집착하지 말고 다 버려라 불교방송 다시듣기
집착하지 말고 다 버려라
[잡아함경]에서는 다음과 같이 설하고 있습니다. “자신의 소유가 아닌 것은 집착하지 말고 다 버려라. 내 것이 아닌 것을 모두 버릴 때 온 세상을 소유할 수 있다. 만약 어떤 이가 뒷산에 있는 나뭇잎을 가지고 간다고 했을 때 왜 나뭇잎을 가졌느냐고 그와 싸우겠는가. 수행하는 사람들도 그와 같아서 자기 소유가 아닌 물건에 대하여 愛着을 버려야 할 것이니 버릴 것을 버릴 수 있어야 마음이 平穩하다.”
本來 ‘내 것’이란 어디에도 없다. 하물며 ‘나’라는 존재 또한 잠시 우주법계의 인연에 따라서 왔다가 인연 따라서 가버리는 無常한 存在인데, ‘내 것’이라고 붙잡아 두고 집착할 것이 있을까? 뒷동산의 나뭇잎이 어찌 ‘내 것’일 수가 있으며, 땅에 금을 그어 놓고 돈을 지불한다고 어찌 ‘내 땅’일 수가 있겠는가. 그것은 인간의 허망하고 오만한 生覺일 뿐. 이 세상에서 내가 영원히 가질 수 있는 것은 어디에도 없다.
그렇다고 일체의 모든 소유를 다 버리고 완전한 거지가 되라는 말은 아니다. 인연 따라 자연스럽게 나에게로 온 것에 대해서까지 억지로 다 버릴 필요는 없다. 그러나 自己 所有物들의 特性을 알 필요는 있다. 내 소유물들은 인연 따라 잠시 나를 스쳐갈 뿐이다. 우리는 그것을 잠시 보관하면서 인연에 따라서 다만 쓸 뿐이다.
잠시 스쳐가는 것들을 스쳐가지 못하게 ‘나’라는 틀 속에 가두게 되면 나한테서 우주적인 에너지가 停滯되고 만다. 이 세상 모든 것들은 끊임없이 變化하면서 이 시작도 끝도 없는 宇宙를 旅行하는 任務를 부여받았다. 이 세상 모든 것들의 目的은 끊임없는 旅行에 있지 어느 한 곳에 定着하는데 있지 않다. 똑바로 이 事實을 깨달아야 한다. 사실은 이 세상 모든 것들은 ‘내 것’이 아니라 여행길 위에서 잠시 들른 간이역일뿐이다. 이 세상 그 어떤 것도 終着驛으로써 나에게로 온 것은 없다. 단지 내가 생각으로 그렇게 믿고 싶을뿐이지.
[법구경]에서도 말하고 있습니다. “'내 자식이다' '내 재산이다' 집착하면서 어리석은 사람은 괴로워한다. 사실 내 몸도 나의 것이 아닌데, 어찌 자식이나 재산이 나의 것일 수 있겠는가!!”
‘내 자식이다’ ‘내 재산이다’ ‘내 생각이다’ ‘내 것이다’ 집착하는 것은 다 어리석은 虛妄하게 錯覺하는 生覺이다. 하물며 내가 없는데, 내 몸도 이번 한 생 잠시 쓰고 나면 이 우주법계로 돌려주어야 하는데, 내 소유를 어찌 ‘내 것’이라고 할 수 있겠는가. 우주법계로부터 잠시 빌려 쓸뿐인 것이다. 내 몸도 우주 법계에서 잠시 빌려쓰는 것이고, 내 소유도 잠시 법계에서 빌려쓸뿐이다. 그러니 집착할 것이 아무 것도 없다.
내 몸도 이 우주에서 품어 낸 온갖 음식을 잠시 빌려 유지하고 있을 뿐이고, 내 생각도 이 세상의 수많은 생각들을 인연 따라 잠시 차용하여 내식대로 조합해 쓰고 있을 뿐이며, 내 자식도 우주적인 법계의 인연과 업의 법칙에 따라 잠깐 부부의 몸을 빌어 나왔을 뿐이다.
이 세상 모든 존재는 우주의 것이며, 다른 모든 존재들의 것이다. 내가 곧 이 우주이며, 또한 나는 이 우주의 모든 존재들과 긴밀하게 연결되어 있다. 그러니 어찌 내가 누구를 갖고, 내가 무엇을 집착하고, 내가 무엇을 소유할 수 있겠는가.
온 우주는 전체가 전체에 의지해 존재하며, 전체가 전체에 의지해 소유되고 있는 것이다. 그런 신성한 우주적인 것에 ‘내 것’이라는 울타리를 치면서부터 우리는 우주로부터, 진리로부터 外面 받고 있다.
‘내 것’이란 울타리를 걷어 내면 모든 것이 그대로 있을 곳에 있고, 제자리를 찾는다. 한 生覺 일으켜 ‘내 것’을 만들면 世界가 나뉘어져서 시끄럽지만, 한 生覺 놓아 ‘내 것’을 걷어내면 세계도 나도 나뉘지 않아 고요하다.
BBS 불교방송 라디오 '법상스님의 목탁소리'(평일 07:50~08:00) 방송중에서 |
'법상스님의 날마다 해피엔딩' 카테고리의 다른 글
행복의 결정권자 (0) | 2014.12.31 |
---|---|
당신이 바로 진리다 (0) | 2014.12.30 |
내일 일을 전혀 두려워하지 말라 (0) | 2014.12.30 |
유정, 무정이 우리를 돕는다 (0) | 2014.12.28 |
소원과 발원 / 세월호 실종자들을 위한 발원문 (0) | 2014.12.2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