독립적인 자신의 업을 따라 살 뿐 불교방송 다시듣기
獨立的인 自身의 業을 따라 살 뿐
빠따짜라는 남편과 두 아들, 부모님과 세 자매를 하루 아침에 모두 잃어버리고, 거의 미친 사람처럼 소리쳐 울면서 거리를 헤매다 부처님의 處所에까지 이르렀다. 부처님께서는 그녀를 불러 다음과 같이 法門하셨다.
"남편과 아들이 끝까지 너를 保護해 줄 수는 없다. 자식도 친척도 부모도 어느 누구도 너의 죽음이 닥쳐올 때 죽음으로부터 너를 保護해 줄 수는 없다. 설사 그들이 살아 있다고 할지라도 그들은 너를 위해 이 世上에 있는 것이 아니다. 다만 그들은 그들 自身의 業에 따라 存在했을 뿐이며, 自身의 業을 늘리며 살았던 것에 불과했다. 그러므로 賢明한 사람은 이와같은 眞理를 바로 알아 戒律을 잘 지켜 淸淨한 業을 行할 것이며 마음의 障碍를 提去하여 禪定을 通해 마침내 涅槃에 이른다."
당신 삶에서 당신과 因緣 맺고 살아가는 家族을 비롯한 그 모든 이들에게 過度하게 依持하거나 그들이 나에게 무언가를 해주기를 바라지말라. 그들이 아무리 당신을 사랑하고 헌신할지라도 事實 그들은 그들 自身의 業에 따라서 自身의 삶을 살고 있을 뿐이다.
그 業의 드라마 속에서 당신 또한 당신의 業의 드라마를 보태면서 重重無盡의 緣起로 無數히 많은 이들의 業이 서로 調和롭고도 法界의 法則에 한 치도 어긋나지 않게 이 世上 森羅萬象을 이 아름다운 한 편의 影畵를 上映하고 있는 것이다. 모든 이들이 自己 影畵 속의 온전한 主人公 主演이지 그 누구도 助演은 없다.
그러니 내가 主人公이라고 他人을 내 뜻대로 휘두르려고 해서도 안 되고, 나를 위한 희생자가 되게 해서도 안 된다. 물론 나 또한 그들에게 지나치게 의지하거나 간섭하려고 할 이유도 없다.
그렇다고 그들을 사랑하지도 말고 매정하게 인연도 끊고 살아야 한다는 말은 더군다나 아니다. 사랑하되 지나치게 간섭하지 말고, 애정으로 돌봐주되 과도하게 구속하지는 말라. 서로 사랑하고 의지하며 함께 삶의 길을 걷더라도 서로가 自己 主體的인 人生의 꽃을 피워나갈 수 있도록 저마다의 獨立的인 空間을 許容해 줄 수 있어야 한다.
아무리 자식이라 할지라도 그는 나의 所有物도 아니고, 내 마음대로 휘두를 수 있는 存在는 더더욱 아니다. 자식들이 지금은 내 뜻대로 잘 살아주는 것 같지만 事實 그들은 부모님 뜻대로 살고 있는 것이 아니고 自己 自身의 業력에 따라서 살고 있는 것일 뿐이다.
그렇기에 부모의 生覺과는 다소 다를 수 있을지라도, 子女들 自身만이 가지는 業의 무게를 스스로 堪當할 수 있도록, 그들만의 특별한 삶의 꽃을 피워낼 수 있도록, 그들 만의 世界를 認定하고 許容하며 舞臺를 만들어 줄 수 있어야 한다. 부모가 살아 온 인생의 무대만을 고집하며 그 길대로 가야한다고 注入하며 固執하게 되면 子息과의 갈등만 생겨날 수밖에 없다.
그런 갈등은 그들이 부모를 거스르며 순종하지 못하는 비뚫어진 성품으로 자라서가 아니라, 부모와 자식 간에 서로 다른 業과 삶의 課題를 認定하지 않고 부모 方式만을 固執한데서 오는 當然한 現床이다.
자식이든 사랑하는 사람이든 부하 직원이든 그들을 내 方式대로 拘束하지 말라. 그들을 사랑할 지언정 과도하게 집착하지는 말라. 남편에게도 자식에게도 전적으로 기대거나 의지하지는 말라. 저마다 독립적인 자기 자신으로 자신의 빛깔을 뽐내며 主導的으로 살아갈 수 있는 삶의 機會를 주어보라.
남편 없으면 자식 없으면 못 살것 같은 스스로 그런 나약한 존재가 되지는 말라. 그들이 없어도 삶은 계속된다. 심지어 이 번 生이 끝나더라도 삶은 계속된다. 죽음의 瞬間에는 그 누구도 依持할 수 없었음이 드러나게 될 것이다.
물론 함께 어께동무를 하고 서로 사랑하며 의지하고 사는 것은 아름다운 일이며 우린 누구나 서로 의지하며 살기 위해 이 세상에 왔다. 關係 속에서 배우고 깨달아 가며 사랑과 智慧를 되찾는 과정이 우리 삶의 理由다. 참된 사랑과 智慧는 이 세상과 그 모든 것이 꿈 허깨비 신기루 물거품 그림자 이슬 번개와 같은 固定된 實體가 없는 것임을 알아 이 세상과 그 모든 것에 過度하게 執着하지 않고 지나치게 欲望하지 않으면서도 그 모든 삶을 누리고 나누고 사랑하며 사는 中道的 實踐行이다.
獨者的인 自己 自身의 삶을 自己답게 살아나가되 因緣 닿는 이들과 함께 關係 맺으며 사랑하고 살 수도 있다. 사랑하되 執着하지 않을 수 있으며, 依持하되 過度하게 期待지 않을 수 있고, 돌보고 키우되 지나치게 干涉하지 않을 수도 있다. 함께 있되 때때로 홀로 존재할 수 있도록 空間을 열어줄 수도 있고, 홀로 존재할지라도 함께 나눌 수 있는 因緣을 열어둘 수도 있다. 이 兩 極端인 것처럼 보이는 두 가지 길 속에서 調和로운 中道의 길을 걸을 때 삶은 均衡 있게 자란다.
BBS 불교방송 라디오 '법상스님의 목탁소리'(평일 07:50~08:00) 방송중에서 |
'법상스님의 날마다 해피엔딩' 카테고리의 다른 글
당신은 每 瞬間의 삶에 어떻게 있을 것인가??? (0) | 2014.12.28 |
---|---|
내가 할 수 있는 일과 할 수 없는 일 (0) | 2014.12.28 |
풍요를 위한 마음상태 (0) | 2014.12.28 |
부자를 원했는데 가난이 오는 이유 (0) | 2014.12.28 |
주는 것이 받는 것이다 (0) | 2014.12.2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