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비심, 연민심, 수희심, 무분별심을 연습하면~~~
불교 경전에 사무량심(四無量心)과 사섭법(四攝法)의 얘기가 있습니다. 간단하게 말씀드리면 사무량심은
인간이 일으킬 수 있는 4가지 無量한 마음을 말하는데 무량한 마음은 무량한 부처들의 마음을 의미합니다.
해탈의 마음, 무한대로 자유로운 마음 의미합니다.
사람들이 일으켜 써야할 4가지 무량한 마음, 그리고 이 4가지 무량한 마음을 일으켰을 때 무량한 공덕이
성취되는 마음, 이런 무량한 마음들이 사무량심인 자비희사(慈悲喜捨)입니다.
첫째, 자심(慈心), 자무량심(慈無量心)은 우주만물, 이 세상 모든 것들에게 즐거움과 기쁨을 더 많이 주기
위해서, 행복과 평화로움을 더 많이 주기 위해서 쓰는 마음, 이 마음이 慈心입니다. 어떻게 하면 사람들을
더 많이 기쁘게 해 줄까, 행복하게 해 줄까 하고 쓰는 마음이 자심입니다.
둘째, 비심(悲心)은 어떻게 하면 사람들이 갖고 있는 고통, 슬픔, 괴로움을 덜어 줄까, 고통을 덜어 줄까,
내가 사람들의 고통 슬픔 괴로움을 함께 감내할 수 있을까 하고 쓰는 마음입니다. 연민심(憐憫心)이라고
표현합니다. 측은하고 가엾은 마음(측은지심)입니다. 힘들고 고통에 빠진 사람들에게 그냥 고개를 획 돌
리고 모르는체 하는 마음이 아니라, 고통 슬픔 괴로움 어려움을 어떻게 함께 없애버릴수 있을까, 내가
어떻게 도움을 줄 수 있을까 하고 쓰는 마음을 을 悲心입니다. 자심과 비심을 합쳐서 자비심(慈悲心)이라
합니다.
그리고 세 번째 무량한 마음이 희심(喜心), 희무량심(喜無量心)인데, 희심은 다른 사람이 기뻐하는 것을
함께 기뻐해주는 마음이에요. 어떤 사람에게 좋은 일이 생겼을 때, 기쁜 일이 생겼을 때 그 기쁜 일을 함께
기뻐해주는 마음이 희심, 희무량심입니다.
사실 사람들이 이 희심을 쉽게 생각하기가 보통인데, 사람들이 아주 잘 일으키지 못하는 마음이 바로 희심
입니다. 함께 기뻐하는 마음 희심을 사람들은 잘 일으키지 못해요. 오히려 남들이 잘되면 배 아프고, 사촌이
땅을 사면 배가 아프고, 남들이 좋은 일이 생기고 대박이 나고 잘되면 괜히 배가 아프단 말이예요. 괜히 꼴
보기 싫고 칭찬해 주기 싫고, 칭찬에 굉장히 인색하고 그렇단 말이죠.
그런데 사람들이 어떤 사람에게 좋은 일이 생겼을 때 그 기쁜일을 함께 기뻐하는 것을 수희동참(隨喜同參)
한다고 합니다. 내가 아닌 다름 사람에게 좋은 일이 생겼을 때, 기쁜 일이 생겼을 때 함께 수희동참해줄 때,
함께 기뻐해 주면 그 사람의 장점과 좋은 점이 고스란히 내 마음 속에 똑같이 쌓이는 겁니다. 내가 남의 기
쁜 일을 함께 동참해 주는 마음은 곧 내가 남의 기쁜 일을 함께 한 것과 다름없는 공덕이 있습니다. 왜냐하
면 인간의 精神은 물질을 보시했을 때만 그 보시의 공덕이 있는 게 아니라, 보시하는 정신, 마음을 수희찬탄
하면서 함께 기뻐했을 때 동일한 보시의 공덕이 내 마음 정신에도 똑같이 지어지기 때문입니다.
물질세계에서 내가 직접 어떤 물질을 얻어야지만 물질세계가 아니라, 마음만 일으켜도 마음 정신이 물질세
계에 영향을 미친다는 사실이 과학적으로도 증명이 되었습니다. 아령을 들고 운동을 해야 근력이 강화되지
만, 마음속으로 아령을 들고 운동을 하는 모습을 상상 하잖아요. 그렇게 상상을 하고 나면, 동일한 시간을
상상했을 뿐인데 근력이 마찬가지로 강화됩니다. 상상밖에 안했는데도 불구하고 말이지요. 우리 마음 작용
의 本質이 그렇습니다. 그렇게 정신 마음을 내기만 했는데도, 그 마음 정신이 물질세계로 이루어지는 겁니다.
그래서 우리가 수희동참, 수희찬탄 하는 마음, 누가 보시를 했을 때, ‘그래, 너 잘났다. 돈이 많으니 그렇게
보시하지. 난 하기 싫어서 안하냐’ 고 빈정거리기보다 함께 기뻐해 주는 마음을 내는 것, 그것은 동일하게
함께 보시하는 것과 다르지 않습니다. 그래서 불교에서는 수희공덕, 수희의 수행을 아주 중요하게 여깁니다.
