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는 것이 받는 것이다 불교방송 다시듣기
주는 것이 받는 것이다
주는 것이 곧 받는 것입니다. 상대방에게 말과 생각과 행동, 身口意 三業으로 무엇을 보내주었느냐에 따라 내가 삶으로부터 받게 될 것이 무엇인지가 결정되는 것입니다. 그런데 우리는 어떻습니까? 내보내는 것엔 關心이 없고 들어오는 것에만 關心이 있습니다.
어떻게 하면 내가 돈 좀 많이 벌까, 어떻게 하면 내가 남들에게 인정받을까, 사랑받을까, 자식이 성적을 더 잘 받아올까 이런 들어올 것에 대해서만 關心이 있단 말입니다. 내보내는 것, 자비를 나누는 것, 사랑을 베푸는 것, 이웃에게 기부하는 것에는 별로 關心이 없습니다. 損害 보는 것 같기 때문입니다.
쉽게 말해 생각 말 행동이라는 업(業)이라는 原因의 主導的인 行爲에 따라 結果인 보(報)가 뒤따르는데 業은 짓지 않고 果報만을 바라는 것입니다. 사람들의 이러한 마음을 파고들어 폭발적인 관심을 받으면서 유행한 책이 바로 『시크릿』이라는 책입니다. 시크릿에서는 항상 ‘끌어당김의 법칙’을 얘기합니다. 끌어당김의 법칙은 ‘내보내는 것이 곧 끌어당겨진다’는 사실을 바탕으로 하는 것인데,
이 책에에서는 내보내는 것에 中心을 두는 것이 아니라, 들어오는 것에만 中心을 둔 표현입니다. 왜 그럴까요? 들어오는 이것에 사람들이 더 혹해서 끌린단 말입니다. 내보내는 것에는 關心이 없고 들어오는 것에만 關心이 있으니까, ‘끌어당김의 법칙’이라고 정의 내리는 것입니다.
끌어당김의 법칙은 부와 명예와 권력과 건강과 그 밖의 모든 것을 다 끌어당길 수 있다는 것에 중점이 맞춰져 있습니다. 물론 틀린 말은 아닙니다. 그런데 어떻게 해야 끌어당길 수 있을까요? 무엇을 내보내느냐에 따라서 끌어당겨지는 것이 決定됩니다. 核心은 끌어당김에 있는 것이 아니라 무엇을 내보내느냐에 달려있습니다.
그런데 시크릿에서는 내보내는 것보다 끌어당기는 데만 중점을 두고 있습니다. 그것이 사람들의 구미에 더 와 닿는 것이기 때문입니다. 내보내고 나누고 베풀고 보시하라는 말 보다는, 그 결과인 부자가 될 수 있다는데 초점을 맞춰야 사람들이 관심을 가지기 때문입니다. 끌어당기는 데에만 중점을 두었을 때와 내보내는 것에만 중점을 두었을 때 어떤 差異가 생길까요?
끌어당기는 데에만 중점을 두었을 때를 가정해 봅시다. 예를 들어 부자가 되고 싶단 말입니다. 그러려면 먼저 자신이 마음으로 풍요로움을 느끼고 만족하면서 남들에게 베풀어야 합니다. 베풀어야 끌어당겨지니까요. 그런데 끌어당겨 지는데만 關心이 있게 되면, 이것을 알고 마음속에서는 ‘내가 먼저 베풀어야 끌어당겨지는 것이구나’ 하면서 計算的인 마음으로 베풀게 됩니다. 끌어당겨질 것을 念頭에 미리 두고 내보낸다는 말이에요. ‘아, 내가 부자가 되려면 베풀어야지’ 하는 계산이 깔린 순수하지 않는 마음으로 베풀게 된단 말입니다.
불교에서는 어떻습니까? ‘무주상보시(無住相布施)를 하라. 相에 머무는 바 없이 보시하라’고 말합니다. 결과를 생각하지 말고 순수하게 보시하라고 합니다. 내보낼 때는 들어오는 것을 생각하고 내보내면 안 됩니다.
마음에 계산이 깔리면 순수하지 못하기 때문에 宇宙法界의 根源的인 에너지, 根源的이 힘이 붙지가 않습니다. ‘끌어당김의 법칙’에는 이런 부작용이 있을 수 있는 것입니다. 그렇기 때문에 불교에서는 ‘끌어당김의 법칙’이 아니라 ‘내보냄의 법칙’을 말합니다. 내가 무엇을 세상에 내보낼 것이냐, 무엇을 베풀 것이냐, 어떤 업을 지을 것이냐가 중요합니다.
내보냄의 법칙은 ‘지금 여기’에서의 문제이지만, 끌어당김은 그 결과 미래에 받게 될 ‘미래’의 문제인 것입니다. 지금 이 瞬間, 여러분은 어떤 行으로 무엇을 내보내고 계신가요?
BBS 불교방송 라디오 '법상스님의 목탁소리'(평일 07:50~08:00) 방송중에서 |
'법상스님의 날마다 해피엔딩' 카테고리의 다른 글
풍요를 위한 마음상태 (0) | 2014.12.28 |
---|---|
부자를 원했는데 가난이 오는 이유 (0) | 2014.12.28 |
사랑이 아니라 사랑의 인연일 뿐 (0) | 2014.12.28 |
복수할 것인가 용서할 것인가 (0) | 2014.12.26 |
아들이 된 원수 (0) | 2014.12.2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