삶이라는 연극의 역할놀이불교방송 다시듣기
삶이라는 연극의 역할놀이
지금의 나는 내가 아니다. 내가 알고 있는 ‘나’라는 모습, 그것이 나는 아니다. 社會的인 存在로서의 ‘나’, 내가 ‘이러이러하다’라고 알고 있는 바로 그 내가 진짜 나일까? 그 모든 것으로써의 나는 다만 아상(我相), 에고의 감옥일 뿐이다.
나는 누구인가? 선생님일 수도 있고, 사장일 수도 있으며, 스님일 수도, 학생일 수도, 공무원일 수도, 혹은 부모이거나 자식일 수도 있다. 물론 우리가 알고 있는 ‘나’는 狀況에 따라, 環境에 따라, 때에 따라 끊임없이 變한다. 회사에서는 사장일 수도 있고, 과장일 수도 있으며, 말단 사원일 수도 있고, 집에 돌아오면 한 가정의 가장일 수도, 자식일 수도 있고, 또 주말에 있는 모임에 가면 회장일 수도, 총무일 수도 있다. 그리고 그때마다 우리의 我相, 우리의 에고, 우리의 位相은 달라진다. 狀況에 따라 우리가 바로 그 곳에서 해야 할 몫의 演劇을 해 내면서 살아간다.
어디 그 뿐인가. 가게에 가면 손님의 위치로 바뀌었다가, 차를 타면 승객이 되고, 복지시설에서는 자원봉사자로 탈바꿈한다. 하루에도, 아니 每 瞬間마다 우리의 自我/我相/에고는 그 狀況에 걸맞은 演劇의 연기를 한다. 바로 그 演劇에서의 演技役割이 나라고 하는 것이다.
그런데 그 役割들의 特性은 어떠한가? 어느 한 가지 역할만이 나의 本來的인 자아이거나, ‘나의 本質은 이거야’라고 할 만한 定해진 本然의 역할이 있는가? 그렇지 않다. 끊임없이 역할을 바꿀 뿐이다. 바로 이 역할 놀이, 연극의 배역을 끊임없이 상황 따라 바꾸어가는 바로 이 영화 같은 배역 놀이야말로 우리 삶이라는 생생한 現實이다. 그때그때마다 바로 이 狀況劇을 잘 演技할 줄 아는 것이 삶에서 매우 중요한 초점이 된다.
그 삶의 배역을 온전히 잘 해 낸다는 것은 무엇을 의미하는가? 그것은 나에게 배역이 주어질 때 바로 내 앞에 있는 바로 그 배역에 나의 모든 에너지를 쏟아 부어 완전히 용해될 수 있어야 한다. 그 순간, 바로 그 배역과 그 배역의 행위와 완전히 하나 될 수 있어야 한다. 바로 그 순간, 그 배역이야말로 내가 삶에서 행할 수 있는 최고의 선택이다.
최고의 배우는 영화를 찍을 때마다 그 배역과 완전히 하나가 되어 완전히 그 역할에 몰입함으로써 바로 그 자가 될 수 있어야 하는 것처럼. 그리고 그 영화가 끝나고 다른 영화, 다른 배역이 주어지면 곧바로 또 다시 새로운 배역에 완전히 용해됨으로써 이전의 역할을 잊고 새롭게 주어진 역할과 새롭게 하나를 이룰 줄 안다.
그런데 人生이라는 이 연극 역할놀이에서 한 가지 주의할 점이 있다. 그 역할이 주어질 때 그것에 온전히 깨어있는 意識으로 最善의 演劇을 다하되 錯覺해서는 안 된다는 점이다. 즉, 바로 그 역할에 최선을 다할지언정 그 역할이 本來의 나 自身인 것으로 錯覺해서는 안 된다는 말이다. 그 잠시 宇宙法界의 因緣에 따라서 주어진 配役을 나 自身과 同一視해서는 안 된다. 그 配役을 最善의 集中力으로 消化해 낼지언정 그 役割 自體에 欲心을 부려서는 안 된다. 本質的인 次元에서는 그 配役이 實體的인 ‘내 것’이 아니다. 잠시 내가 演劇을 한 것일 뿐이다. 바로 이 點을 理解할 수 있어야 한다.
훌륭한 俳優는 한 影畵가 끝나고 새로운 영화를 시작할 때 이전 영화 속의 配役을 완전히 잊고 새로운 配役에 100% 에너지를 쏟는다. 과거의 배역이 아무리 아름답고 매력적이었다고 하더라도 그것은 단지 배역이었을 뿐임을 알기 때문에 과거의 배역에 얽매이지 않는다. 그 배역에 빠져 있는 한 새로운 배역을 消化하기가 힘들것을 안다.
바로 이 점이 우리가 우리 삶이라는 演劇舞臺에서 精神 똑바로 차리고 지켜보아야 할 삶의 實踐德目이다. 이것을 놓치는 순간, 우리 삶은 고통과 번뇌와 마주할 수밖에 없는 지점에 놓이게 된다. 그 配役을 自身과 同一視함으로써 그것이 單純히 하나의 配役이 아니라 ‘나 自身’이라는 正體性인 것으로 誤認하는 것, 그 잘못된 認識 그것이 바로 我相 , 에고의 거친 감옥 속으로 뛰어드는 것이다.
내가 이 生에서, 또 지금 이 瞬間, 삶이라는 演劇 속에서 펼쳐내고 있는 그 役割에 충실하며, 그 역할을 통해 삶의 智慧를 배울 지언정, 그 役割을 ‘나’라고 同一視하지 않고, 그 役割에 執着하지 않는 삶이야말로 智慧로운 삶이다. 언제든 재미있게 삶이라는 演劇에서 役割놀이를 할지라도, 役割을 그만 두고 삶을 떠나야 할 때가 오면 가볍게 훌훌 털고 떠날 수 있다면 삶이라는 演劇은 아름다운 에피소드가 될 것이다.
BBS 불교방송 라디오 '법상스님의 목탁소리'(평일 07:50~08:00) 방송중에서 |
'법상스님의 날마다 해피엔딩' 카테고리의 다른 글
외로움이라는 2로움 (0) | 2014.12.10 |
---|---|
연극 역할놀이를 진짜라고 집착하게 되면 (0) | 2014.12.09 |
좋은 가치관 찾기, 거기에도 집착 않기 (0) | 2014.12.09 |
가치관에 집착하지 말라 (0) | 2014.12.09 |
도는 닦을 것이 없다 물들지만 말라 (0) | 2014.12.0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