선행과 수행으로 운명을 뛰어넘으라불교방송 다시듣기
선행과 수행으로 운명을 뛰어넘으라
前生에 내가 어떤 사람에게 심하게 욕을 했다 치자. '너 같은 녀석은 그냥 죽는 게 낫다. 죽어 버려라' 이 口業은 분명히 業力을 남기게 되고, 다음 生에 나는 내가 辱한 그 사람에게 똑같이 辱을 받을 수도 있다. 그러나 그 口業의 果報를 받을 때, 내가 쌓은 善業과 내 修行力의 差異에 따라 똑같은 惡한 口業의 果報는 千差萬別로 달라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선업이 많은 사람이라면 이런 욕을 얻어 먹을지라도, 선한 因緣들의 도움을 받을 수도 있을 것이고, 수행력이 서 있는 사람이라면 그런 욕설에 크게 휘둘리지 않을 것이다. 이처럼 동일한 괴로운 상황에서도 복력과 수행력이 있는 사람이라면, 그 境界에 크게 동요되지 않고 흘려보낼 수 있을 것이다.
그래서 첫째, 선업을 짓는 것이 중요하고 둘째, 수행을 통해 수행력을 증장시키는 것이 중요한 것이다. 어차피 우리는 누구라도 악업을 짓지 않고 산 사람은 없다. 그러나 우리는 그 악업에 대한 과보를 언제 받을지 모른다. 분명한 사실 하나는 내가 지은 業은 分明히 果報를 남긴다는 事實이다. 그래서 언제 받을지 모를 과보를 괴롭게 받지 않기 위해 또 다른 선업을 짓는 것이고 수행을 하는 것이다.
선업을 많이 지으면 선업의 氣運이 나라는 存在를 맑고 청정하게 바꾸어 주기 때문에 많은 물에서는 한 움큼의 소금이 짜지 않듯 많은 선행과 선업을 지은 사람에게 악의 과보나 죄의 과보도 그리 괴롭지 않을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수행을 통해 수행력을 키우면 어지간한 괴로움이나 경계나 과보쯤은 크게 휘둘리지 않을 수 있을 만큼 自己中心이 잡히고, 자기 안에 主人公의 뿌리가 내리게 되기 때문에, 과보를 받더라도 그것이 나를 괴롭힐 수 없는 것이다.
善業을 짓는다는 것은 '福'을 키운다는 의미고, 修行을 한다는 것은 '智慧'를 키운다는 뜻이다. 그래서 우리가 存在의 根源인 法身佛께 歸依하는 理由가 法身佛은 智慧와 福力 두 가지가 完全하신 '兩足尊'이시기 때문인 것이다.
그러면 전생이나 과거에 지은 악업에 대한 果報를 받는 때는 언제인가? 그 때가 바로 '지금 여기 이 瞬間'이다. 과보를 받는 순간이 '지금 여기 이 순간'이라는 현재라면, '지금 여기'라는 현재를 잘 다스린다면 과보를 받더라도 마음이 크게 휘둘리지 않으며 如如하게 받을 수 있다는 말이 된다. 즉, 현재를 잘 다스리는 '지금 여기'서의 수행과 선행하는 마음 속에 業障을 消滅할 수 있는, 業을 뛰어넘을 수 있는 秘密이 숨겨져 있다는 말이다.
事實은 業障消滅이라는 말이 이런 의미다. 업장의 과보를 받지도 않고 수행만 하면 그냥 소멸된다는 의미가 아니라, 업장의 과보를 받더라도 수행, 마음공부를 함으로써 과보를 받지 않는 것처럼 내 마음을 바꿀 수 있다는 뜻이다.
그래서 결론적으로 수행자의 두 가지 할 일은 善業을 지음으로써 '福'을 增進시키는 일과 修行을 쌓음으로써 '智慧'를 증진시키는 일이며, 그 두 가지 일은 오직 '지금 여기 이 순간'이라는 현재 속에 있다. '지금 여기'라는 현재의 마음을 다스리면 과거와 미래까지 완벽하게 다스릴 수 있는 것이다.
量子物理學者들 또한 여기에 동의한다. 과거 미래가 사실 ‘지금 여기’ 현재에 다 들어 있음을 밝히고 있다. 그러니 지나간 과거에 얽매여 괴로워하지도 말고, 아직 오지도 않은 미래에 얽매여 고민하지도 말고, 오직 지금 이 순간을 선행과 수행으로써 잘 다스림이 시공을 초월하여 존재를 일깨우는 최상의 삶의 방식이다.
業을 두려워하지 말라. 불교의 業思想은 業에 빠지고 執着하여 善惡의 業障에 奴隸가 되라는 가르침이 아니라 善惡의 業을 超越하여 더 많은 선업을 짓고,(諸惡幕作 衆善奉行) 그 마음을 청정히 하여 수행하도록 이끎으로써 (自淨其意) 부처님 가르침을 올바로 전하기 위한 가르침이다.(是諸佛敎)
BBS 불교방송 라디오 '법상스님의 목탁소리'(평일07:50~08:00) 방송중에서
|
'법상스님의 날마다 해피엔딩' 카테고리의 다른 글
나도 세상도 없다, 유식의 식전변과 십팔계 (0) | 2014.12.14 |
---|---|
선행과 수행의 생활실천법 (0) | 2014.12.13 |
매 순간 업을 뛰어넘고 있다 (0) | 2014.12.13 |
업보란 무엇인가 (0) | 2014.12.13 |
진리는, 신은 단죄하지 않는다 (0) | 2014.12.1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