법상스님의 날마다 해피엔딩

복수할 것인가 용서할 것인가

장백산-1 2014. 12. 26. 15:17

 

 

 

복수할 것인가 용서할 것인가 |    

 

 

 

복수할 것인가 용서할 것인가

 

 

불교에서는 우리가 지은 行爲를 ()’이라고 하고 그 業에 따라 必然的으로 받게 되는

果報를 업보(業報)’라고 합니다. 누구나 惡業을 지으면 내가 그를 斷罪하지 않더라도 그 惡業에 대한

宇宙的인 果報를 받게 되어 있습니다. 그 果報를 받아야지만 에너지 均衡이 이루어지기 때문입니다.

 

그런데도 불구하고 우리는 누군가가 나에게 잘못을 했다거나, 내 돈을 훔쳐갔다거나, 나를 괴롭혔을 때

내가 直接 가서 그 사람을 단죄해야 한다고 생각합니다. 그래야만 직성이 풀리고, 그것만이 정당한 판결이라고

여기곤 합니다. 반드시 내 손으로 怨恨을 갚아야지 후련하다고 느끼는 것입니다. 사람들이 보통 영화에서

자신의 부모를 죽인 원수를 주인공이 직접 똑같이 갚아 주는 성공 스토리에 열광하는 것도 그 때문이지요.

 

그러나 眞理의 立場에서는 그렇지 않습니다. 그 사람을 직접 찾아가서 똑같은 방식으로 괴롭힘으로써 내가 굳이

복수하려고 애쓸 필요가 없다는 말입니다. 그것은 내 몫이 아니라 宇宙法界의 몫입니다. 내가 마음을 어지럽혀

가며 에너지 均衡을 맞추려 하지 않더라도 그것은 宇宙法界인 眞理의 世界에서 알아서 다 해 줄 것입니다.

 

쉽게 말해 내 손에 피를 묻힐 필요가 없어요. 因果應報를 主觀하고, 均衡의 法則을 主觀하는 쪽은 언제나

宇宙法界, 眞理의 世界입니다. 그것을 宇宙法界에서 하도록 우리는 그저 맡겨 두어야 합니다. 法界에서 하면

單純하게 에너지 均衡만을 맞춰 일을 끝낼 수 있지만, 우리가 直接 하게 되면, 원한심, 복수심, 치욕, 분노에

이은 되풀이되는 복수심 등 수많은 煩惱 妄想을 야기하면서 끊임없이 輪廻의 原動力이 되는 業만을 짓게 될

뿐입니다. 아버지를 죽인 원수을 커서 갚았는데, 그 원한 갚는 모습을 지켜 본 원수의 아들이 또 다시 복수심을

키워서 훗날 나를 다시 죽이는 일이 다음 生까지 이어지며 반복될 뿐인 것이지요.

 

그렇기에 宇宙法界에 그 모든 것을 내맡긴 채, 다만 우리가 해야 할 일은 미움과 증오로 오염된

나의 마음을 淸淨히 淨化시키고 同時에 相對方을 容恕 해 주는 것에 있습니다. 내가 잘못한 것은 참회하고,

타인의 잘못에 대해서는 용서해 주는 것입니다. 그것이야말로 지혜로운 수행자가 균형이 깨진 상황을

다루는 방식이며, 오염된 마음을 다스리는 방법입니다.

 

누군가가 미워 마음에 원망과 증오가 생겼다면 그 원망과 증오의 마음은 누구의 것일까요?

그것은 증오하는 대상의 것이 아니라 다름 아닌 내 마음인 것입니다. 따라서 상대방을 미워하면

다치는 것은 상대방 쪽이 아니라 내 마음인 것입니다. 상대방의 마음이 증오를 받는 것이 아니라,

내 마음이 증오로 인한 상처를 받게 될 뿐입니다.

 

이처럼 누군가를 미워하는 것은, 사실 내가 나 자신을 미워하는 것과 다르지 않습니다.

내가 상대방을 미워할 때 사실 미워하는 그 마음은 내 안에서 싹트고 있는 것입니다.

그러니 결국 상대방에게 원한을 품는 것은 나 자신에게 원한을 품는 것과 다르지 않은 것입니다.

사실 이 우주법계는 너와 나의 區分이 없습니다. 그렇기에 상대방에게 복수를 한다는 것은

곧 결국 내가 나 자신에게 복수하는 것을 의미합니다.

 

그러니 복수하려는 마음을 놓아버리고, 그것은 우주법계의 몫으로 넘겨버리고,

나는 오직 용서하고 참회하면 그뿐입니다. 그것은 상대방을 위한 것이 아니라,

온전히 자기 자신을 위한 것입니다. 용서하게 되었을 때 사실은 나 자신이 용서받게 되는 것입니다.

 

BBS 불교방송 라디오 '법상스님의 목탁소리'(평일 07:50~08:00) 방송중에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