뇩다라삼먁삼보리라는 말과 같은 말이에요. 그럼 반야바라밀이라는 그 般若의 그 內容이 뭐냐는 것이죠. 그 內容은 우리가 本來 부처님과 똑같은 慈悲性稟인 佛性을 가지고 있다는 이야기잖아요. 그렇죠? 모두가 慈悲性稟인 佛性가지고 있다는 이야기거든요.
그럼 그 佛性의 內容이 뭐냐 하면 첫째 無所得이라는 말이에요. 반야심경에서 많이 외우잖아요. 無所得이라는 말은 뭐냐 하면 아뇩다라삼먁삼보리라는 智慧가 本來 나에게 갖추어져 있기 때문에 밖으로 求하지 말라는 것이에요. 우리 안에 本來 갖추어져 있다는 거에요. 우리가 本來 佛性의 性稟을 갖추고 있기 때문에 우리 안에서 그 佛性을 드러낼 수가 있지, 없는데 어떻게 드러낼 수가 있겠어요?
그리고 그 佛性 속에는 또 뭐가 있다 그랬죠? 모든 功德이 다 갖추어져 있기 때문에 거기에는 밖으로부터 들어 올, 구해야 할 필요가 없다는 無得과 同時에 또 우리 마음속에는 무엇도 거기다가 세울 수가 없다는 거에요. 執着할 것이 없다는 거에요. 그래서 그걸 뭐라 그랬죠? 無所有라 그랬잖아요. 왜 無所有냐? 마음은 本來 虛空과 같은 것이기 때문에 虛空에다 무엇을 어떻게 세워 놓을 수가 없잖아요. 그렇죠? 虛空에 무얼 세워 놓을 수 있겠습니까?
아무리 21세기 뭐가 科學이 發達해도 虛空에는 무얼 세워 놓을 수가 없어요. 그래서 虛空에는 어느것도 세울 수가 없다는 말은 우리 本來 淸淨한 마음자리에는 煩惱라든지, 是非, 질투, 貪嗔痴 이런 慾心, 에고이즘, 에고心 이런 것들을 세워 놓을래야 세워 놓을 수가 없고, 붙들래야 붙들어 놓을 수가 없다는 거에요. 괜히 自己가 錯覺해서 그런 慾心을 붙들어 잡고 있는 것이고 괴로움을 붙들고 있는 것이지. 붙들고 있을 수가 없다는 거에요. 왜? 마음은 항상 물과 같이 흐르고 있기 때문에.
그 다음에 또 우리에게는 부처님과 같은 佛性이 있고 부처라고 이야기를 하는데도 여러분들이 그걸 믿지를 않아요. 왜 믿지 않느냐 하면 나는 衆生이라서 그렇다는 거에요. 왜 衆生이냐고 물어보니까 나는 때가 많이 묻었다는 것이죠. 나는 많이 汚染이 됐다는 거에요. 그럼 왜 때가 많고 汚染이 됐습니까? 물어보면 그건 잘 모른다는 거에요. 어쨌든 지금 나를 보면 汚染이 많이 됐고, 때가 많이 묻었다는 거에요.
그런데 알고 보면 그게 錯覺이라는 거에요. 왜? 虛空에다가 어떻게 汚染을 시킬 수가 있어요? 虛空에다 汚染을 시킬 수 있어요? 虛空에다 여러분들이 기름을 갖다 퍼 부은들 虛空이 더럽혀 지느냐고요. 虛空과 같은 마음이라는 理致를 여러분들이 조금만 工夫하면 마음은 恒常 虛空과 같이 비어있고, 恒常 물처럼 흘러가는 瞬間들이기 때문에 물처럼 흘러가는 마음에다가 이 마음이다 하고서 더럽힐래야 더럽힐 수가 없다는 거에요. 흐르는 물에다가 발을 담궈 가지고 발을 씻었을 때 여러분들이 이 물이 내 발을 씻었다고 할 수 있는 물을 들어낼 수가 있냐 이 말이에요. 이미 그 물은 흘러 가버리고 없는 거에요. 虛空과 같은 물과 같은 마음의 屬性이 그렇다는 거에요. 金剛經은 지금 계속 여러분들에게 虛空과 같고 물 같은 마음이라는 놈한테 속지 말라고 말하고 있는 거에요.
이런 法門들은 여러분들이 世上에서 아무리 큰 物質的인 보배를 얻었다 하더라도 物質的인 보배는 今生에 살아 있을 때 便利하게 쓸 수 있는 그 瞬間뿐이지만 이러한 마음 工夫를 하는 것은 世世生生토록 永遠한 보배가 되는 거에요. 왜 永遠한 보배가 되느냐? 여러분들이 가지고 있는 業을 여러분들이 滅할 수가 있고, 그 業이 滅하므로써 여러분들이 世世生生토록 地獄苦를 안 받기 때문에 영원한 보배다. 그렇지 않아요?
