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체(一切)가 마음 벗어나지 않는 이치· 원리 설해
이 세상의 모든 現象은 사람의 마음(心)에 의해 變化하여져 나타난 것이라는 주장을 하는 것이 불교의
유식사상(唯識思想)이다. 만법유식(萬法唯識)이라는 말이 바로 唯識의 根本 大義를 나타내는 말이다.
이 유가행파 곧 유식사상의 소의경전이 <해심밀경(解深密經)>이다. 깊고 비밀스러운 法의 理致를 풀어
낸다는 뜻을 가지고 있는 이름이다. 7세기 중엽 현장삼장이 번역한 본이 널리 유통되어 있지만 보리유
지가 번역한 <심밀해탈경>과 진제삼장이 번역한 <불설해절경> 이름으로 된 경도 있다. 이 경전을 설한
곳은 人間世上이 아닌 七寶로 장엄된 佛世界의 宮殿인데 수많은 보살들과 천룡팔부들이 모여 있는 곳
에서 설한 것으로 되어 있다. 매우 상징적인 의미가 있는 부처님의 법의 수도라 할 수 있는 곳이다.
대승을 닦는 본거지인 셈이다.
비밀스런 法 이치 풀어냄 의미
7세기 현장삼장 번역본이 주류
8품으로 되어 있는 이 경은 서품에서 佛(부처님)의 世界는 깨끗한 정식(淨識)의 世界로 一切 現象을
超越한 世界라 사람들이 生覺으로 分別 判斷하여 理解할 수 없는 世界라 하였다.
두 번째 품인 勝義諦(승의제)품에서는 석가모니 부처님이 승의제품에서 승의제를 세 가지로 설명하면서
말로 표현할 수 없는 유일무이한 것, 생각으로 알 수 없는 것, 온갖 분별을 초월한 것이라 하였다. 일생
동안 맵고 쓴 것만 먹어온 사람이 꿀과 엿의 맛을 모르는 것처럼 부처님의 깨달음의 세계를 범부들은
알지 못한다 하였다.
아뢰야識의 설명이 나오는 곳이 心意識품이다. 아뢰야識이 世界의 모든 現象을 낳는다고 하였다. 이
해밀심경는 아뢰야識 緣起說을 설하고 있다. 경 전체의 내용이 <유가사지론>에 설해져 있는 내용과
거의 같다. 生死의 輪廻를 거듭하면서 前生에 한 行爲(行業)의 結果가 아뢰야識 속에 種子가 되어
저장(貯藏)된다고 설명한다. 아뢰야識에 記錄 저장된 이 種子에 依해서 자신과 주변의 環境이 조성된
다고 하면서 種子를 저장하고 있는 아뢰야識이 存在의 根本이 되며 그외 다른 것은 모두 거짓된 現象에
불과하다는 것이다. 그리고 이 아뢰야識은 폭포의 물처럼 거세게 흘러 사람들을 온갖 境界에 執着을
하게 만들고 갖은 妄想 分別 煩惱를 유발(誘發시켜 生死의 輪廻의 바다에 떨어지게 한다고 하였다.
一切 모든 法이 내 마음을 벗어나지 않는다는 것이 唯識의 大義요 이것이 唯心法門이다. 外部世界로
認識되는 모든 現象이 마음을 벗어나 있는 것이 아니란 말로 마음이 있으므로 모든 것이 存在하게
된다는 것이다. <해심밀경>에서는 이러한 법의 이치 곧 존재의 원리를 설하고 있다.
분별유가품에서는 유가행(瑜伽行)의 실천 방법을 설하면서 사마타와 비발사나의 지관(止觀)을 닦는
것에 대해 미륵보살에게 설해 준다. 지바라밀다품에서는 보살이 닦아야 하는 10가지 수행단계를 설
하면서 이 과정을 모두 이수해야 보살도가 성취된다 하였다. 그리고 10바라밀에 대해 설하면서 보살이
10바라밀을 실천하여 큰 원력으로 중생들을 모두 지혜의 길로 인도해야 한다고 하였다.
<해미심밀경>의 주석서로는 원측(圓測, 613~696)의 해심밀경소가 유명하다. 10권으로 된 소에서 경의
본문에 대해 매우 자세한 설명을 하다. 원효와 현범 등도 소를 지었다고 알려졌으나 현존하지는 않는다.
원측은 어렸을 때 당나라에 들어가서 일생을 당(唐)에서 보냈다. 그는 현장의 문하에서 규기(窺基)와
더불어 중국에서 법상종이 융성할 때 양대 학파를 형성했던 인물로 그를 추종하던 도증(道證), 승장
(勝莊), 자선(慈善) 등 신라출신의 학승들과 그가 머물던 절 이름을 따서 서명파(西明派)를 형성하기도
했다. 그는 또한 신라의 왕손으로 3살 때 출가해 열다섯 살 때 중국으로 들어갔다고 기록된 곳도 있다.
그는 법상종의 대가였고 <해심밀경>의 권위자였다.
-지안 스님-
[불교신문3040호/2014년9월10일자]
'자기계발과 마음공부' 카테고리의 다른 글
비가 어디서 올까요? (0) | 2016.09.28 |
---|---|
진실의 불 Fire of Truth (0) | 2016.09.28 |
확실하게 몰라야 크게 깨달을 수 있다. / 혜암스님 (0) | 2016.09.27 |
[선(禪)으로 읽는 복음] 16. 제 눈 속의 들보 (0) | 2016.09.27 |
선인과 가리왕은 무엇인가? (0) | 2016.09.2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