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직 지켜보아라” | ||||||
동암스님 ‘주시자, 관자재보살로 사는 법’ | ||||||
| ||||||
‘般若心經과 解脫涅槃時’라는 副題를 지닌 《注視者, 觀自在菩薩로 사는 법》의 저자 동암스님은 “모든 現狀에 同一視되거나 속지 말고 오직 ‘보는 者’로 남아서 지켜보라”고 단언한다.
理由가 뭘까. 동암스님은 《반야심경》 본문 260자 내용이 사리자라는 제자를 對相으로 하는 설법이지만, 이는 오직 個人의 內面, 마음과 그 마음을 ‘보는 者’와 ‘보는 對相’에 대한 法門이라고 설명한다. 스님은 《반야심경》에서 설명하는 ‘觀自在菩薩’은 注視者, 應視資, 지켜보는 者, 觀察者라는 包括的인 意味를 담고 있음을 강조한다.
동암스님이 보는 깨달은 菩薩은 我相, 人相, 衆生相, 壽者相의 同一視에서 벗어나 무아인중수자(無我人衆壽者: 아상, 인상, 중생상, 수자상이 없는), 卽 無我에 通達한 사람, 사상(四相)과의 同一視에서 벗어나 ‘注視者가 된 者’이다.
이처럼 觀自在菩薩이 몸과 生覺을 지켜보는 ‘注視者’임을 깨닫게 되면 온갖 두려움과 공포, 고통이 自身의 것이 아니라 虛想임을 알게 된다. 살아가면서 겪고 있는 시기와 질투, 남들과의 비교, 잘났다 못났다, 부자다 가난하다, 잘 한다 못 한다 등 이 모든 것이 마음의 虛想이라는 것을 自覺해 일체의 고통에서 벗어나 自由/解脫을 얻게 된다는 것이다.
西山大師가 <선가귀감>에 남긴 ‘해탈열반시(解脫涅槃時)’에서도 “解脫이란 마음의 모든 고통과 재앙을 벗어나 고요하고 영원한 기쁨에 들어가는 瞬間이란 것”이 저자의 관점이다.
《注視者, 觀自在菩薩로 사는 법》은 《반야심경》 해설을 1부로, 서산대사의 ‘해탈열반시’ 해설을 2부로 배치해 비교 해설하고 있다. 선가귀감 내에 소제목 없이 111자의 한자로 기록된 글을 동암스님이 ‘해탈열반시’로 작명해 기록한 것이다.
특히 ‘해탈열반시’는 《반야심경》과 유사할 뿐만 아니라 티벳불교의 《바르도퇴돌(死者의 書)》 전체내용을 축약한 듯하고 중국 육조 혜능대사의 무상계와도 비유가 되는 중요한 글임을 지적한다.
동암스님은 《반야심경》과‘ 해탈열반시’를 제대로 이해하고 이 法門을 里程標로 살아간다면 現世에서 받는 精神的, 肉體的 苦痛에서 벗어날 수 있다고 말한다. 이것이 ‘에고(ego)’와의 同一視에서 벗어나는 길이자 해탈이며, ‘아뇩다라삼막삼보리’를 깨닫는 수행이라는 것이다.
특히 동암스님은 “백발노인이 꿈에 나타나 《선가귀감》 속 ‘臨終時’를 世上에 널리 퍼지게 하면 自殺하는 사람이 없어질 것이라는 선몽 後에 ‘해탈열반시’를 접하게 됐다”며 “책을 통해 하는 해설은 모두 서산대사의 말씀을 옮기는 것뿐”이라고 고백한다.
精神科 專門醫 김자성 박사(동해 동인병원)는 “自我를 이루는 것들의 두꺼운 껍질을 뚫어보고, 그 바탕에 있는 觀察者의 狀態를 우리 속에서 確認하는 마음수련의 과정을 통해 佛性을 體得하게 되는데 ‘觀察者’는 온 宇宙의 바탕인 宇宙意識과 같다는 것이 불교적인 直觀”이라고 추천의 글에서 밝힌다.
저자 동암스님은 1993년 스스로 붓다님을 스승으로 가슴에 모시고 전국을 떠돌며 수행한 끝에 2000년 여름 동해시 지흥동에 명상사를 창건해 수행과 포교에 전념하고 있다. 저서에 《금강반야바라밀경》 《관세음보살보문품 강의》 등이 있다. -강지연 기자 |
'자기계발과 마음공부' 카테고리의 다른 글
쓸데없는 마음을 일으켜서 그 마음에 속지 말아라 (0) | 2013.08.08 |
---|---|
망상/잡념에서 벗어나라 (0) | 2013.08.08 |
有爲行 <> 無爲行 (0) | 2013.08.07 |
마음은 나의 실재가 아니다 (0) | 2013.08.07 |
마음은 저항과 동의어 / 있는 그대로를 수용하라 (0) | 2013.08.0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