아무리 太山 같은 物質이 있다 하더라도 肉神이 있는 有限한 이 今生뿐이지 부처님의 말씀인 이 金剛經의 眞理를 理解하고 깨닫고 나면 世世生生토록 여러분들이 幸福한 거에요. 왜? 幸福과 不幸은 어디서 가늠이 지어지느냐 하면 마음이라는 놈이 하는 일이기 때문에 그렇다는 거에요. 虛空과 같고 물 같은 마음을 알아 버리면 마음이 便安해지고, 마음이 安樂하고 幸福해지면 物質하고 相關없이 마음은 便安해 지는 거에요.
아무리 物質이 많아도 가시방석에 앉은 사람도 많아요. 그러나 物質이 없어도 恒常 마음 평수가 넉넉한 사람이 있다 이 말이죠. 그건 마음을 잘 컨트롤 하고 다스릴 수 있는 智慧가 있어서 그렇다는 거에요. 그렇죠? 그래서 여러분들이 나는 衆生이라고 이야기를 해 본들, 내가 때가 많고 오염이 많이 됐다고 이야기 해본들 事實은 여러분들 스스로가 迷惑하고 智慧가 없어서, 부처님 佛法을 몰라서 그렇게 錯覺하는 것이지,
부처님 佛法을 알고, 듣고 理解를 하게 되면 여러분 마음을 汚染 시킬래야 汚染 시킬 수가 없고, 더럽힐래야 더럽힐 수도 없는 부처님 마음과 똑 같은 淸淨 自性이 있다는 것을 알게 된다고 金剛經에서는 계속 이야기를 하는 거에요. 이런 이야기를 하는데도 그래도 나는 衆生인 거를 뭐 어떻게 하겠어 하면서 境界가 오면 그 境界에 속아서 죽이니 살리니 하고, 눈물을 흘리고 그냥 괴로워하고 그러거든요. 그럼 自己만 괴로운 거에요. 自己만 苦痛스러운 거에요.
그건 왜 그러냐? 어리석어서 그런 거에요. 그러니 부처님의 金剛經 法門을 한 번이라도 와서 들었으면 그 괴로움을 당할 때, 아~ 내가 어리석어서 나를 스스로 괴롭히고 있구나. 마음이라는 것은 恒常 흐르는 물과 같은 것이고 虛空과 같아서 더럽힐래야 더럽힐 수도 없고, 붙들래야 붙들 수도 없고, 이미 境界를 당해서 일어났던 모든 感情들은 다 물과 같이 흘러 가버리고 없고 虛空과 같아서 더럽힐 수도 없는데, 지금 이 마음은 부처님과 같은 마음인데 왜 이미 흘러간 마음을 미련을 가지고 계속 붙들고, 自己가 自己를 괴롭히느냐고 돌이킬 수 있어야하는 거에요.
하지만 그러질 못하고서는 밤새도록 잠을 안자고 그 흘러가버린 마음을 붙잡고 이를 갈고 있어요. 그러면서도 내가 세상에서 제일 똑똑하다, 잘났다 그러죠. 흘러간 마음을 어디다가 붙들 데가 있다고, 괴롭힐 데가 있다고. 이미 그것은 벌써 낙동강 700里를 흘러 바다까지 가 버렸는데 혼자 밤에 잠 안자고 붙들고서 분하게 生覺하고 앉아 있는 거에요. 부처님 金剛經을 한번이라도 들었으면 그런 일이 없다는 겁니다. 아시겠어요?
그걸 부처님이 줄기차게 계속 이야기 하신 거란 말이에요. 그래서 여러분들에게 제가 말씀 드리고 싶은 거는 이거에요. 우리 肉身은 나고 죽는 것이 있죠? 因緣이 다하면 헌 옷 버리고 새 옷 갈아 입듯이 갈아 입어야 될 거 아니에요. 그런데 죽을래야 죽을 수도 없고, 없앨래야 없앨 수도 없고, 안 볼래야 안볼 수도 없고, 영원한 것이 있는데 그게 뭐에요? 그게 우리 부처 眞如佛性이라 이 말이에요.
이 眞如佛性을 金剛經에서는 뭐라 그랬냐 하면 無生이라 그랬거든요. 無生무생. (없을 無무, 날 生생) 남이 없다 그랬어요. 本來 우리 自性, 淸淨한 佛性자리는 境界를 당해서 그 境界에 動搖되어 그렇게 나고 죽고 하는 生滅의 괴로움을 당하는 그런 마음이 아니라는 거에요.