그래서 수희동참, 모든 기쁜 일이 있을 때, 남들에게 좋은 일이 있을 때, 그것을 아니꼽다는 눈으로 보지 말
고, 기쁜 마음을 내어 함께 기뻐해 주는 일, 그랬을 때 수희공덕이 내게도 똑같이 생깁니다. 직접 좋은 일을
한 사람에게만 공덕이 생기는 것이 아니라, 함께 수희찬탄한 사람에게도 똑같은 공덕이 생긴다는 말입니다.
그래서『화엄경』보원행원품(普賢行願品)에, 보원행원 다섯 번째가 수희공덕입니다. ‘내가 평생 수희공덕
짓기를 발원합니다. 함께 기뻐해 주는 공덕을 짓기를 발원합니다.’ 이렇게 하는 것이 다섯 번째의 발원일
만큼 아주 중요한 무량한 마음이 희심입니다. 함께 기뻐해 주고 찬탄해 주는 마음만으로도 큰 공덕이 되는
겁니다. 그걸 수희찬탄(隨喜讚歎)이라 합니다.
길거리에서 향을 파는 사람이 향을 하나 피워 놓으면, 파는 사람도 향 냄새를 맡죠. 향을 사려고 향을 살펴
보는 사람도 향 냄새를 맡습니다. 그곳을 지나가는 사람들도 향냄새를 맡습니다. 이처럼 향을 직접 사지도
않았고 팔지도 않았지만 향 냄새를 누구나 맡을 수 있는 것처럼 수희하는 마음을 내게 되면, 내가 직접 피
운 향은 아닐지라도 누구나 향냄새를 맡는다 이 말입니다. 수희공덕, 수희찬탄, 모든 것을 보고 찬탄하는
마음, 공경하고 감사하는 마음, 함께 기뻐하는 마음, 이 수희찬탄하는 마음을 일으켰을 때 그 수희하는 마
음이야말로 진정한 자비심의 발로라는 이야깁니다. 진정한 자비심이 있어야 그것이 찬탄이 되고, 수희가
됩니다.
그런데 그 수희가 되었을 때 중요한 것은, 내가 좋은 것을 보고 함께 수희동참을 했을 때 그것이 곧 나에게
똑같이 벌어집니다. 돈 많이 버는 사람들, 남들 아파트 값이 두 세배 올랐다 그러면 배 아파 죽잖아요. ‘에
이 난 그 옆에 있는 아파트를 샀는데 안 오르고, 왜 저 사람 아파트 값만 오르는 거야’ 하지 말고, ‘와, 저 사
람은 전생에 지은 공덕이 얼마나 많으면 저렇게 잘됐을까’ ‘참 잘되었다’ 하고 수희찬탄해 주면, 나에게도
그 공덕이 내게도 똑같이 온다 이 말입니다. 그래야 함께 공덕이 쌓여요. 그래서 수희찬탄을 많이 해야 됩
니다.
마지막 네 번째로 사심(捨心)입니다. 이 사심이 바로 無差別心, 無分別心, 완전한 平等心을 의미합니다.
사심은 좋다 삻다 하는 分別을 완전히 놓아버리는 완전한 平等心입니다. 그래서 4가지 무럏한 모든 부처님
들의 마음의 정점에 있는 마음이 사심이라 합니다. 사람들은 보통 자심과 비심만을 알고 있지만 자심 비심
보다 더 중요한 마음이 희심이고 희심보다 더 중요한 마음이 사심입니다. 진정한 자비는 희심과 사심에서
나오기 때문에 그렇습니다.
유정 무정, 유상 무상의 우주만물, 이 세상 모든 존재를 완전히 평등한 마음으로 보고, 네 편 내 편을 나누
지 않고, 좋은 것 나쁜 것 分別하지 않고, 좋은 것을 보고 수희동참하는 마음을 뛰어넘는 마음이 좋은 것
을 보든 나쁜 것을 보든 分別하지 않고 觀察하고 지금 여기 이 자리 이 순간 있는 그대로 받아들이는 마음,
이 마음이 바로 捨心이고 최고의 자비심이 사심에서 나오는 것입니다.
그래서 이 자비희사의 4가지 무량한 마음을 계속 연습하게 되었을 때 인간들 내면에 무량한 자비심이 생
기고 무량한 공덕이 생기고 무량심이 생겨난다 이 소립니다. 그게 바로 사무량심의 의미입니다.
- 법상 스님- 구체적인 자비심의 실천법
'법상스님의 날마다 해피엔딩' 카테고리의 다른 글
무주상보시(無住相布施)의 생활실천 (0) | 2017.01.01 |
---|---|
덧없는 것은 세월이 아니다 (0) | 2016.12.31 |
입처개진 수처작주 (立處皆眞 隨處作主) (0) | 2016.12.23 |
머물지 않고 흐르는 마음공부 (0) | 2016.12.21 |
불성, 마음, 본래면목은 없다 그러나 이 이름이 가리키는 낙처는 있다 (0) | 2016.12.20 |