比喩를 하자면 여기에 24金 純金이 하나 있다고 生覺해 봅시다. 이 순금을 목걸이로 만들었다면 순금이 죽어서 목걸이가 된 거에요? 팔찌를 만들었으면 목걸이가 죽어서 팔지가 된 거에요? 또 반지를 만들었으면 팔찌가 죽어서 반지가 되었느냐고요. 다만 그 인연에 따라서 모양만 바뀌어 진 것뿐이지 순금 자체는 나고 죽는게 없다 이 말이에요. 무슨 말인지 알겠어요?
우리의 本來 淸淨한 自性자리는 어떤 境界, 因緣이 오면 그 因緣에 따라서 그때 그때 狀況이 조금 달라지고 마음 쓰는 모양새가 조금 달라지고 神經 쓰는 것이 조금 달라졌다 뿐이지 마음이라는 本性 自體는 純金과 같아서 그 本性 自體인 마음은 나고 죽는 것이 아니라는 말입니다.
그런데 金剛經 法을 한번도 안 들어본 衆生은 어떻게 生覺하느냐 하면,태어나고 죽음이 있는 줄 아는 거에요. 境界가 오면 그 境界가 自己 모습인줄 알고, 그냥 그 境界에 매여서 허덕이고 괴로움을 당하다가 그 境界 지나가고 또 다른 境界가 오면 그것 놔 두고 이 境界 붙들고선 또 눈물 흘리고 괴로워하고 그러는 거에요. 그런데 그것이 境界만 달라졌다 뿐이지 그걸 對하고 있는 淸淨 本性은 조금도 나고 죽는 그런 性格이 아니라는 거에요. 그것을 無生이라 그러는 거라. 無生. 金剛經에서는 그런 無生의 이야기를 많이 한거에요.
그리고 또 金剛經에서는 무슨 말을 많이 했느냐 하면 無相(없을 無무, 모양 相상)이라는 말을 많이 하잖아요. 이런 단어들을 여러분들이 이해를 잘 하면 아~ 金剛經에서 말하는 智慧라는 것의 性格이 어떤 것인가를 이해하게 되는 거에요.
無相이라는 말은 뭐를 말하느냐 하면 本來 마음은 虛空과 같아서, 淸淨한 虛空과 처럼 어떻한 그런 動搖도 없고 相이 없다는 거에요.
그런데 虛空에 구름이 끼면 虛空에 뭐가 있습니까? 구름이 있으면 토끼 모양도 생기고, 사슴 모양도 생기고 그렇잖아요. 우리 本 바탕 마음자리는 모습이 없는 것인데 境界에 속으면 마음이 토끼 모습으로도 變하고, 사슴 모습으로도 變하고, 내가 있고 너가 있고 나누어지기도 하고, 즐거움도 있고, 괴로움도 있고, 고통도 있고 이런 것들이 구름의 모습이 달라지듯이 마음 모습이 달라진다 이 말이에요. 그렇죠? 境界에 속으면 그렇다는 거에요.
그러니까 그런 境界들이 일어나면 그것들이 自己인줄 알고 속아서, 괴로운 마음이 괴로워하거든요. 그래서 그런 마음을 뭐라고 했냐 하면 金剛經에서는 모양 相자를 써서 그걸 相이라 그러는데 그 相은 實體가 없는 것이고 헛된 것이다. 너가 지금 어리석어서 그 마음에 속고 있는 것이다. 이렇게 이야기를 한 거에요. 그걸 無相이라 그런 거라. 無相. 그래서 金剛經에는 無相이야기도 많이 나오는 거에요.
또 無住 이야기도 나오잖아요. 마음은 머뭄이 없다 그랬거든요. 마음이 머뭄이 없다 그러면 無住心은 뭘 無住心이라 그럽니까? 뭘 가지고 無住心이라 그래요? 마음이라는 것은 아까도 말했듯이 恒常 흐르는 강물과 같이 흘러가고 있는 거에요. 마음은 조금도 머뭄이 없는 거에요. 恒常 흘러가는 그 마음을 뭐라 그랬냐 하면 無住心라 그랬거든요. 그 흘러가는 마음을 다른 말로 말하면 因緣에 依해 생겨서 흘러가는 것이기 때문에 그 마음은 붙들래야 붙들 수도 없고, 實體가 없는 것이죠. 그러니까 그걸 空이라 그런 거에요. 그걸 空心이라 空이다 이 말이에요.
그런데 그 無住를 왜 金剛經에서 이야기를 했냐 하면 마음이 그리 흘러가는 屬性인줄 잘 알고, 그러면서 많은 사람에게 나눔을 가지고, 布施를 하고, 善根을 짓고, 善行을 하고 그렇게 功德을 많이 지으라는데 그 功德을 어떻게 짓느냐 하면 마음이 흘러가는 것 처럼 무엇을 하더라도 條件을 붙이지 말고, 對價를 바라지 말고, 뭘 理由를 붙이지 말고, 그냥 깔끔하게, 아주 깨끗하게, 이유 없이 조건 없이 布施功德을 해 주라는 거에요.
왜 부처님이 그렇게 가르치느냐?
理由를 붙이고, 條件을 붙여서, 거기에 뭔가를 期待하는 바램이 있으면 좋은 일 해놓고도 어떻게 됩니까? 괴로움이 생기는 거에요. 왜 괴로움이 생기느냐? 내가 마음을 베푼 相對가 내 願하는 틀에 맞춰주지 않기 때문에 그렇다는 거에요. 알겠어요? 금강경에서 배우는 無住相 布施라는 의미도 허공과 같은 물과 같은 마음이 이런 屬性을 가지고 있다는 거에요.
그래서 整理를 하자면은 그래요.
金剛經이 여러분들에게 말씀하고자 하는 重要한 뜻이 뭐냐 하면 마음을 억지로 일으켜서 그 마음이라는 놈한테 속지를 말라는 거에요. 이런 이야기를 하면 또 억지로 마음을 안 일으키려고 그러면 그것도 괴로운 거에요. 이건 智慧가 열리면은 自然스럽게 그렇게 되는 거에요. 金剛經 工夫를 잘 하면 自然스럽게 그렇게 된다 이 말이에요.
그리고 金剛經 工夫를 熱心히 하다 보면 여러분들이 어떻게 되느냐 하면 金剛經이라는 것이 구절구절 全部 다 修行하는 方法을 이야기 해 놓은 거라는 걸 알게돼요.
金剛經을 잘못 보면 금강경은 수행하는 具體的인 內容이 없다고 生覺하는데 그렇지 않아요. 金剛經은 구절구절이 전부 다 수행하는 방법을 이야기 해 놓은 거에요. 그래서 금강경을 잘 보면 禪的이고 禪의 要旨가 금강경에 다 있기 때문에 금강경을 禪經이라고도 그러는 거에요. 이런 法門을 듣고 金剛經을 다시 한번 여러분들이 쭉 읽어 보면 金剛經 구절구절들이 전부 다 마음 닦는 한 수행방법을 이렇게 이야기 해 놨구나. 이렇게 여러분들이 이해하게 된다 이 말이에요.
제가 여러분들에게 이렇게 쭉 말씀 드린 것은 法을 바로 볼 수 있는 眼目 卽, 正見을 갖추게끔 하기위해서 이런 法門을 해 드렸거든요. 그러면 이런 法門을 들으면서 여러분들이 이런 正見을 갖게 되면 마음 다스림을 어떻게 해야 된다는 것을 제가 가르켜 준 게 되는 거에요. 그러면 이걸 안다고 해서 마음을 잘 다스려 지느냐? 그건 아니거든요. 그러면 어떻게 해야 되겠어요?
여러분들이 實際的으로 宗敎的인 體驗을 해야 된다는 거에요. 종교적인 체험. 종교적인 체험이 뭡니까? 그 마음이 고요한 걸, 그 마음이 깨끗한 걸, 그 마음이 平和롭고 安樂한 거를 여러분들이 體驗을 해야 돼요. 그 體驗의 內容이 뭐냐 하면 여러분들은 참으로 부처님 앞에 지극히 懺悔 할 줄 알아야 되고. 부처님을 지극히 讚歎하고, 부처님을 찬양할 줄 알아야 되고. 부처님에게 참 禮敬드릴 줄 알아야 되고 그리고 여러분들이 열심히 念佛 하셔야 되고 여러분들이 呪力도 열심히 하시고 經도 여러분둘이 열심히 讀經하시고 話頭도 열심히 든다든지 이런 것들을 여러분들이 體驗을 通해서 經驗을 해야 된다는 거에요. 왜?
여러분들이 하루에 한 時間만이라도 고요히 앉아봐야 내 마음이 고요한 줄을 알 거 아니겠어요? 여러분들이 지극히 懺悔해 봐야 내 마음이 本來 便安한 줄을 알게 되는 것이고, 여러분들이 念佛을 지극히 해봐야 내 마음이 本來 그런 福德性을 갖추어져 있다는 것도 體驗하게 되는 거에요. 그래서 이제 여러분들이 할 일은 實際로 念佛하고 參禪하고 懺悔하고 남에게 奉使하면서 이런 것들을 종교적인 입장에서 體驗하는 일만 여러분 몫으로 남아있다 이 말입니다. 예. 성불합시다.
|
'자기계발과 마음공부' 카테고리의 다른 글
마음은 크고 둥근 거울이다 (0) | 2013.08.10 |
---|---|
삶의 가장 근본적인 문제, 죽음 (0) | 2013.08.10 |
망상/잡념에서 벗어나라 (0) | 2013.08.08 |
주시자, 관자재보살로 사는 법<책> (0) | 2013.08.08 |
有爲行 <> 無爲行 (0) | 2013.08.0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